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인물 - 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인물 - 바]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8월 25일 월요일

교황 비오 1세(Pope Pius I, AD.?~c.154) : 제10대 교황(AD.c.140~c.154)

교황 비오 1(Pope Pius I, AD.?~c.154) : 10대 교황(AD.c.140~c.154)

 
  • Pius I [Italian : Pio I / Greek : Πίος]
  • 출생 : 미상 / Aquileia, Italy, Roman Empire
  • 사망 : c.154 / Rome, Italy, Roman Empire
  • 부친 : 루피누스(Rufinus)
  • 재위 : c.140~c.154
 
피에트로 페루지노가 그린 15세기 교황 비오 1세의 초상화
 
교황 비오 1(Pope Pius I)는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초기 로마 교황 중 한 명이다. 그는 일반적으로 제10대 교황으로 알려져 있으며, 재위 기간 동안 로마 교회는 영지주의(Gnosticism)와 같은 강력한 이단 사상의 도전에 직면했다. 그의 사목 활동은 이러한 교리적 위협에 맞서 로마 교회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교회의 조직과 전례를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오 1세는 모든 초기 교황들과 마찬가지로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어 오늘날까지 공경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교황 비오 1세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그를 둘러싼 역사적 기록과 전승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1. 비오 1세의 생애 초기 : 배경과 가족 관계

 
비오 1세의 이름인 비오(Pius)’는 라틴어로 경건한또는 충실한이라는 뜻을 지닌다. 교황 연대표(Liber Pontificalis)에 따르면, 그는 1세기 말엽 이탈리아 북부의 아퀼레이아(Aquileia)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이름은 루피누스(Rufinus)이며, 역시 아퀼레이아 출신이라고 전해진다.
 
2세기 문헌인 무라토리의 카논(Muratorian Canon)리베리오 교황표(Liberian Catalogue)에 따르면, 비오 1세에게는 헤르마스(Hermas)라는 형제가 있었다. 이 헤르마스는 신약성경 위경(Apocrypha) 중 하나인 헤르마스의 목자(The Shepherd of Hermas)의 저자이다. 헤르마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자신이 과거에 노예 신분이었다고 고백하는데, 이를 근거로 일부 역사가들은 헤르마스와 비오 1세 모두 본래 노예였다가 해방되어 자유민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가족 배경은 그의 삶과 교황으로서의 사목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을 던진다.
 

2. 교황 재위 기간 : 주요 사안과 이단과의 대결

 
비오 1세는 2세기 중엽 안토니누스 피우스(Antoninus Pius, 재위 138-161)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Marcus Aurelius, 재위 161-180)의 치세 동안 로마 교회를 이끌었다. 그의 교황 재위 기간은 로마 교회가 내부적으로 조직을 정비하고 교리적 순수성을 지켜내기 위해 치열한 이단 논쟁에 참여하던 시기였다.
 

1) 주요 전례 및 건설 활동

 
교황 연대표는 비오 1세가 몇 가지 중요한 전례적 규정을 만들었다고 전한다.
  • 예수 부활 대축일 날짜 규정 : 그는 예수 부활 대축일(Easter)은 오직 주일(일요일)에만 거행되어야 한다는 지시를 내렸다고 전해진다. 이는 부활절 날짜를 유대인의 과월절(Passover)에 맞출 것인가, 아니면 주일에 지낼 것인가에 대한 초기 교회 내의 논쟁(콰르토데키만 논쟁)에서 로마 교회의 입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교황 연대표6세기 초에 편찬되었기 때문에, 이 기록의 역사적 신빙성은 부확실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 산타 푸덴치아나 성당 건립 지시 : 비오 1세는 로마에 산타 푸덴치아나 성당(Santa Pudenziana)을 건립할 것을 지시했다고 전해진다. 이 성당은 오늘날 로마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이 지시는 비록 직접적인 증거가 부족할지라도, 초기 로마 교회가 신자들이 모여 예배를 드릴 공식적인 장소를 확보하려 했던 노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부분이다.
 

2) 영지주의와의 치열한 대결

 
비오 1세의 재위 기간 중 가장 중요한 사목 활동은 바로 영지주의 이단과의 싸움이었다. 영지주의는 초기 기독교에 큰 위협이 되었던 복잡한 사상으로, 물질세계를 악하고 영적인 것을 선하다고 보며, 구원이 특별한 영지(gnosis)’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는 기독교의 창조론, 그리스도의 육신 강림, 부활 등 핵심 교리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었다.
 
비오 1세가 교황으로 있었을 당시 로마에서는 순교자 유스티노(Saint Justin Martyr)가 기독교 교리를 가르치는 동시에, 발렌티누스(Valentinus), 케르돈(Cerdon), 마르키온(Marcion) 등의 영지주의 신봉 이단자들이 활발하게 활동했다. 특히 마르키온은 구약성경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느님을 부정하는 급진적인 주장을 펼쳐 교회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
 
이러한 상황은 로마 교회에 큰 교리적 문제를 일으켰고, 비오 1세는 이들을 단죄하고 파문(excommunication)하였다. 이단의 활동에 단호하게 대응한 비오 1세의 조치는 로마 교회가 사도들로부터 이어받은 정통 교리를 수호하고, 신앙 공동체의 순수성과 일치를 지켜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는 초기 기독교 교리 확립 과정에서 교황의 리더십이 얼마나 중요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3. 순교 여부에 대한 역사적 논란

 
비오 1세가 순교했으리라는 추측은 오래된 전통 중 하나다. 일부 초기 판본의 성무일도(Liturgy of the Hours)에는 그가 순교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순교 전승은 현대에 와서 그 신빙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1969년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 달력이 개정될 때, 비오 1세의 순교 여부에 대한 심도 깊은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비오 1세가 순교했다는 명확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순교자라는 칭호가 제거되었다. 로마 순교록(Roman Martyrology)또한 비오 1세를 순교자로 기록하고 있지 않다. 이는 역사적 기록의 엄밀성을 중시하는 현대 교회의 입장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며, 순교자로서의 공경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의 축일은 711일로 지내고 있다.
 

4. 결론 : 교리 수호와 조직 안정에 헌신한 교황

 
교황 비오 1세는 로마 교회의 열 번째 주교로서, 2세기 중엽 로마에서 번성하던 영지주의 이단과의 치열한 싸움에 직면했다. 그는 발렌티누스, 케르돈, 마르키온과 같은 영지주의 지도자들을 단죄하고 파문하며 로마 교회의 정통 교리를 수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이러한 단호한 대응은 혼란스러운 시기에 교리적 순수성과 일치를 지키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비록 그의 재위 기간에 대한 정확한 연대나 전례 제정, 성당 건립에 대한 기록의 역사적 신빙성은 논란의 여지가 있고, 순교자라는 칭호는 후대에 와서 제거되었지만, 이는 당시 초기 기독교 기록의 한계와 시대적 특성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비오 1세는 로마 제국 내에서 기독교가 점차 성장하고 체계를 갖추어 나가던 시기에 교회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내부적 질서와 외부적 도전에 모두 대응하며 로마 교회의 기틀을 더욱 견고히 다졌다. 그의 유산은 고대 로마에서 기독교가 어떻게 뿌리내리고 발전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교리적 논쟁 속에서 어떻게 정체성을 확립해 나갔는지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통찰을 제공하는 중요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2025년 8월 18일 월요일

바실리우스 2세(Basil II, AD.958~1025) : 동로마 제국 제96대 황제(AD.976~1025)

바실리우스 2(Basil II, AD.958~1025) : 동로마 제국 제96대 황제(AD.976~1025)

 
  • 바실리우스 2(Basil II Porphyrogenitus)
  • [Greek : Βασίλειος Πορφυρογέννητος / romanized : Basíleios Porphyrogénnētos]
  • the Bulgar Slayer [Greek : ὁ Βουλγαροκτόνος, ho Boulgaroktónos]
  • 출생 : 958
  • 사망 : 10251215
  • 부친 : 로마노스 2(Romanos II)
  • 모친 : 테오파노(Theophano)
  • 재위 : 976110~ 10251215
  • 대관식(공동황제) : 960422
 
국립역사박물관 소장 『메노로기온』에 실린 바실리오스 2세의 복원된 초상화
국립역사박물관 소장 메노로기온에 실린 바실리오스 2세의 복원된 초상화
 

1. 바실리우스 2세 황제 : ‘불가리아인의 학살자’, 제국을 최전성기로 이끌다

 
바실리우스 2(Basil II, 95810251215)976년부터 1025년까지 비잔틴 제국을 통치했던 황제였다. 50년에 가까운 그의 긴 재위 기간은 비잔틴 제국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시기 중 하나로 평가된다. 그는 강력한 군사적 리더십으로 제국 내부의 반란을 진압하고, 대외적으로는 특히 불가리아를 완전히 정복하여 불가리아인의 학살자(Βουλγαροκτόνος, Boulgaroktónos)’라는 별칭을 얻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비잔틴 제국은 군사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2. 불안정한 어린 시절과 황위 계승

 
바실리우스 2세는 958년 콘스탄티노플에서 황제 로마노스 2(Romanos II, 938963)와 황후 테오파노(Theophano, 생몰년 미상)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이미 960422일 공동 황제로 즉위했지만, 당시 2살에 불과했다. 그의 아버지가 963년 의문사한 후, 어머니 테오파노가 섭정을 맡았고, 유능한 장군 나이키포로스 2세 포카스(Nikephoros II Phokas, 912년경969)가 황제에 올라 그의 양아버지가 되었다. 그러나 나이키포로스 2세 역시 969년 암살당했고, 요한네스 1세 치미스케스(John I Tzimiskes, 925년경976)가 황제가 되어 다시 바실리우스의 양아버지가 되었다.
 
두 명의 강력한 군인 황제 아래서 어린 시절을 보낸 바실리우스는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할 수 없었다. 그와 그의 동생 콘스탄티노스(Constantine VIII, 9601028)는 상징적인 공동 황제였을 뿐이었다. 요한네스 1세 치미스케스가 976년 사망하자, 바실리우스는 드디어 단독 황제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즉위 초부터 강력한 귀족 가문들의 반란에 직면했다.
 

3. 내부 반란 진압 : 바르다스 스클레로스와 바르다스 포카스

 
황위에 오른 바실리우스 2세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은 제국의 유력 귀족 가문들이 일으킨 반란이었다. 특히 두 차례에 걸친 바르다스(Bardas)의 반란은 그의 통치를 위협했다.
 
  • 바르다스 스클레로스(Bardas Skleros, 920년대991)의 반란 : 976년부터 979년까지 이어진 이 반란은 요한네스 1세 치미스케스의 치세에 동방 군대의 총사령관이었던 바르다스 스클레로스가 일으켰다. 스클레로스는 탁월한 군사적 재능으로 정부군을 여러 차례 격파하고 콘스탄티노플 근처까지 진격하기도 했다. 그러나 바실리우스 2세는 숙적인 바르다스 포카스(Bardas Phokas the Younger, 940년경989)를 불러들여 스클레로스에 맞서게 했고, 결국 스클레로스는 패배하여 아랍으로 망명해야 했다.
  • 바르다스 포카스(Bardas Phokas the Younger, 940년경989)의 반란 : 스클레로스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일조했던 바르다스 포카스는 987년에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포카스 가문은 비잔틴 제국 내에서도 막강한 군사력을 가진 가문이었고, 포카스 또한 유능한 장군이었다. 그는 반란 초기에 성공을 거두었으나, 989년에 오론테스 강 전투(Battle of the Orontes)에서 바실리우스 2세에게 결정적으로 패배하고 사망했다. 이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바실리우스 2세는 키예프 루스(Kievan Rus')의 대공 블라디미르 1(Vladimir the Great, 9581015)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그 대가로 여동생 안나(Anna Porphyrogenneta, 9633131011)를 블라디미르에게 시집보내야 했다. 블라디미르는 이를 통해 기독교(동방 정교회)로 개종하고 러시아 지역의 정교회 전파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러한 두 차례의 대규모 반란을 직접 지휘하며 진압함으로써, 바실리우스 2세는 제국 내부의 강력한 귀족 세력들을 약화시키고 황제 중심의 중앙집권 체제를 확고히 구축할 수 있었다. 이 경험은 그에게 귀족에 대한 깊은 불신을 심어주었으며, 평생 결혼하지 않고 후계자를 두지 않게 만들었다.
 

4. ‘불가리아인의 학살자’ : 불가리아 정복 전쟁

 
내부의 적들을 제압한 바실리우스 2세는 이제 비잔틴 제국의 오랜 숙적이었던 불가리아 제1제국(First Bulgarian Empire)과의 전쟁에 집중했다. 그의 오랜 불가리아 원정은 거의 30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그는 불가리아인의 학살자라는 무시무시한 별명을 얻게 되었다.
 
불가리아의 황제 사무엘(Samuel of Bulgaria, 생몰년 미상)은 한때 발칸반도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며 비잔틴 제국에 큰 위협이 되었다. 바실리우스 2세는 사무엘의 도전을 물리치기 위해 매년 불가리아 원정을 감행하며 불가리아군을 지치게 만들었다.
 
결정적인 전투는 1014년 클레이디온 전투(Battle of Kleidion)에서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바실리우스 2세는 불가리아군에게 치명적인 패배를 안겼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포로로 잡은 불가리아 병사들 15,000명 중 100명당 한 명만 남겨두고 나머지의 눈을 멀게 했다. 단 한 명에게만 한쪽 눈을 남겨두어 동료들을 이끌고 돌아가게 했다는 이야기는 불가리아인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사무엘 황제는 이 광경을 보고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이 잔혹한 승리 이후, 바실리우스 2세는 불가리아인의 학살자로 불리게 되었다. 1018, 그는 마침내 불가리아를 완전히 정복하고 비잔틴 제국의 주로 편입시켰다. 이로써 발칸반도에서의 비잔틴 제국의 패권은 확고해졌다.
 

5. 내치와 재정 정책

 
바실리우스 2세는 탁월한 군사적 재능 외에도 현명한 내치로 제국을 안정시켰다. 그는 특히 소농민들을 보호하는 정책을 펼쳤다. 귀족들이 토지를 독점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강력한 법률을 제정하고, 소농민들의 세금 부담을 줄여주었다. 이러한 정책은 제국의 기반이 되는 소농민층의 삶을 안정시키고, 그들이 군대의 주요 병력을 제공하는 원천이 되도록 유지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끊임없는 전쟁에도 불구하고, 소농민들에게는 상대적인 번영의 시기였다. 그는 또한 토지를 측량하고 재정 지도를 만드는 등 효율적인 세금 징수 시스템을 구축하여 제국의 재정 기반을 강화했다.
 

6. 대외 관계와 제국의 확장

 
바실리우스 2세는 불가리아 외에도 제국의 다양한 국경에서 활발한 군사 활동을 펼쳤다.
 
  • 동부 전선 : 파티마 왕조(Fatimid Caliphate)의 시리아 침공에 대응하여 동방으로 진군하여 제국의 영토를 방어하고 확장했다. 특히 999년에는 중요한 도시들을 탈환하고 시리아 북부에서의 비잔틴의 영향력을 강화했다.
  • 캅카스 지역 : 이베리아(Iberia)와 아르메니아(Armenia) 지역에서도 활발한 군사 활동을 벌였다. 조지아(Georgia)의 국왕 바그라트 4(Bagrat IV, 10181072)를 비잔틴의 봉신으로 삼아 캅카스 지역에 대한 제국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 남부 이탈리아 : 비잔틴의 전통적인 영토였던 남부 이탈리아에서도 이슬람 세력과 롬바르드(Lombards) 세력을 견제하며 제국의 지배권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제국의 전례 없는 군사적 위업을 달성하여 바실리우스 제국(Basil's Empire)’으로 불릴 만한 강력한 제국을 건설했다.
 
AD. 1025년, 바실리우스 2세 죽음 당시 비잔틴 제국
AD. 1025바실리우스 2세 죽음 당시 비잔틴 제국
 

7. 개인적인 삶과 죽음

 
바실리우스 2세는 독신으로 살며 후계자를 두지 않았다. 그는 거의 모든 시간을 군사 원정에서 보냈으며, 간소한 생활을 했다. 그의 평생의 목표는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통합하는 것이었다. 그의 모습은 현대 시대에 황제로서 보다는 노회하고 강력한 야전 사령관의 모습으로 인식될 정도이다.
 
바실리우스 2세는 102512156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 이후, 그의 동생 콘스탄티노스 8세가 단독 황제가 되었다. 바실리우스는 본래 자신의 이름을 딴 궁정 내 교회의 세부 건축물에 매장될 예정이었으나, 결국 자신의 주요 군사적 업적이자 비잔틴 제국의 동부 방벽을 상징하는 헤브루스 강(Hebros River) 근처의 교회에 안장되었다. 그는 정복자로서의 자신의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 불가리아인의 학살자 바실리우스라는 별명을 명확히 기재해달라고 요구했다고 전해진다.
 

8. 유산과 역사적 평가

 
바실리우스 2세는 비잔틴 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황제 중 한 명으로 기억된다. 그의 통치 기간은 비잔틴 제국의 황금기로 불릴 만큼 군사적, 정치적 안정과 번영을 이루었다. 그는 강력한 카리스마와 뛰어난 전략적 통찰력으로 제국을 통합하고 확장했다. 비록 그의 잔혹한 불가리아 정복 방식 때문에 불가리아인의 학살자라는 논쟁적인 별명을 얻었지만, 이는 동시에 그의 강력한 지도력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의 죽음 이후 비잔틴 제국은 한동안 그의 업적에 힘입어 전성기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는 오늘날에도 강인한 의지와 흔들림 없는 리더십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
이미지 출처
바실리우스 2세의 초상화 :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AD.1025년 비잔틴 제국 지도 : Wikimedia Commons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