2024년 8월 3일 토요일

스네프루 [Snefru, 기원전 2613~2589] 이집트 제4왕조, ‘성스러운 왕’

스네프루 [Snefru, 기원전 2613~2589] 이집트 제4왕조, ‘성스러운 왕

 
스네프루는 고대 이집트의 제4왕조를 시작한 왕이다. 그는 24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하면서 왕권을 강화하고 남북 지역의 교류를 확대했으며 영토도 넓혔다. 스네프루가 다스리던 시절, 이집트는 번영을 누려 사람들은 그를 성스러운 왕이라고 불렀다.
 
스네프루는 왕위에 오르자마자 왕권을 강화하는 데 주력했다. 그는 우선 자신의 아들들을 재상으로 임명하고 재상의 권한을 확대했다. 재상은 이집트 전 지역의 행정을 담당하고 정부 기관을 관리, 감독했으며, 종교, 토지 및 모든 국가의 재산을 관리하면서 왕 다음으로 많은 권력을 누렸다. 그 덕분에 재상은 많은 재물과 토지를 가지게 되었다. 스네프루 시대부터 왕의 아들이 재상에 임명되었고, 재상은 왕과 함께 공동으로 이집트를 통치하면서 많은 경험을 쌓았다. 이를 통해 왕자들은 훌륭한 왕이 되기 위한 자질을 길렀다. 스네프루는 아들들에게 많은 권력을 주고 수많은 국가 사무, 예를 들어 건설 사업, 군대의 훈련과 정복 전쟁, 자원 채취 등을 그들과 나누어서 처리했다. 그는 아들들이 이집트를 다스릴 지혜화 능력을 기르기를 바랐다. 특히 정복 전쟁을 떠날 때면 언제나 아들들에게 군대의 지휘를 맡겼다. 이는 그들이 자신의 능력과 용맹함을 증명할 좋은 기회였다. 왕자가 재상을 맡는 것은 제4왕조의 전통이었고, 그 후에는 왕자가 아닌 사람도 재상이 될 수 있었다.
 

영토 확장

 
스네프루의 아버지인 제3왕조의 마지막 왕 후니(Huni)는 남쪽 지방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요새를 건설했다. 스네프루는 아버지가 벌인 이 사업을 완성하고자 강력한 군대를 조직하여 이집트 남쪽의 누비아(Nubia)로 원정을 떠났다. 고대 이집트의 연대기가 기록된 돌조각인 팔레르모석에는 스네프루가 누비아 원정에서 포로 7,000명과 가축 20여만 마리를 전리품으로 가지고 돌아왔으며, 남쪽 원정의 골칫거리를 해결했다고 적혀있다. 그는 남쪽 지역의 국경에 스네프루 가문이라고 불리는 두터운 성벽을 쌓아 이집트의 국경을 확실히 표시했다.
 
누비아 지역을 정복하고 남쪽 국경을 확보한 스네프루는 이제 북쪽으로 원정을 떠나기 위해 다시 군대를 조직했다. 그의 군대는 동북쪽으로 진격하여 시나이 반도의 구리 광산 지역을 점령했다. 경제적으로 의미가 매우 큰 이 정복 전쟁에서 스네프루는 승리했고, 이어서 곳곳에 정복자 스네프루의 이름이 붙은 광산과 도로가 생겼다. 그는 정복 지역의 국경을 명확히 하기위해 이곳에도 스네프루 가문이라는 성벽을 쌓았으며, 삼각주 지역에는 따로 방어 시설을 건설했다. 스네프루는 자신의 업적을 매우 자랑스러워하며 이렇게 말했다. 북쪽을 점령한 것은 나이고, 아시아와 베두인의 침략을 막기 위해 성벽을 쌓은 것도 나이다. 이 모든 것이 나의 업적이다.”
 

피라미드 건설

 
나라가 번영하자 스네프루는 이제 자신의 사후에 영혼이 머무를 곳, 바로 피라미드를 건설하는 것에 관심을 보였다. 스네프루의 아버지 후니 왕은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75km 떨어진 메이둠(Meidum)에 계단식 피라미드를 세웠지만, 미처 완성이 되기 전에 사망했다. 스네프루는 미완성이 된 이 계단식 피라미드에 돌을 더 보충해서 쌓아 올리게 해, 높이가 92m에 달하는 피라미드를 완성했다

그리고 바로 사카라에서 남쪽으로 10km 떨어진 곳인 다흐슈르(Dahshur)에 높이 101m의 피라미드를 하나 더 세웠다. 이 피라미 54° 34'의 경사로 짓다가 중간쯤에서 43° 21'로 경사각을 바꾸어 쌓아 올렸다. 아래쪽은 가파르고 위쪽은 완만한 이 굴절 피라미드는 계단식 피라미드에서 한 단계 발전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스네프루는 이 피라미드가 마음에 들이 않았는지 새로운 피라미드를 짓기 시작했다. 97.5m 높이로 새로 지은 피라미드는 옅은 붉은색 석회암을 사용해서 지었기 때문에 붉은 피라미드로 불린다. 이 피라미드는 굴절 피라미드를 지은 경험을 반영해서 처음부터 43°의 경사각으로 짓기 시작해 끝까지 완성했다. 붉은 피라미드는 현대인들이 일반적으로 피라미드라고 말하는 형태를 최초로 갖추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잇달아 피라미드 세 개를 짓다 보니 건축 자재를 공급하는 것이 큰 문제였다. 라미드 건설에 필요한 자재를 구하기 위해서 스네프루는 배 40척으로 구성된 거대한 함대를 조직했다. 배 가운데 가장 긴 것은 50m가 넘는 것도 있었다. 함대는 위풍당당하게 레바논으로 가서 아주 비싼 삼나무를 사서 돌아왔다. 이 삼나무는 매우 튼튼해서 일부는 지금까지도 붉은 피라미드 내부에 보존되어 있다.
 
스네프루는 또한 이전에는 생각지도 못한 곳까지 이집트의 영토를 넓혔다. 넓어진 영토는 곧 경제적 번영으로 이어졌고 그는 법의 수호자’, ‘이집트의 관리자’, ‘서부의 지도자등 다양한 이름을 얻었다. 그가 사망한 지 600년이 지난 제12왕조 시대에도, 이집트인들은 그를 기억하며 성스러운 왕스네프루가 이집트를 지켜주고 있다고 믿었다.
 
맥을 잡아주는 세계사 3 - 이집트사60-63

제트 [Djet, 와즈(Wadj), ‘뱀’, 기원전 2980년경] 이집트 제1왕조 통치자

제트 [Djet, 와즈(Wadj), ‘’, 기원전 2980년경]

 
아비도스(Abydos)에 있는 무덤 Z에 매장된 것으로 보이는 제1왕조의 통치자이다. 19세기 말에 에밀 아멜리노(Emili Amlineau)와 플린더스 페트리(Flinders Petrie)가 이 무덤을 발굴했고, 1988년에 베르너 카이저(Werner kaiser)와 군터 드로이어(Gunther Dreyer)가 재발굴했다.
 
제트의 직사각형 목곽 매장실은 직사각형 상부구조 밑에 숨겨진 모래(또는 돌)로 만든 벽돌더미 아래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아멜리노는 무덤 근처에서 제1왕조의 가장 훌륭한 것으로 추정되는 석비를 발견했다(루브르 박물관 소장).
 
석회암에 새겨져 있는 비문은 왕족의 세레크(Serekh) 틀 위에 호루스(Horus) 매가 앉아있다. 세레크 안에 ’(음가[音價]가 제트[djet]이다)이라는 상형문자가 있다. 제트의 이름이 새겨진 인장을 보아, 사카라(Saqqara)에 있는 무덤 3504(아마도 제트 재위 시절의 관리인 세켐카[Sekhemka]의 무덤) 및 기자(Giza)에 있는 거대한 마스터바(Mastaba) 무덤은 그의 재위 시절에 만들어졌을 것이다.

고대 이집트 사전, 258

메네스 [Menes, 기원전 3100년경] 이집트를 통일하고 이집트 문명의 기틀을 세우다

메네스 [Menes, 기원전 3100년경]


이집트를 통일하고 이집트 문명의 기틀을 세우다

 
기원전 4000년에 나일 강 유역에 비교적 큰 부락들이 등장했고 기원전 3500년에 이르자 작은 규모의 나라가 출현했다. 노모스라고 불리던 이 작은 나라들 가운데 북쪽의 나카다(Naqada)와 히에라콘 폴리스(Hierakon polis) 등이 유명하다. 각 노모스는 외부의 침략을 막기 위해 군대를 갖추었고 왕에 해당하는 통치자도 있었으며, 각기 토템과 휘장, 그리고 숭배하는 수호신이 있었다. 여러 노모스가 존재하던 이 시기를 고대 이집트의 선왕조 시대라고 한다.
 
각 노모스는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서 전쟁을 벌였다. 그들은 사자, , 따오기 등을 표현한 각각의 토템을 앞세우고 돌도끼를 들고서 적을 공격했다.
 
전쟁이 계속되면서 멤피스를 경계로 노모스보다 규모가 큰 두 나라가 형성되었다. 바로 이집트 남쪽의 상이집트와 북족의 하이집트였다.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왕조는 서로 숭배하는 신이 달랐고 왕이 쓰는 왕관 모양도 달랐다. 상이집트는 등심초를 국가의 상징으로 사용했고 왕은 흰색 원추형 왕관을 썼는데, 이는 매의 신 호루스가 왕을 보호한다는 의미였다. 하이집트는 국가의 상징으로 파피루스 풀을 선택했고 코브라를 숭배했다. 하이집트의 왕이 쓰는 붉은색 왕관은 뱀의 신이 왕을 보호한다는 의미였다. 훗날 메네스(Menes)가 등장해 상ㆍ하이집트를 통일할 때까지 이집트에는 두 명의 왕이 존재했다.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는 서로 상대를 정복할 기회를 호시탐탐 노렸지만 두 나라의 군사력이 거의 비슷해서 섣불리 공격하지 못했다. 얼마후 상이집트의 메네스 왕이 뛰어난 군사력과 전략으로 팽팽한 긴장 상태를 깼다. 메네스는 하이집트와 전쟁을 벌여 잇달아 승리했고 북쪽으로 전진했다. 나일강 삼각주까지 정복한 그는 마침내 이집트 통일을 이루어 냈다.
 
메네스 왕은 고대 이집트 역사상 가장 신비로운 인물이다. 상이집트의 티니스(Thinis)에서 태어난 그는 이집트의 가장 남쪽 지역을 통치하는 가문 출신이었다. 이집트 남부의 국경을 지키던 그의 집안은 국경을 넘보는 외부 세력과 여러 번 전쟁을 치렀다. 메네스는 어린 시절의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군대를 통솔하고 전략을 수행하는 능력을 길렀고, 이는 훗날 그가 이집트를 통일하는 데 큰 힘이 되었다. 결단력 있고 과감했던 메네스는 기원전 3100년경에 상이집트의 왕이 되었다. 그후 바로 강력한 군대를 조직해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작은 노모스들부터 차근차근 합병하며 천천히 통일의 꿈을 키웠다.
 
오랜 전쟁에 불만이 쌓인 상이집트의 백성이 전쟁을 반대하며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지만, 메네스는 과감하고 잔혹한 방법으로 반란자들을 처단했다. 이렇게 해서 상이집트 내부의 분열을 확실히 제압한 그는 군대를 통솔하고 나일강을 따라 하이집트로 진격했다. 하이집트의 군대는 나일 강 삼각주까지 후퇴하면서 끝까지 반격했으나 연이어 패배했다. 하이집트의 왕은 결국 메네스에게 왕관을 바쳤다.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왕관을 모두 손에 넣은 메네스는 자랑스럽게 왕관 두 개를 한꺼번에 썼다. 이때부터 이집트에는 단 한명의 왕만 존재했고 메네스가 제1왕조의 첫 번째 왕이 되었다.
 
통일 직후, 메네스는 강한 왕의 면모를 보여주어야 했다. 이집트를 통일했지만 삼각주 지역의 몇몇 노모스와 일부 귀족은 여전히 그를 반대하며 복종하려고 하지 않았고, 상황은 여전히 불안했다. 메네스는 그들을 잠재적인 적으로 생각하고 내버려 두었다가는 나중에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래서 저항하는 귀족들을 잔혹한 방법으로 처형했다. 히에라콘 폴리스에서 발견된 의식용 팔레트에 이에 관한 내용이 다음과 같이 매우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상이집트의 왕관을 쓴 메네스는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지팡이를 들고 있으며, 적은 무릎을 꿇은 채 고통스럽게 죽어가고 있다. 여기에는 나일 강 삼각주의 상징인 작살이 등장하고, 상이집트의 수호신인 매가 삼각주의 파피루스 풀 위에 앉아 있는 모습도 표현되어 있다. 매는 또 예리한 발톱으로 하이집트 사람의 머리를 묶은 밧줄을 단단히 잡고 있다. 팔레트의 가장 윗부분에는 나르메르(Narmer)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메네스의 다른 이름이다. 가장 아랫부분에 전쟁에 진 하이집트 사람들이 허둥지둥 도망가는 모습이 부조되어 있다. 이 팔레트는 전체적으로 매의 신 호루스의 보호를 받은 메네스가 적들을 물리치고 이집트의 왕이 된 것을 표현한다.
 
팔레트의 뒷부분에 남아있는 부조도 흥미롭다. 나일 강 삼각주 지역에서 왕권을 상징하는 소의 뿔은 공격을 이겨내지 못하고 휘어졌으며, 적들은 모두 쓰러져 죽어 있다. 또 하이집트의 왕관을 쓴 메네스가 장군들과 함께 적의 시체 사이를 득의양양하게 걷는다.
 
메네스는 스스로 상ㆍ하이집트의 왕이라 불렀고, 후대 왕들도 수천 년 동안 이 칭호를 사용했다. 그는 상ㆍ하이집트의 경계가 되었던 지역에 새로운 도시 멤피스를 건설해 수도로 삼았다. 중왕국 시대에 수도를 테베로 옮기기 전까지 멤피스는 통일 이집트의 수도로서 크게 발전했다.
 
메네스는 오랜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고 잔혹하게 적들을 처단했다. 그런 동시에 온화한 포용정책을 펼치며 민심을 안정시키고 자신을 거부하는 귀족 세력을 포용하고자 노력했다. 이때 사용한 효과적인 방법이 결혼이었다. 이런 결혼은 저항 세력을 잠재우는 데 효과적인 동시에 왕권의 정당성을 공고히 하는 데에도 유리했다. 메네스 이후 새로운 왕조를 세운 왕들도 대부분 새 왕조의 정당성을 얻기 위해 이전 왕조나 왕비나 공주와 결혼했다. 예를 들어 네브카(Nebka)왕은 제2왕조의 마지막 왕 카세켐위(Khasekhemwy)의 딸과 결혼해서 기반을 다진 후 제3왕조를 열었다.
 
메네스는 나일 강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많은 사업을 벌였다. 그는 우선 제방을 세워 나일 강이 범람할 때 수도 멤피스가 영향을 덜 받도록 했고, 물이 수로에서 넘쳐흐르지 않도록 멤피스 이남의 나일 강 양 기슭에도 높은 제방을 쌓았다. 이렇게 하니 홍수를 방지할 수 있었고 농지에 물을 대는 것도 효과적이었다.
 
메네스가 이집트를 통일한 후 이집트인들은 창조력과 적극성을 더욱 발휘했다. 사회와 문화는 빠른 속도로 발전했고, 당시에 세운 정치, 사회 기구는 2000년 동안이나 별다른 변화없이 계속 유지되었을 정도로 매우 체계적이고 효율적이었다. 이 시기에는 상형 문자도 더 많이 만들어졌고 건축과 그 밖의 다양한 기술도 발전해서 이후 2000년 동안 이집트는 경제와 문화 방면에서 세계 최고의 발전을 이룩했다.
 
메네스 시대에 발생한 많은 변화는 모두 메네스가 직접 추진하고 실현해 낸 것이다. 그가 상ㆍ하이집트를 통일한 후 이집트는 문명을 더욱 발전시켜 고대 문명의 발상지 중 한 곳이 되었다.
 
맥을 잡아주는 세계사 3 - 이집트사43-47

2024년 8월 1일 목요일

제르 [Djer] - 이집트 제1왕조

제르 [Djer]

 
나르메르(Narmer)로 시작된 제1왕조 세 번째(최근 아비도스[Abydos]의 왕족 공동묘지에서 발굴된 점토 인장에 새겨진 목록에 따라) 통치자이다. 그는 아비도스에 있는 세티 1(Sety I) 신전의 왕명표에 기록된 이티(Iti)와 동일 인물일 수도 있다.
 
게벨 셰이크 술래이만(Gebel Sheikh Suleiman)에 있는 석재 조각은 제르 재위시절의 누비아(Nubia) 원정에 대한 증거로 간주되었으나, 윌리엄 머네인(William Murnane)에 따르면 누비아 원정은 그의 재위시절 이전에 실행된 것이라고 한다.
 
아비도스에 있는 그의 무덤(일부 학자는 아직도 실제 매장지가 아닌 기념비로 해석한다) 매장실은 나무판자로 되어 있다. 제르 통치 이후, 아비도스에 있는 각각의 왕족 무덤은 많은 방으로 구성되었고 각 방에는 여러 종류의 매장품이 있었다. 매장품으로는 황금덮개로 봉인된 돌항아리, 구리 사발, 금팔찌, 음식, 무기, 공구, 사앙와 흑단(黑檀)으로 만들어진 가구 등이 있다.
 
제르의 무덤 북쪽 벽에 보석과 금으로 장식된 팔찌를 찬 리넨을 두른 인간의 팔이 숨겨져 있었는데, 이것은 아마도 무덤 도굴꾼들이 두고 간 것으로 보인다. 카이로 박물관으로 운반되었을 때, 팔은 버려지고 보석류만 보관된 결과 그 팔이 제르 왕의 것인지는 아직도 확실치 않다. 늦어도 중왕국 시대 초에 그의 무덤은 오시리스(Osiris) 신의 기념비로 전환되었다. 에밀 아멜 리노(Emile Amlineau)가 처음 발굴했을 때 매장실에는 오시리스 석상이 있었다.
 
고대 이집트 사전, 257

아하 [Aha, 기원전 3100년경] - 이집트 제1왕조

아하 [Aha, 기원전 3100년경]

 
통일 이집트 제1왕조의 초기 통치자들 중 한 명으로 그의 이름은 투사를 의미한다. 그의 치세는 아비도스(Abydos), 사카라(Saqqara), 나카다(Naqada)에 남아있는 유적에서 주로 알 수 있다.
 
1899~1900년에 아비도스에서 초기왕조 시대의 공동묘지인 움 엘 카아브(Umm el Qa‘ab)를 발굴하던 중 플린더스 페트리(Flinders Petrie)는 무덤 B19/15를 발견하게 되고, 여기에서 아하라는 이름이 있는 물품들이 출토되었다.
 
그러나 사카라 북쪽에서 1930년대에 발굴된 제1, 2왕조의 최상류층 무덤들 중 최초의 것 역시 아하의 재위시절에 속한다는 사실을 단지의 인장을 통해 알 수 있다. 한때 사카라의 무덤이 아하의 매장지이며 아비도스의 무덤은 그저 기념비에 불과하다고 알려졌으나 1960년대, 이 두 유적의 재조사 이후 학술적 견해가 바뀌어 아비도스의 무덤 B19/15가 아하의 매장지이고 사카라의 무덤은 멤피스(Memphis) 고관의 것이라고 추정하게 되었다. 무덤 B19/15 발굴 작업을 포함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움 엘 카아브에서 실시되었던 새로운 연구는 또한 아하가 통일 이집트의 초기 통치자들의 상대적으로 긴 순서보다 앞선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하, 나르메르(Narmer), 메네스(Menes, 멤피스의 반[]신화적 창시자) 사이에 있었을지 모르는 관계를 둘러싸고 여전히 상당한 논쟁이 있으며, 특히 아비도스와 사카라 유적이 이러한 문제와 연관된다. 우선 나카다(Naqada)에 있는 왕조 이전 시대 후기 무덤 중 아하의 아내로 추정되는 네이트호텝(Neithhotep)의 무덤에서 발굴된 상아 표지는 (Men)’이라는 아하의 다른 이름으로 밝혀졌고 이를 근거로 일부 학자들은 멘과 메네스(Menes)가 같은 인물이거나 최소한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추정하게 되었다. 나르메르의 연대기적 순서를 고려했을 때 1985년 움 엘 카아브에서 발견된 인장 날인은 그가 제1왕조 초기 인물임을 명확히 보여주며, 그 까닭은 인장에 따르면 처음 6명의 통치자가 순서대로 나르메르, 아하, 제르(Djer), 제트(Djet), (Den), 섭정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 여성 통치자 메르네이트(Merneith)이기 때문이다. 단지의 인장과 상아 표지를 토대로 나르메르와 아하가 부자관계였고 이들 중 하나가 메네스라는 추정이 가능해진다.
 
고대 이집트 사전, 195

고대 이집트 연표

 이집트 연표 [고대 이집트 사전] 참조

 

왕조 이전 시대 [기원전 5500~3100]

 

  • 바다리 시기(Badarian period) 기원전 5500~4000
  • 아므라 시기(Amratian period, 나카다 1[Naqada I]) 기원전 4000~3500
  • 게르제 시기(Gerzean period, 나카다 2[Naqada II]) 기원전 3500~3100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3100~2686]

 

1왕조 : 기원전 3100~2890

 

2왕조 : 기원전 2890~2680

  • 헤텝세켐위(Hetepsekhemwy) : 기원전 2890년경
  • 라네브(Raneb) : 기원전 2865년경
  • 니네체르(Nynetjer)
  • 웨네그(Weneg)
  • 세네드(Sened)
  • 페립센(Peribsen) : 기원전 2700년경
  • 카세켐위(Kasekhemwy) : 기원전 2686년경

 

고왕국 : 기원전 2686~2181

 

3왕조 : 기원전 2686~1613

  • 사나크트(Sanakht, 네브카[Nebka]?) : 기원전 2686~2667
  • 조세르(Djoser, 네체리케트[Netjerikhet]) : 기원전 2667~2648
  • 세켐케트(Sekhemkhet) : 기원전 2648~2640
  • 카바(Khaba) : 기원전 2640~2637
  • 후니(Huni) : 기원전 2637~2613

 

4왕조 : 기원전 2613~2494

  • 스네푸르(Sneferu) : 기원전 2613~2589
  • 쿠푸(Khufu, 케옵스[Cheops]) : 기원전 2589~2566
  • 제데프라(Djedefra, 라제데프[Radjedef]) : 기원전 2566~2558
  • 카프라(Khafra, 케프렌[Chephren]) : 기원전 2558~2532
  • 멘카우라(Menkaura, 미케리누스[Mycehrinus]) : 기원전 2532~2503
  • 셰프세스카프(Shepseskaf) : 기원전 2503~2498

 

5왕조 : 기원전 2494~2345

  • 우세르카프(Userkaf) : 기원전 2494~2487
  • 사후라(Sahura) : 기원전 2487~2475
  • 네페리르카라(Neferirkara) : 기원전 2475~2455
  • 셰프세스카라(Shepseskara) : 기원전 2455~2448
  • 라네페레프(Raneferef) : 기원전 2448~2445
  • 니우세르라(Nyuserra) : 기원전 2445~2421
  • 멘카우호르(Menkauhor) : 기원전 2421~2375
  • 제트카라(Djedkara) : 기원전 2414~2375
  • 우나스(Unas) : 기원전 2375~2345

 

6왕조 : 기원전 2345~2181

  • 테티(Teti) : 기원전 2345~2323
  • 우세르카라(Userkara) : 기원전 2323~2321
  • 페피 1(Pepy I) : 기원전 2321~2287
  • 메렌라(Merenra) : 기원전 2287~2278
  • 페피 2(Pepy II) : 기원전 2278~2184
  • 니티크레트(Nitiqret) : 기원전 2184~2181

 

1중간기 : 기원전 2181~2055

 

7왕조 ~ 8왕조 : 기원전 2181~2125

  • 단명한 다수의 파라오

 

9왕조 ~ 10왕조 : 기원전 2160~2025

  • 헤라클레오폴리스 시대(Herakleopolitan period)
  • 케티(Khety, 메리이브라[Meryibra])
  • 케티(와흐카라[Wahkara])
  • 메리카라(Merykara)
  • 이티(Ity)

 

11왕조(테베[Thebes]) : 기원전 2125~2055

  • [멘투호텝 1(Mentuhotep I, 테피-아아[Tepy-aa])]
  • 인테프 1(Intef I, 세헤르타위[Sehertawy]) : 기원전 2125~2112
  • 인테프 2(Intef II, 와한크[Wahankh]) : 기원전 2112~2063
  • 인테프 3(Intef III, 나크트네브테프네페르[Nakhtnebtepnefer]) : 기원전 2063~2055

 

중왕국 : 기원전 2055~1650

 

11왕조(전 이집트) : 기원전 2055~1985

  • 멘투호텝 2(네브헤페트라[Nebhepetra]) : 기원전 2055~2004
  • 멘투호텝 3(산크라카[Sankhkara]) : 기원전 2004~1992
  • 멘투호텝 4(네브타위라[Nebtawyra]) : 기원전 1992~1985

 

12왕조 : 기원전 1985~1795

  • 아메넴하트 1(Amenemhat I, 세헤테피브라[Sehetepibra]) : 기원전 1985~1955
  • 세누스레트 1(Senusret I, 케페르카라[Kheperkara]) : 기원전 1965~1920
  • 아메넴하트 1(누브카우라[Nubkaura]) : 기원전 1922~1878
  • 세누스레트 2(카케페르라[Khakheperra]) : 기원전 1880~1874
  • 세누스레트 3(카카우라[Khakaura]) : 기원전 1874~1855
  • 아메넴하트 3(니마아트라[Nimaatra]) : 기원전 1855~1808
  • 아메넴하트 4(마아케루라[Maakherura]) : 기원전 1808~1799
  • 소베크네페루(Sobeknefeur, 소메크카라[Sobekkara]) 여왕 : 기원전 1799~1795

 

13왕조 : 기원전 1795~1650년 이후

  • 13왕조 70여명의 파라오 중 주로 언급되는 5명의 파라오명을 하단에 기재
  • 호르(Hor, 아위브라[Awibra])
  • 켄제르(Khendjer, 우세르카라[Userkara])
  • 소베크호텝 3(Sobekhotep III, 세켐라세와즈타위[Sekhemrasewaditawy])
  • 네페르호텝 1(Neferhotep I, 카세켐라[Khasekhemra])
  • 소베크호텝 4(카네페라[Khaneferra]) : 기원전 1725년경

 

14왕조 : 기원전 1750~1650

  • 13왕조와 동시대에 군소 통치자들이 지배한 시기

 

2중간기 : 기원전 1650~1550

 

15왕조 : 기원전 1650~1550

  • 살리티스(Salitis)
  • 키안(Khyan, 세우세렌나[Seuserenra]) : 기원전 1600년경
  • 아페피(Apepi, 아아우세르라[Aauserra]) : 기원전 1555년경
  • 카무디(Khamu)

 

16왕조 : 기원전 1750~1550

  • 15왕조와 동시대에 군소 힉소스 통치자들이 지배한 시기

 

17왕조 : 기원전 1650~1550

  • 테베에 기반을 둔 다수의 파라오 중 주로 언급되는 4명의 파라오명을 하단에 기재
  • 인테프(Intef, 누브케페르라[Nubkheperra])
  • 타아 1(Taa I, 세나크텐라[Senakhtenra])
  • 타아 2(세케넨라[Seqenenra]) : 기원전 1560년경
  • 카모세(Kamose, 와즈케페르라[Wadjkheperra]) : 기원전 1555~1550

 

신왕국 : 기원전 1550~1069

 

18왕조 : 기원전 1550~1295

  • 아흐모세(Ahmose, 네브페티라[Nebpehtyra]) : 기원전 1550~1525
  • 아멘호텝 1(Amenhotep I, 제세르카라[Djeserkara]) : 기원전 1525~1504
  • 투트모세 1(Thutmose I, 아아케페르카라[Aakheperkara]) : 기원전 1504~1492
  • 투트모세 2(아아케페렌라[Aakeperenra]) : 기원전 1492~1479
  • 투트모세 3(멘케페르라[Menkheperra]) : 기원전 1479~1425
  • 하트셉수트(Hatshepsut, 마아트카라[Maathkara]) 여왕 : 기원전 1473~1458
  • 아멘호텝 2(아아케페루라[Aakheperura]) : 기원전 1427~1400
  • 투트모세 4(멘케페루라[Menkheperura]) : 기원전 1400~1390
  • 아멘호텝 3(네브마아트라[Nebmaatra]) : 기원전 1390~1352
  • 아멘호텝 4(또는 아케나텐[Akhenaten], 네페르케페루라와엔라[Neferkheperurawaenra]) : 기원전 1352~1336
  • 네페르네프루아텐(Nefernefruaten, 스멘카라[Smenkhara]) : 기원전 1338~1336
  • 투탕카멘(Tutankhamen, 네브케페루라[Nebkheperura]) : 기원전 1336~1327
  • 아이(Ay, 케페르케페루사[Kheperkheperura]) : 기원전 1327~1323
  • 호렘헤브(Horembeb, 제르세르케페루라[Djerserkheperura]) : 기원전 1323~1295

 

19왕조 : 기원전 1295~1186

  • 람세스 1(Ramesses I, 멘페티라[Menpehtyra]) : 기원전 1295~1294
  • 세티 1(Seti I, 멘마아트라[Menmaatra]) : 기원전 1294~1279
  • 람세스 2(우세르마아트라 세테펜라[Usermaatra Setepenra]) : 기원전 1279~1213
  • 메렌프타(Merenptah, 바엔라[Baenra]) : 기원전 1213~1203
  • 아멘메수(Amenmessu, 멘미라[Menmira]) : 기원전 1203~1200
  • 세티 2(우세르케페루라 세테펜라[Userkheperura Setepenra]) : 기원전 1200~1194
  • 사프타(Saptah, 아켄라 세테펜라[Akhenra Setepenra]) : 기원전 1194~1188
  • 타우스레트(Tausret, 시트라메리타문[Sitrameritamun]) : 기원전 1188~1186

 

20왕조 : 기원전 1186~1069

  • 세트나크테(Sethnakhte, 우세르카우라 메리아문[Userkhaura Meryamun]) : 기원전 1186~1184
  • 람세스 3(우세르마아트라 메리아문[Usermaatra Meryamun]) : 기원전 1184~1153
  • 람세스 4(헤카마아트라 세테페나문[Hekamaatra Setepenamun]) : 기원전 1153~1147
  • 람세스 5(우세르마아트라 세케페렌라[Usermaatra Sekheperenra]) : 기원전 1147~1143
  • 람세스 6(네브마아트라 메리아문[Nebmaatra Meryamun]) : 기원전 1143~1136
  • 람세스 7(우세르마아트라 세케펜라 메리아문[Usermaatra Setepenra Meryamun]) : 기원전 1136~1129
  • 람세스 8(우세르마아트라 아케나문[Usermaatra Akhenamun]) : 기원전 1129~1126
  • 람세스 9(네페르카라 세테펜라[Neferkara Setepenra]) : 기원전 1126~1108
  • 람세스 10(케페르마아트라 세테펜라[Khepermaatra Setepenra]) : 기원전 1108~1099
  • 람세스 11(멘마아트라 세테펜프타[Manmaatra Setepenptah]) : 기원전 1099~1069

 

3중간기 : 기원전 1069~747

 

21왕조(타니스[Tanite] 왕조) : 기원전 1069~945

  • 스멘데스(Smendes, 헤즈케페르라 세테펜라[Hedjkheperra Setepenra]) : 기원전 1069~1043
  • 아메넴니수(Amenemnisu, 네페르카라[Neferkara]) : 기원전 1043~1039
  • 프수센네스 1(Psusennes I, 파세바카엔니우트[Pasebakhaenniut], 아아케페라 세테페나문[Aakheperra Setepenamun]) : 기원전 1039~991
  • 아메네모페(Amenemope, 우세르마아트라 세테페나문[Usermaatra Setepenamun]) : 기원전 993~984
  • 대 오소르콘(Osorkon the older, 아아케페라 세테펜라[Aakheperra Setepenra]) : 기원전 984~978
  • 시아문(Siamun, 네체르케페르라 세테페나문[Netjerkheperra Setepenamun]) : 기원전 978~959
  • 프수센네스 2(티트케페루라 세테펜라[Titkheperura Setepenra]) : 기원전 959~945

 

22왕조(부바스티스[Bubastite] 왕조 / 리비아 왕조) : 기원전 945~715

  • 세숀크 1(Sheshonq I, 헤즈케페르라 세테펜라[Hedjkheperra Setepenra]) : 기원전 945~924
  • 오소르콘 1(Osorkon I, 세켐케페르라[Sekhemkheperra]) : 기원전 924~889
  • 세숀크 2(헤카케페르라 세테펜라[Hekakeperra Setepenra]) : 기원전 890년경
  • 타켈로트 1(Takelot I) : 기원전 889-874
  • 오소르콘 2(우세르마아트라 세테페나문[Usermaatra Setepenamun]) : 기원전 874~825
  • 타켈로트 2(헤즈케페르라 세테펜라[Hedjkheperra Setepenra] / 아문[amun]) : 기원전 850~825
  • 세숀크 3(우세르마아트라[Usermaatra]) : 기원전 825~773
  • 피마이(Pimay, 우세르마아트라[Usermaatra]) : 기원전 773~767
  • 세숀크 5(아아케페르라[Aakheperra]) : 기원전 767~730
  • 오소르콘 4(아아케페르라 세테페나문[Aakheperra Setepenamun]) : 기원전 730~715

 

23왕조(타니스 왕조 / 리비아 왕조) : 기원전 818~715

  • 헤라클레오폴리스 마그나(Herakleopolis Magna), 헤르모폴리스 마그나(Hermopolis Magna), 레온토폴리스(Leontopolis), 타니스(Tanis)의 통치자들과 동시대를 통치했으며, 주로 언급되는 3명의 통치자 이름을 하단에 기재.

 

  • 페두바스티스 1(Pedubastis I, 우세르마아트라[Usermaatra]) : 기원전 818~793
  • 세숀크 4(Sheshonq IV) : 기원전 780
  • 오소르콘 3(우세르마아트라 세테페나문[Usermaatra Setepenamun]) : 기원전 777~749

 

24왕조 : 기원전 727~715

  • 바켄레네프(Bakenrenef, 보코리스[Bocchoris]) : 기원전 727~715

 

후기왕조 시대 : 기원전 747~332

 

25왕조(쿠시[Kushite] 왕조) : 기원전 747~656

  • 피이(Piy, 피안키[Piankhy]) : 기원전 747~716
  • 샤바코(Shabaqo, 네페르카라[Neferkara]) : 기원전 716~702
  • 샤비트코(Shanbitqo, 제드카우라(Djedkaura]) : 기원전 702~690
  • 타하르코(Taharqo, 쿠네페르템라(Khunefertemra]) : 기원전 690~664
  • 타누타마니(Tanutamani, 바카라[Bakara]) : 기원전 664~656

 

26왕조(사이스[Saite] 왕조) : 기원전 664~525

  • [네카우 1(Nekau I)] : 기원전 672~664
  • 프삼테크 1(Psamtek I, 와히브라[Wahibra]) : 기원전 664~610
  • 네카우 2(웨헤미브라[Wehemibra]) : 기원전 610~595
  • 프삼테크 2(네페리브라[Neferibra]) : 기원전 595~589
  • 아프리에스(Apries, 하아이브라[Haaibra]) : 기원전 589~570
  • 아흐모세 2(크네미브라[Khenmibra]) : 기원전 570~526
  • 프삼테크 3(안크카엔라[Ankhkaenra]) : 기원전 526~525

 

27왕조(1페르시아기) : 기원전 526~404

  • 캄비세스(Cambyses) : 기원전 525~522
  • 다리우스 1(Darius I) : 기원전 522~486
  • 크세르크세스 1(Xerxes I) : 기원전 486~465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Artaxerxes I) : 기원전 465~424
  • 다리우스 2: 기원전 424~405
  • 아르타크세크크세스 2: 기원전 405~359

 

28왕조 : 기원전 404~339

  • 아미르타이오스(Amytaios) : 기원전 404~399

 

29왕조 : 기원전 399~380

  • 네페리테스 1(Nepherites I) : 기원전 399~393
  • 하코르(Hakor, 크넴마아트라[Khnemmaatra]) : 기원전 393~380
  • 네페리테스 2: 기원전 380년경

 

30왕조 : 기원전 380~343

  • 넥타네보 1(Nectanebo I, 케페르카라[Kheperkara]) : 기원전 380~362
  • 테오스(Teos, 이르마아텐라[Irmaatenra]) : 기원전 362~360
  • 넥타네보 2(세네제미브라 세테페난후르[Senedjemibra Setepenanhur]) : 기원전 360~343

 

2페르시아기 : 기원전 343~332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 기원전 343~338
  • 아르세스(Arses) : 기원전 338~336
  • 다리우스 3세 코도만(Darius III Dodoman) : 기원전 336~332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 기원전 332~30

 

마케도니아(Macedonian) 왕조 : 기원전 332~305

  • 알렉산드로스 대왕(Alexander the Great) : 기원전 332~323
  • 필립포스 아리다이오스(Philip Arrhidaeus) : 기원전 323~317
  • 알렉산드로스 4: 기원전 317~310

 

프톨레마이오스(Ptolemaic) 왕조 : 기원전 305~30

  •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1(Ptolemy I Soter I) : 기원전 305~285
  •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푸스(Philadelphus) : 기원전 285~246
  • 프톨레마이오스 3세 에우에르게테스 1(Euergetes I) : 기원전 246~221
  • 프톨레마이오스 4세 필로파토르(Philopator) : 기원전 221~205
  • 프톨레마이오스 5세 에피파네스(Epiphanes) : 기원전 205~180
  • 프톨레마이오스 6세 필로메토르(Philometor) : 기원전 180~145
  • 프톨레마이오스 7세 네오스 필로파토르(Neos Philopator) : 기원전 145
  • 프톨레마이오스 8세 에우에르게테스 2: 기원전 170~116
  • 프톨레마이오스 9세 소테르 2: 기원전 116~107
  • 프톨레마이오스 10세 알렉산드로스 1: 기원전 107~88
  • 프톨레마이오스 9세 소테르 2(복위) : 기원전 88~80
  • 프톨레마이오스 11세 알렉산드로스 2: 기원전 80
  • 프톨레마이오스 12세 네오스 디오니소스(Neos Dionysos, 아울레테스[Auletes]) : 기원전 80~51
  • 클레오파트라 7세 필로파토르(Cleopatra VII Philopator) : 기원전 51~30
  • 프톨레마이오스 13: 기원전 51~47
  • 프톨레마이오스 14: 기원전 47~44
  • 프톨레마이오스 15세 카이사리온(Caesarion) : 기원전 44~30

 

스네프루 [Snefru, 기원전 2613~2589] 이집트 제4왕조, ‘성스러운 왕’

스네프루 [Snefru, 기원전 2613~2589] 이집트 제 4 왕조 , ‘ 성스러운 왕 ’   스네프루는 고대 이집트의 제 4 왕조를 시작한 왕이다 . 그는 24 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하면서 왕권을 강화하고 남북 지역의 교류를 확대했으며 영토도 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