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
시조의 성은 박(朴)이고, 이름은 혁거세(赫居世)이다. 전한 효선제(孝宣帝) 오봉(五鳳) 원년(B.C. 57) 갑자년(甲子年) 4월 병진일(丙辰日)[일설에는 정월 15일이라고도 한다.]에 즉위하여 호칭을 거서간(居西干)이라고 하니, 이때 나이가 13세였다. 나라 이름은 서나벌(徐那伐)이라고 하였다.
이에 앞서 조선(朝鮮)의 유민이 산골짜기 사이에 나누어 살면서 6촌(六村)을 이루고 있었는데, 첫째는 알천(閼川) 양산촌(楊山村), 둘째는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 셋째는 취산(觜山) 진지촌(珍支村)[혹은 간진촌(干珍村)이라고도 한다.], 넷째는 무산(茂山) 대수촌(大樹村), 다섯째는 금산(金山) 가리촌(加利村), 여섯째는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으로, 이들이 바로 진한(辰韓)의 6부이다.
고허촌의 우두머리인 소벌공(蘇伐公)이 양산의 기슭을 바라보니, 나정(蘿井) 옆 숲속에서 말이 무릎을 꿇고 울부짖고 있었다. 그래서 가서 살펴보니 홀연히 말은 보이지 않고, 단지 큰 알이 있었다. 알을 깨뜨리니 어린아이가 나왔다. 이에 거두어서 길렀는데, 나이 십여 세가 되자 쑥쑥 커서 남들보다 일찍 성인의 모습을 갖추었다. 6부의 사람들이 그 탄생이 신비롭고 기이하다고 하여 떠받들었는데, 이때 이르러 임금으로 세운 것이다.
진한 사람들이 표주박[瓠]을 일컬어 ‘박’이라고 하였는데, 처음에 큰 알이 표주박처럼 생겼으므로, 이로 인해 ‘박’을 성으로 삼았다. 거서간은 진한 말로 ‘왕’이라는 뜻이다. [혹은 귀인을 부르는 칭호라고도 한다.]
‘박씨’의 시조 혁거세거서간
신라 건국의 시조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은 기원전 69년에 태어나서 13세가 되던 기원전 57년에 신라의 왕위에 올랐고, 서기 4년에 승하하였다. 혁거세 시기에는 중국식 성씨 제도가 도입되지 않아서 단지 이름만으로 정체성을 표시하였을 것이다. 6세기까지 만들어진 신라의 금석문 자료에 지배층의 성씨가 확인되지 않은 것은 이런 사정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중국측 기록에서 신라의 왕성(王姓)이 확인되는 것은 기원후 565년에 북제(北齊)가 진흥왕을 ‘사지절 동이교위 낙랑군공 신라왕(使地節東夷校尉樂浪郡公新羅王)’으로 책봉하면서 왕의 이름을 ‘김진흥(金眞興)’이라고 표시한 것이 최초 사례이다.
비록 박씨라는 성씨의 사용 시기는 늦더라도, 혁거세를 정점으로 하여 형성된 혈연집단이 상고기 신라의 최초 지배층으로 존재했을 것이며, 이들을 편의상 ‘박씨 집단’, ‘박씨 족단(族團)’ 등으로 부른다.
‘갑자년’에 즉위한 혁거세거서간
혁거세의 즉위 시기가 ‘갑자년’으로 전해지게 된 배경으로는 진흥왕 대에 신라의 역사가 처음 정리될 때, 혁거세의 실제 즉위 시점을 파악하기 어려웠던 사관들이 갑자혁명설에 기대어 임의로 정했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갑자년’은 60간지의 첫해로, 참위설(讖緯說)에서 3년 전에 해당하는 ‘신유년(辛酉年)’과 함께 ‘혁명’의 해로 일컬어진다(갑자혁명설).
‘혁거세’의 의미
‘혁거세’라는 이름에서 혁거세의 ‘혁(赫)’은 ‘붉다’, ‘밝다’, ‘빛이 나다’는 의미를 지니는 한자어이다. 성씨로 알려진 ‘박’도 ‘밝다’는 의미를 지니므로, ‘박혁거세’의 ‘박혁’은 같은 말의 중복이 된다. 『삼국유사』 권제1 기이제1 ‘신라시조 혁거세왕’조에는 ‘불구내왕(弗矩內王: 붉은 왕, 밝은 왕)’이라는 이칭이 전하는데, ‘赫’이 ‘붉’, ‘밝’의 훈차(訓借)임을 잘 보여준다. ‘거세(居世)’는 ‘거서간’에서 ‘간’을 수식하는 용어 ‘거서(居西)’를 후대인들이 시조 이름의 일부라고 오해한 것에서 비롯된 동어반복으로 파악하기도 한다
‘거서간’의 의미
거서간(居西干)는 신라 시조 혁거세에게 붙여진 왕호이다. 『삼국유사』 권제1 기이제1 신라시조 혁거세왕조에는 ‘거슬한(居瑟邯)’으로도 나온다. 그 의미는 미상이나, 『삼국사기』 혁거세거서간 즉위조의 말미에서는 진한인들이 왕을 일컫는 말이었다고 하면서, ‘귀인(貴人)’을 칭하는 말이라는 설도 소개하였다. 『삼국사기』에서는 혁거세에게만 한정된 왕호로 나오지만, 『삼국유사』의 왕력편과 기이편에서는 그의 뒤를 이은 남해(南解)도 ‘차차웅’이라는 왕호와 더불어 ‘거서간’으로 불렸다고 하여 차이를 보인다.
혁거세거서간은 나라 이름을 서나벌(徐那伐)로 하였다. ‘서나벌’은 지금의 경주 지역을 가리키는 신라 때의 지명이다. 신라가 건국된 곳으로, 애초에는 국명으로도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의미는 미상이다. ‘서나’는 금석문 자료나 중국 측 문헌 자료에 ‘사라(斯羅: 「포항 냉수리 신라비」, 『양서』 등)’, ‘사로(斯盧: 『삼국지』 한전)’, ‘설라(薛羅: 『진서』)’ 등으로도 나오는데, ‘가라(加羅)’가 흔히 ‘가야(加耶)’로도 표기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서라(徐羅)’의 이표기로서 ‘서야(徐耶)’가 자형이 유사한 ‘徐那’로 오기되었을 가능성도 상정할 수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