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월 21일 수요일

경성성서학원(서울신학대학)

【경성성서학원(서울신학대학)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산하 신학교육기관
 
경성성서학원 시대(1911-1940)
 
1907
 
  • 1907년 토오쿄오 성서학원을 졸업한 정빈ㆍ김상준이 귀국하여 서울 무교동에서 복음전도관을 개설하므로 한국 성결교회는 비롯되었다. 이어 한국인 전도자 양성이 필요해짐에 따라 현 서울신학대학의 전신인 성서학원이 설립되었다.
 
1911
 
  • 성서학원은 19113월에 서울 무교동 전도관에 임시로 개설하여 당시 동양선교회 한국 감독이던 토마스(John Thomas)가 원장으로 취임하고 정빈이 교수, 이장하가 통역관이 되었다. 개교 1년동안 10여명의 남녀학생들을 모아 교수했다.
 
1912
 
  • 19123월에는 현재 서울 충정로 335번지 일대에 새교사를 짓고 학원을 이전하였다. 그해 이명헌을 제1회 졸업생으로 배출하였고, 2회는 박제원ㆍ강시영, 여자인 최재은을 졸업시켰는데 곧 남녀공학제의 효시가 되었다. 성서학원의 수양과정은 입학을 한 후 2개월 동안의 시험기간을 두었고 이 기간 중에 부적격자로 판정되면 3년간 주임교수의 특별지도가 있었을 정도로 엄격하였고, 학생들은 일년 중 3개월간은 교실수업을 그리고 나머지 9개월간은 실제적 전도활동에 나설 만큼 구령사업에 치중하였다. 대개 수업연한은 3년이었으나 초창기에는 교수회에서 전도자로서의 자질이 인정되면 수시로 졸업을 시켰다.
 
1914
 
  • 1914년에는 김상준이 교수로 취임하였다.
 
1916
 
  • 1916년에는 이명직이 교수로 취임하였다.
 
1919
 
  • 31운동의 후유증이 성서학원에도 미쳤고 토마스 원장은 시위운동에 관련되었다고 오인되어 불량배들에게 심한 구타를 당하였고 이에 신병을 얻어 원장직을 사임하였다. 이어 영국인 감독 헤슬럽(W. Heslop) 선교사가 잠시 원장직을 맡았다.
 
1920
 
  • 1920년에는 카우만과 함께 동양선교회를 창설한 킬보른(E. A. Kilbourne)이 한국 감독으로 취임함과동시에 성서학원장도 겸하였다. 이어 학생의 증가로 학년의 분리와 남녀반의 분리가 요청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의 증축이 긴급히 요청되었다.
 
1921
 
  • 1921년에는 4천평 대지 위에 건평 1천평의 5층 벽돌 건물인 새교사가 완공되었다. 또한 그해는 한국 성결교회가 정식 교단으로 창설된 해였다. 학교 건물은 동양교회 본부로도 사용되었으며 이때부터 남ㆍ녀반을 분리하고 학제와 교육과정을 정비했다.
  • 특히 1921년에는 이명직 교수의 신앙간증이 도화선이 되어 학원내 성령운동이 일어났고 전교생들이 깊은 감화를 받아 전도와 학업에 열의를 더하는 계기가 되었다.
 
1922
 
  • 192211월에 교단 기관지인 활천을 성서학원이 주관하여 발행하였다.
 
1926
 
  • 1926년에는 제4대 원장으로 선교사 웃스가 취임하였다.
 
1927
 
  • 1927년의 성결교회의 제1회 연회조직과 함께 성서학원의 입학자격을 12개 규정으로 명문화하였는데, 중심된 내용은 학력의 제한보다 경건생활에 성실하고 신앙지도자로서의 자격을 갖춘 자를 우선으로 하였다.
 
1931
 
  •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학생 수도 대폭으로 증가하여 1931년의 재학생 수가 102명에 이르렀다.
 
1935
 
  • 부원장으로 재직하던 이명직 목사가 제5대 원장으로 취임하므로 최초의 한국인 원장이 되었다. 그러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성서학원 교수였던 곽재근 목사의 하나님의 교회 이탈사건과 1936년에 일어난 지방색에 의한 학원내 인사간의 갈등 등으로 많은 위축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서울신학교 시대(1940-1958)
 
1940
 
  • 1940531일부로 구제 전문학교령에 의거하여 성서학원은 당시 타 교단신학교와 함께 전문학교로 인정되었다. 이로써 4년제 경성신학교로 발전되었다.
  • 당시의 교수진으로는 이명직 교장 외에 이건ㆍ박헌명ㆍ최석모ㆍ한성과 목사 등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발전과 함께 시대적 곤경에 직면하였다. 즉 일제말기의 극심한 기독교탄압이 시작된 것이다.
 
1943
 
  • 신사참배와 천황숭배를 강요하던 중 19435월에는 일본기독교 조선교단으로 한국의 모든 기독교회의 획일을 종용하였고 동 524일에 이르러서는 일제의 시책에 극구 반대하던 성결교회 교역자 총 검속을 실시하여 거의 모든 교역자가 구속되었다. [신사참배 거부와 재림교리 주장을 이유로 교단이 강제로 해산되면서 폐교되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그해 9월 각 성결교회를 폐쇄하였고, 1229일에는 교단의 강제 해산과 함께 경성신학교도 폐교처분을 당했다. 이로써 815해방까지는 신학교는 물론 성결교회의 모든 활동은 중단되고 말았다.
 
1945
 
  • 해방 후인 1945910일 학교 건물을 회수하고 재흥예배를 드렸고 이어 열린 교단 재건총회에서도 신학교를 즉시 재건하기로 합의하고 교명을 경성신학교에서 서울신학교로 변경할 것도 결의하였다. 이는 수도 명칭의 변경과 보조를 맞춘 것이다. 한편 일제말기의 교단 해산의 책임을 들어 교장직을 극구 사양하는 이명직 목사의 후임으로 이건 목사가 제2대 교장으로 취임하엿다.
  • 19451120일 마침내 개교하였는데 학생 수는 60여명 내외였다. 그후 학교복구를 위한 많은 헌금이 답지하였고 그밖의 운영과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도 학교는 새로운 발전의 기틀을 다져나갔다.
 
1950
 
  • 한국전쟁으로 학교 건물에는 공산당의 깃발이 내걸리고 민주대학이라는 간판이 붙었다. 더구나 공산군들은 후퇴하면서 이건 교장과 박현명ㆍ김유연 교수, 사감 최석모 목사, 총무 박형규 목사 등을 납치하여 북으로 끌고 갔다. 이로써 서울신학교의 중심인물이 모두 납북됨과 동시에 한국 성결교회는 중심된 지도자를 잃어버렸다.
  • 6회 총회인 피난총회는 피난신학교 설치를 결의하였고 이명직 교수를 중심으로 부산 동래에서 피난학교를 개교하였다. 이같은 혼란 중에도 사방에서 150여명의 남녀학생이 몰려들어 피난학교는 성황을 이루었다.
 
1952
 
  • 최정원 일파의 임마누엘교회 이탈 사건으로 피난신학교는 또 다른 수난을 겪었다.
 
1953
 
  • 휴전과 더불어 서울 복귀준비를 진행하였다.
 
1954
 
  • 완전히 복교하고 420일 환도총회를 개최하였다.
 
1957
 
  • 성결교회 창설 희년기념사업을 거행하였다.
 
1958
 
  • 1215일에는 재단법인 예수교동양선교회유지재단이 인가되었다.
 
서울신학대학시대(1959년 이후)
 
1959
 
  • 226일 정부로부터 대학인가를 얻어 서울신학대학으로 개편되었다.
 
1960
 
  • 5월 초대학장으로 이명직 목사가 취임하였다. 그러나 대학으로의 개편 이후에 교수단 자격문제 시비와 419의거의 여파로 몰아닥친 학원내의 빈번한 소요사태 등으로 많은 혼란을 겪었다.
  • 당시 한국 교계에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에큐메니칼신학의 찬반여부를 놓고 물의를 빚은 바 1960년 서울신학대학의 교수단은 에큐메니칼신학을 반대하고 복음적이며 영적인 통일을 원한다라는 입장의 선언을 하였다.
 
1961
 
  • 516 쿠데타 이후 대학인가가 취소되어 다시 서울신학교가 되었다. 한편 그해 성결교회가 완전히 분열되는 비운을 경험하였고 서울신학교는 기독교성결회에 속하였다.
 
1964
 
  • 121일 대학으로의 재인가를 얻었고 신학과 200명을 정원으로 하였다.
  • 521일 제2대 학장으로 선교사 킬보른이 취임하였다.
 
1965
 
  • 7월에는 예성측과의 일부 합동으로 예성측 신학생 70여명을 편입시켰다.
 
1966
 
  • 7월에는 학교법인 서울신학대학의 재단을 정비하였다.
 
1968
 
  • 조종남 목사를 제3대 학장으로 선임하면서 서울신학대학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되었다. 그해 5월에 교육신조를 제정했으며 전수과정을 폐지하여 대학으로서의 면모를 쇄신하였다.
 
1970
 
  • 10월에 부설 선교문제연구소를 설치하였다.
 
1971
 
  • 2월에 신학과 10명 정원의 대학원과정을 인가받았다.
  • 6월에는 교직과정, 7월에는 교역자 양성원의 인가를 취득하였다.
  • 수도성서신학교와 대전여자신학교를 흡수하였다.
 
1972
 
  • 논문집인 선교와 신학을 창간하였고 목표에 이동신학교를 개설하고 평신도 훈련원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1973
 
  • 6월에는 서울 본 교사의 협소로 인해 경기도 부천시에 24,048평의 새 학교부지를 구입하고 곧 신축공사를 착수하였다.
 
1974
 
  • 새 교사를 완공하고 학교를 이전하였다.
 
1975
 
  • 대학원 과정을 대폭 증원하였다.
 
1977
 
  • 3월에는 종교음악과를 신설하였다.
 
1978
 
  • 기독교교육과를 신설하였다.
 
1980
 
  • 특수대학원이 인가 설치되었다.
 
1981
 
  • 대학졸업정원제로 정원이 대폭 증가하였다.
 
1982
 
  • 영어교육과ㆍ보육학과ㆍ철학과ㆍ사회사업학과가 신설되었다.
 
[참고]
기독교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스네프루 [Snefru, 기원전 2613~2589] 이집트 제4왕조, ‘성스러운 왕’

스네프루 [Snefru, 기원전 2613~2589] 이집트 제 4 왕조 , ‘ 성스러운 왕 ’   스네프루는 고대 이집트의 제 4 왕조를 시작한 왕이다 . 그는 24 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하면서 왕권을 강화하고 남북 지역의 교류를 확대했으며 영토도 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