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근현대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근현대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5년 9월 16일 화요일

목포 영흥학교(永興學校) : 장로교계 학교로 목포시 상동에 소재.

목포 영흥학교(永興學校) : 장로교계 학교로 목포시 상동에 소재.

 

1903

  • 1903년 목포주재 남장로회 선교사이던 벨(E. Bell; 배유지)와 임성옥(任成玉)ㆍ유내춘(柳來春) 등의 발기로 양동 86번지에 있던 벨 선교사의 사택 사랑채에서 기독교 신앙을 전도하고 민족혼을 깨우칠 목적으로 10명 미만의 학생을 보아 처음 개교하였다.
  • 학교이름 영흥은 영원토록 온누리에 생명의 빛을 발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1905

  • 1905년에 영흥소학교로 개편하였다.
  • 이어 프레스톤(J.F. Preston) 선교사가 목포에 도착하면서 학교 사업은 활기를 띠었고 19058월 프레스톤 선교사가 교장에 취임하였다.
 

1906

  • 1906년에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08

  • 190810월에 중등과를 신설했으며 미국인 독지가 왓킨스(John Watkins)의 회사로 학교시설을 확장하는 한편 이것을 기념하여 교명을 존 왓킨스학교로 불렀다.
 

1909

  • 1909년에 중학교를 병설하였다.
  • 또한 190910월에 미국 남 캐롤라이나주 스페턴버그 제일장로교회의 지원으로 기념 석조건물을 지어 낙성하였다.
 

1910

  • 1910년 해리슨(W. B. Harrison) 선교사가 교장에 부임하였다.
 

1911

  • 19113월에는 제1회 중학교 졸업생 방춘원(方春元)ㆍ박덕진(朴德珍)ㆍ윤봉언(尹奉彦)ㆍ이경석(李敬錫)을 배출하였다.
  • 19118월에는 매칼리(H. D. McCallie) 선교사가 새 교장으로 부임하였다.
 

1914

  • 19146월 전주 신흥학교 교장으로 봉직하던 니스벳(J. S. Nisbet) 선교사가 교장에 취임, 학교의 기틀을 잡았다. 그해 사립 목포영흥학교로 교명을 확정하고 보통과와 중등과의 편제도 정비하였다.
 

1919

  • 191931운동 당시에는 졸업생 양일석(梁一錫)의 지도로 만세운동을 준비하여 태극기를 대량 제작하고 321일 오전 대규모 만세운동을 벌였다. 김옥남(金玉南)의 비상종 타종 신호와 양일석의 지휘로 시가행진에 돌입, 정명여학교 학생, 양동교회 교인들과 합세함으로 대규모 시위대가 이루어지고 이에 많은 시민들도 합세하였다. 그러나 일제는 이를 무력 해산시켰고 영흥학교의 양일석ㆍ김옥남ㆍ김상원ㆍ안병선ㆍ윤두황 등 선두지휘자를 비롯 양동교회 교인, 정명여학교 학생 등 200여명이 체포되고 그중 100여명은 목포형무소에 수감, 옥고를 치렀다.
 

1920

  • 19201월 커밍(D. J. Comming; 김아각) 선교사가 교장에 취임하였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1919년에 취임하였다고 본다]
  • 학생수가 300여 명에 이르렀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1921년으로 본다]
 

1922

  • 19222월 일제의 신교육령에 의해 보통과 6, 고등과 5년으로 수업연한을 개정하였고 곧 학생수가 500여명으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석조 2174평의 새 교사를 건축하고 운동장 확장, 강당 신축 등의 시설학장을 기하였다.
 

1937

  • 그러나 발전일로에 있던 영흥학교는 1937년부터 강화된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휘말려 곤경에 직면하였다.
 

1939

  • 마침내 1939년 다른 대부분의 장로교계 학교와 마찬가지로 폐교되는 비운(920)을 겪고 당시 재학생은 모두 목포시내 공립학교로 전학 조치하였다. 그리고 학교 건물과 부지는 일제가 접수하여 목포 문태(文泰)중학교를 설립, 해방 이후까지 운영하였다.
 

1952

  • 해방 이후 교계지도자와 동문들 사이에 영흥학교의 재건 움직임이 전개되었고 마침내 625사변 중인 195258일 목포노회는 학교재건을 결정, 설립대표자에 이남규(李南圭) 목사를 선임하였다. 그러나 이때 한국장로교는 예장ㆍ기장 분열의 와중에 있었고 영흥학교의 재건도 이 문제와 연관되었다. 학교의 운영권이 기장측에 이양되자 학교재산의 소유권자이던 남장로회 선교부측은 기장측과 자매관계에 놓여 있던 캐나다연합교회 선교부측에 5천달러를 받고 학교시설 일체를 이양하였다.
 

1953

  • 또한 학교 시설을 이용하던 문태중학교는 시내 용당동으로 이거함으로 195365일 노경수(盧京洙) 목사를 재건 초대 교장으로 선임하고 학교를 재개교하였다.
 

1954

  • 8월에는 이성학(李聖學) 장로가 2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
  • 중학교와 분리, 영신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1962

  • 이어서 이중호(李仲浩)ㆍ조승제(趙昇濟) 목사가 각각 교장으로 부임했다가 19624월 이남규 목사가 제5대 교장으로 선임되었다.
 

1963

  • 1963년에 목포영흥고등학교로 개칭하였다.
 

1964

  • 1964년에 설립자 재단법인 대한예수교장로회 전남노회 유지재단을 학교법인 기독교장로회 전남노회 육영원으로 변경하였다.
 

1966

  • 1966년에 고등학교를 개교, 영흥중ㆍ고등학교가 되었다.
 

1969

  • 1969년에 12학급으로 증설하였다
 

1973

  • 19733월 장하원(張河源) 목사가 제6대 교장에 취임하였다.
 

1980

  • 그렇지만 학교를 운영하던 기장 전남노회측은 운영난으로 인하여 학교 경영을 포기하고 198063일 기장 목포중앙교회 홍순기(洪舜基) 장로에게 이양하였다. 홍 장로는 학교를 인수하자 곧 학교법인 유집학원(裕集學園)을 설립하였고 제7대 교장에는 나금주(羅金柱) 교장이 부임, 현재까지 봉직하고 있다. 이후 학교를 목포 시내 양동에서 외곽지역인 상동으로 이전하고 학교의 제반 시설과 기강을 강화하였으며 전통적인 기독교적 교육풍토를 계승,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현재 교사 50여 명이 재직하고, 고등학교 15학급 877, 중학교 13학급 876명이 재학하고 있다.
 

1999

  • 19993월부터 남녀공학을 실시하였다.
 

2003

  • 20031018일 개교 100주년이 되었다.
 

2008

  • 2008212일 : 홍의식 이사장 취임
 

2024

  • 202431: 이용만 교장 취임
 

2025

  • 2025213: 영흥고등학교 제67회 졸업(총 졸업 학생수 15,784)

2024년 2월 28일 수요일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Auckland韓人監理敎會) - 1914년 6월 5일 설립

오클랜드한인감리교회(Auckland韓人監理敎會)

 
19146월 오클랜드지역 한인들이 설립한 한인감리교회. 기독교 신앙을 증진해 한인들 간의 단결과 우의를 도모하고 공동의 힘으로 독립운동을 후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4
 
  • 65일 오클랜드 지방에 거주하던 문원칠과 조성학의 주선으로 문원칠의 상점에서 남감리교 순행 목사 황사용을 청하여 예배를 가지면서 시작되었다.
  • 문원칠은 당시 웹스터가(Webster Street)7가와 8가 사이에 작은 식료품상을 하고 있었는데, 개인집이 딸린 이 상점에서 첫 예배를 시작하였다. 초대 목사는 황사용 목사이고 출석 교인은 8명이었다.
 
1917
 
  • 1917810일 예배처소를 조성학의 집으로 이전하고, 안젤모신학교에서 공부한 임정구(1887년생, 1911년 포모나대학 입학 후 버클리대로 편입)2대 교역자로 청빙하였다.
 
1922
 
  • 1922년 당시 20여 명의 교인이 있었고, 그 해 28일 임정구의 집으로 예배당을 이전하였다.
  • 2대 담임목사 임정구는 19271930년 퍼시픽신학교(Pacific School of Religion)에서 학사와 석사를 받았는데, 1929년 미 감리교단으로부터 목사 안수를 받았다. 임정구는 1939122354세로 별세할 때까지 22년간을 한 교회에서 시무하면서 교회의 기반을 닦았다.
  • 그후 오클랜드교회는 남감리교단 소속의 정식 교회로 인정받았다.
 
1938
 
  • 19381220일 처음으로 자체 건물을 마련해 헌당식을 가졌다.
 
1942
 
  • 1942년 해리슨가(Harrison Street) 520번지로 이전하였다.
 
1951
 
  • 도로 확장으로 헐리게 되면서, 1951430일 맥아더거리(McArther Boulevard) 359번지로 다시 이전하였다.
  • 해방 이전까지 교인수는 적게는 12명에서 많게는 70여 명에 달했다. 195060년대에는 한 때 교회 문을 닫아야 할 정도로 교인수가 크게 줄었다.
 
1973
 
  • 1973년 김광진 목사 부임 이후부터 부흥되었다.
  • 지금은 오클랜드한인연합감리교회(Oakland Korean United Metho. Church)라는 이름으로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교역자로 활동한 인물은 해방 이전까지 황사용, 임정구, 노신태, 장기형, 박용학, 이진묵, 김태묵, 임두화 등이고 해방 이후부터 김창수, 김광진, 김종원, 김현일, 김무열, 이강원 등이다.
 
[참고]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미가엘신학원, 천신신학교(天神神學校, 현 성공회대학교) - 1914년 4월 30일 개교

천신신학교(天神神學校, 현 성공회대학교)

 
대한성공회 교육기관. 서울시 구로구 항동에 소재.
 
1914
 
  • 성미가엘신학원의 후신인 천신신학교는 1914430일 트롤로프(M. N. Trollope, 趙馬哥) 주교에 의해서 강화도에서 개교했다. 대한성공회 제3대 주교였던 트롤로프 주교는 허세실 신부를 초대 원장으로 임명하였고, 수도원과 같은 철저한 신앙훈련과 함께 한국문화에 적응할 수 있는 토착적 신학교육을 실시하였다.
 
1915
 
  • 성미가엘신학원 제1회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16
 
  • 그후 1916년 제1차 세계대전으로 휴교하였다.
 
1921
 
  • 성미가엘신학원을 강화에서 인천으로 이전하였다.
 
1925
 
  • 성미가엘신학원을 서울 정동으로 이전하였다. 이때 제2대 원장으로 마크 트롤로프 주교가 취임하였다.
 
1940
 
  • 일본경찰은 성미가엘신학원을 강제로 폐교하였다.
 
1948
 
  • 1948년에 인천에서 다시 문을 열었으며 제4대 원장으로 이도암 신부가 취임하였다.
 
1950
 
  • 한국전쟁으로 원장 이도암 신부와 교수 조용호 신부가 납북되어 다시 문을 닫았다.
 
1952
 
  • 신학원을 청주로 이전하였다.
 
1957
 
  • 현재의 향동캠퍼스로 성미가엘신학원을 이전하고 대천덕 신부가 원장으로 취임하였다. 이때부터 신학교육에 있어서 공동생활과 영적수련을 더욱 강조하게 되었다.
 
1961
 
  • 일반대학 출신의 학사학위 소지자들을 입학시켜 3년간 신학 기초교육과 목회훈련을 시키는 신학교육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1965
 
  • 4, 전국신학대학협의회(KAATS)의 창립회원으로 참여하였다.
 
1966
 
  • 성미가엘신학원 본관을 신축하였다.
 
1981
 
  • 학교법인 천신학원과 천신신학교의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2
 
  • 천신신학교로 개편(4년제대학학부과정)하였고, 초대교장으로 이재민 박사가 취임하였다.
 
1987
 
  • 교육부로부터 4년제 대학 학력 인정을 받았다.
 
1988
 
  • 사회복지학과를 신설하여, 사회사업을 기반으로 출발하였던 성공회의 선교이념을 이어가게 되었다.
 
1989
 
  • 학교 이름을 성공회신학교로 개명하였다.
 
1994
 
  • 개교 80주년을 맞이하여 성공회신학대학성공회대학교로 변경하고 종합대학으로 출범하였다.
 
1998
 
  • 시민사회복지대학원에 NGO학과를 개설하고 국내최초로 대학원에 시민사회 지도자양성 교육과정을 신설하였다.
 
2000
 
  • 4월에 국내최초로 민주자료관을 개관하였다.
 
역대 총장

강화도 시대
  • [초대] 허세실 신부(Cecil Henry Noble Godges, 1914-1915)
  • [원장 서리] 민재은 신부(Henry John Drake, 1918-1921)
인천 시대
  • [1] 허세실 신부(Cecil Henry Noble Godges, 1921-1924)
  • [원장 서리] 민재은 신부(Henry John Drake, 1924-1925)
  • [2] 조마가 주교(Mark Napier Trollope, 1925-1926)
  • [3] 안을도 신부(Ernest Henry Arnold, 1928-1933)
  • [4] 이도암 신부(Albert William Lee, 1948-1950)
청주 시대
  • [5] 오해리 신부(William Henry Carr Fawcett, 1952-1954)
향동캠퍼스 시대
  • [6] 대천덕 신부(Reuben Archer Torrey III, 1957-1964)
  • [7] 노대영 신부(Cecil Richard Rutt, 1964-1966)
  • [8] 김은태 신부(1966-1968)
  • [원장서리] 최철희 신부(1968-1969)
  • [9] 최철희 신부(1969-1970)
  • [10] 이천환 주교(1970-1971)
  • [원장서리] 이근홍 신부(1971-1972)
  • [11] 이근홍 신부(1972-1977)
  • [12] 이천환 주교(1977-1979)
  • [13] 윤환 신부(1979-1982)
천신신학교 학장
  • [초대] 이재민 박사(1982-1983)
  • [2] 배두환 주교(1983-1984)
  • [3] 정철범 신부(1984-1988)
  • [4] 정철범 신부(1988)
  • [5] 이재정 신부(1988-1989)
성공회신학교 학장
  • [초대] 이재정 신부(1989-1993)
성공회신학대학장
  • [초대] 이재정 신부(1993-1994)
성공회대학교 총장
  • [1] 이재정 신부(1994-1997)
  • [2] 이재정 신부(1997-2000)
  • [3] 김성수 주교(2000-2004)
  • [4] 김성수 주교(2004-2008)
  • [5] 양권석 신부(2008-2012)
  • [6] 이정구 신부(2012-2016)
  • [7] 이정구 신부(2016-2018)
  • [8] 김기석 신부(2018-2022)
  • [9] 김경문 신부(2011-)
 
[참고]
기독교대백과사전, 성공회대학교 홈페이지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