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가톨릭 교황]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가톨릭 교황]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9월 9일 화요일

교황 우르바노 2세(Urban II, c.1035–1099)의 권위 재건과 제1차 십자군

교황 우르바노 2(Urban II, c.10351099)의 권위 재건과 제1차 십자군

 
우르바노 2(Urban II, c.10351099)는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 재위 기간은 1088년부터 1099년까지 활동하였다. 그는 클레르몽 공의회를 소집해 제1차 십자군을 촉발한 인물로 알려진다. 동시에 로마 교황청의 행정 체계를 정비하고, 서유럽의 정치 세력과의 갈등 속에서 교황권의 권위를 재건하려 한다. 생애와 정책은 클뤼니 개혁 전통, 서방과 동방 교회의 분열 상황, 노르만 세력과 신성로마제국 간의 역학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이 글은 주어진 주제 구성에 따라 그의 오스티아 주교 시기, 교황 재위의 권위 투쟁, 1차 십자군, 이베리아와 시칠리아 정책, 그리고 공경(Veneration)을 정리한다.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된,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에 제작된 소형 삽화에 묘사된 우르바노 2세 교황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된,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에 제작된 소형 삽화에 묘사된 우르바노 2세 교황
 

1. 오스티아의 주교(Bishop of Ostia)

 
우르바노 2세의 세속명은 오도 드 샤티용(Odo of Châtillon)이거나 오토 드 라제리(Otho de Lagery)로 전해진다. 그는 프랑스 샤티용쉬르마른 출신 귀족 가문의 후예로 알려진다. 1050년경 랭스 대성당 학교에서 수학하고, 클뤼니 수도원에서 전집사이자 고위 수도자로 활동한다. 그레고리우스 7(Gregory VII, c.10151085)에 의해 약 1080년에 오스티아의 추기경 주교로 임명된다. 그는 그레고리오 개혁의 핵심 지지자였고, 1084년 신성로마제국 지역 교황사절로 활동하며 주교 임명권 분쟁에 적극 관여한다. 10883월 테라치나에서 소수 추기경과 고위 성직자들의 추대로 교황에 선출된다.
 

2. 권위에 대한 투쟁

 
우르바노 2세는 즉위 직후부터 대립교황 클레멘스 3(Antipope Clement III,) 문제와 맞닥뜨린다. 이는 주교 임명권을 둘러싼 교황과 세속 군주의 충돌, 즉 서임권 논쟁의 연장선에 놓여 있다. 그는 베드로좌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지지 기반을 다지고, 개혁파 주교단과 수도원 네트워크를 활용해 정통 교황청의 권위를 선전한다. 또한 로마 진입과 퇴각을 반복하던 불안정한 정세 속에서 프랑스와 노르만 세력의 지지를 받으며 교황령의 실효적 통치를 회복하려 한다. 1097년 프랑스군의 원조로 로마에서 대립교황의 영향력을 제거하는 성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권위 투쟁은 단지 정치적 승부가 아니라, 교회 규율의 정화와 교황권 우위를 원칙으로 하는 그레고리오 개혁 정신의 지속을 의미한다.
 

3. 1차 십자군(First Crusade)

 
1095년 우르바노 2세는 클레르몽 공의회를 소집하고, 동방 교회와 비잔틴 제국이 겪는 군사적 위기에 대응해 원정 참여를 호소한다. 그가 약속한 것은 원정에 참여하는 이들에게 과거 모든 죄과의 사면이라는 보상이었다. 연설의 구체적 문구와 표어 데우스 불트(Deus vult)”의 현장 사용 여부는 사료마다 차이가 있으며, 후대 기록이 수사적으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가 보낸 서한들은 예루살렘 탈환만이 아니라 동방 교회의 해방이라는 보다 넓은 목표를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처음에는 비잔틴 원조를 위한 제한된 규모의 파병 구상이었으나, 프랑스 지역 유력자들의 참여 의지가 결합되며 대규모 군사 운동으로 확장된다. 1차 십자군은 결과적으로 1099년 예루살렘 점령으로 귀결되지만, 교황은 이 소식을 듣기 전에 선종한다.
 

4. 이베리아 문제

 
우르바노 2세는 재위 초기부터 이베리아 문제에 관여한다. 1088년 톨레도 교좌를 히스파니아 전역의 수좌좌로 승격시키고, 타라고나 재건을 위해 카탈루냐 귀족들에게 면죄 특전을 부여한다. 그는 동방 원정과 스페인에서의 무어인 세력과의 투쟁을 동일한 신학적·정치적 기획으로 보며, 스페인 전선에 나서는 이들에게도 동일 범주의 죄 사함을 적용하려는 일관된 정책을 취한다. 이는 서유럽 전역에서 성전개념이 동시다발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지역 정치 세력과 교회 조직을 결속시키는 장치로 기능한다.
 

5. 시칠리아 문제

 
교황은 비잔틴 제국 및 신성로마제국과의 갈등 국면에서 캄파니아와 시칠리아의 노르만 세력과 협력한다. 그 대가로 로저 1(Roger I of Sicily, c.10311101)에게 주교 임명권에 준하는 광범위한 특권, 교회 수입 선징수, 교회 문제에 대한 재판권 등을 부여한다. 1098년 이러한 특권은 당시 유럽의 다른 세속 군주들에게 허용되지 않던 비범한 권한으로 평가된다. 노르만 통치 하 시칠리아에서 사실상 교황 특사에 준하는 지위를 인정받은 로저 1세는 섬 내 교회행정의 관할권을 확립한다. 이는 훗날 호엔슈타우펜 가문과의 충돌 요소로도 작용하지만, 우르바노 2세 시기에는 교황권의 지정학적 동맹 구축이라는 현실적 성과를 의미한다.
 

6. 정비와 행정 혁신

 
우르바노 2세는 교황청의 중앙 행정기구인 로마 교황청(Roman Curia)을 궁정형 교회법정 모델로 정비한다. 이는 서임권 논쟁과 대립교황 사태를 헤쳐 나가야 했던 상황에서 제도적 일관성과 문서 행정을 강화하려는 조치다. 교황청의 재판·관리 기능이 명문화되며, 서방 교회의 표준화된 규율 집행과 통신망이 강화된다. 이러한 제도화는 후대 교황정치의 행정적 토대를 구성한다.
 

7. 선종과 유산

 
우르바노 2세는 1099729일 선종한다. 예루살렘 함락은 그로부터 14일 전 발생했으나, 소식이 이탈리아에 도달하기 전에 그가 눈을 감는다. 후계자는 파스카리오 2(Paschal II, c.10501118)로 이어진다. 우르바노 2세의 가장 직접적 정치적 성과는 1097년 로마에서 대립교황 클레멘스 3세의 영향력 제거였고, 장기적으로는 교황권의 전유적 권위를 행정과 외교, 성전 동원 능력으로 구체화한 데 있다. 1차 십자군은 그가 구축한 사면 체계와 성지 해방 담론, 그리고 서방 귀족 네트워크가 결합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8. 축일

 
우르바노 2세는 1881714일 레오 13(Leo XIII, 18101903)에 의해 시복된다. 그의 기념일은 729일로 정하여 교회 전례력에 반영된다. 후대 공경은 제1차 십자군의 복합적 유산과 분리해서 이해될 수 없으며, 중세 교회개혁의 연속성과 정치적 교황권의 확립이라는 두 축 위에서 평가된다.
 

9. 사료와 해석의 쟁점

 
  • 클레르몽 연설의 실제 문구와 데우스 불트의 현장 구호 여부는 사료 간 차이가 있다. 로베르 드 몽크(Robert the Monk) 등의 서술은 후대적 수사 가능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연설의 수사와 면죄 약속의 범위는 서한 자료와 병치해 비판적으로 읽어야 한다.
  • 우르바노 2세가 동방 지원을 본래 제한적 규모로 기획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 프랑스 유력자들과의 접촉이 원정 규모 확대를 이끌었다는 견해가 제기된다.
  • 이베리아 전선에 대한 면죄 특전 부여는 십자군 개념의 지리적 확장을 보여준다. 이는 중세 라틴 기독교권에서 성전개념이 전선별로 변주되는 구조를 반영한다.
  • 로마 교황청의 제도화는 단발적 행정 개편이 아니라, 그레고리오 개혁의 제도적 내재화 과정으로 읽을 수 있다. 이는 후대 교황정치의 법제 기반을 형성한다.
 
우르바노 2세는 개혁가이자 조직가이며, 설교자이자 외교가로서 교황권의 권위를 신학적 명분과 제도적 장치, 그리고 군사 동원을 통해 재정의한다. 그의 재위는 대립교황 사태의 수습, 로마 교황청의 행정 정비, 십자군 담론의 제도화라는 세 축으로 요약된다. 그 결과는 성지 원정의 비극적 유산과 함께, 중세 라틴 교회의 자기 정체성과 권위 구조를 결정지은 분수령으로 남는다.

2022년 3월 13일 일요일

[초대 교황] 베드로(Saint Peter, 33년 4월 1일 ~ 67년 6월 29일)

 [초대 교황] 베드로(Saint Peter, 3341~ 67629)

 

Saint Peter (c.16101612) by Peter Paul Rubens, depicting Peter, vested in the pallium, and holding the Keys of Heaven.


베드로(고대 그리스어 : Πέτρος 페트로스, 라틴어: Petrus 페트루스, 이탈리아어: Pietro 피에트로, 1년경? ~ 66년경?)는 기독교의 사도로서 예수의 열두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며, 초대 교황(재위: 3341~ 67629)이다. 특히 신약성경의 복음서와 사도행전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베드로는 요나 또는 요한의 아들로서 갈릴래아 지방 베싸이다 마을 태생이다. 그는 사도 안드레아와 형제지간이다. 원래 이름은 시몬(Simon) 이었으나, 예수가 그에게 아람어로 반석이라는 뜻의 게파(כיפא, kepa, Cepha)라는 새 이름을 지어주었으며, 이를 소리 나는 대로 고대 그리스어문자로 케파스’(Κηφας)로 적고, 낱말 뜻을 고대 그리스어 단어인 페트로스(, 바위)로 표기한 이름이다.

 

예수 승천 후 베드로는 예수를 대신하여 교회의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으며 공동체를 구성하여 소유를 공동으로 할 때 자신의 소유를 속인 사람이 죽음에 이르게 하기도 했다. 이후 헤로데 1세에게 붙들렸다가 도망하여 소아시아 및 안티오키아에서 전도하였다.

 

기독교 전승에 따르면, 그는 로마에서 교회를 지도하던 중 네로 황제의 박해에 휘말려 거꾸로 된 십자가에 못박혀 순교하였다고 한다. 바티칸 시국의 성 베드로 대성전 아래 그의 무덤이 있다고 전해진다. 베드로는 예수에게서 하느님의 나라의 열쇠를 부여받았기 때문에(마르코의 복음서 1619)라고 주장하며 천주교회만이 현재까지 베드로의 후계자인 교황을 선출하고 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사도 바울로와 같은 날짜인 629일을 베드로 사도의 대축일로 기념하고 있다.

2021년 2월 12일 금요일

20세기의 교황들

20세기의 교황들

 

대수

이름

초상화

출신지

재위기간

257

성 비오 10세

(St. Pius X)

트레비소

1903.8.4;8.9

~1914.8.20

258

베네딕토 15세

(Benedictus XV)

제노바

1914.9.3;9.6

~1922.1.22

259

비오 11세

(Pius XI)

밀라노

1922.2.6;2.12

~1939.2.10

260

비오 12세

(Pius XII)

로마

1939.3.2;3.12

~1958.10.9

261

요한 23세

(Joannes XXIII)

베르가모

1958.10.28;11.4

~1963.6.3

262

바오로 6세

(Paulus VI)

콘체시오

1963.6.21;6.30

~1978.8.6

263

요한 바오로 1세

(Joannes Paulus I)

벨루노

1978.8.26;9.3

~1978.9.28

264

복자 요한 바오로 2세

(B. Joannes Paulus II)

폴란드

1978.10.16;10.22

~2005.4.2

 

* I Sommi Pontefici Romani(교황청 연감 Annuario Pontificio 1993, Citta` del Vaticano 1993, 7-23면)

19세기의 교황들

19세기의 교황들

 

대수

이름

초상화

출신지

재위기간

252

레오 12세

(Leo XII)

파브리아노

1823.9.28;10.5

~1829.2.10

253

비오 8세

(Pius VIII)

친골리

1829.3.31;4.5

~1830.11.30

254

그레고리오 16세

(Gregorius XVI)

벨루노

1831.2.2;2.6

~1846.6.1

255

비오 9세

(Pius IX)

세니갈리아

1846.6.16;6.21

~1878.2.7

256

레오 13세

(Leo XIII)

아나니

1878.2.20;3.3

~1903.7.20

 

* I Sommi Pontefici Romani(교황청 연감 Annuario Pontificio 1993, Citta` del Vaticano 1993, 7-23면)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