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1월의 역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1월의 역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7월 17일 수요일

【1959년 1월 1일】 쿠바, 카스트로 집권 시작

195911쿠바, 카스트로 집권 시작

 
쿠바의 산업이 미국의 자본에 종속되어 국민들의 빈곤이 점점 극심해지자, 카스트로(Fidel Castro, 1926~2016)와 체베바라(Che Guevara, 1928~1967), 카밀로 시엔푸에고스(Camilo Cienfuegos, 1932~1959)를 위시한 사회주의자들은 미국과 독재 정권 타도를 위한 무장 혁명을 시작하였다.
 
1953726일에 시작하여 195911일 완수한 이 무장 혁명이 바로 쿠바 혁명으로, ‘726일 혁명이라 불리기도 한다.
 
195911일 쿠바 독재 정권의 수장이었던 풀헨시오 바티스타 이 살디바르(Fulgencio Batista y Zaldívar, 1901~1973)가 도미니카로 도주함으로써 쿠바 혁명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고 새로운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서게 되었다.

2024년 7월 10일 수요일

【1958년 1월 1일】 유럽 경제 공동체 출범

195811유럽 경제 공동체 출범

 
1957325, 유럽 6개국이 로마에서 조인한 유럽 경제 공동체 조약에 따라 195811일 유럽 경제 공동체(EEC)가 정식으로 발족하였다.
 
로마 조약(Treaty of Rome)은 프랑스, 서독,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1957325일에 이탈리아의 로마에서 체결되었다. 이 조약의 원래 명칭은 유럽 경제 공동체 설립을 위한 조약’(ECC 조약)이었고, 후에 마스트리흐트 조약(1993년 발효)에 의해 유럽 공동체 설립을 위한 조약’(TEC)으로 바뀌었다. 2007622일부터 23일까지의 유럽 정상회의에서 유럽 연합에 관한 조약유럽 공동체 설립을 위한 조약둘 모두 새로운 리스본 조약’(2009년 발효)에 의해 유럽 헌법의 대부분의 조항이 포함되는 수정을 하기로 합의하였다. ‘유럽 공동체 설립을 위한 조약은 이 과정에서 다시 한번 명칭이 바뀌었는데, 그 명칭은 유럽 연합의 기능에 관한 조약’(TFEU, the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이었다.
 
19802월 유고슬라비아가 경제 협력 협정에 가조인하고, 같은 해 7월 루마니아와 무역 협정을 체결하여 동유럽 진출을 강화하였다. 1980년대 들어서면서 유럽연합(EU)과 행동을 같이하고 있다.
 
[유럽 연합 조약 과정]

  • 1948년 브뤼셀 조약
    브뤼셀 조약(Brussels Treaty)19483월 브뤼셀에서 영국ㆍ프랑스ㆍ벨기에ㆍ룩셈부르크ㆍ네덜란드 5국이 지역적 집단안전보장기구 설립을 목적으로 체결한 조약으로 서유럽 연합(WEU)’의 기원이 되었다.
  • 1952년 파리 조약
    파리 조약(Treaty of Paris)1951418, 프랑스, 서독, 이탈리아, 베네룩스 삼국(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사이에 체결된 조약으로, 이 조약으로 인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ECSC)가 설립되었다. ECSC는 후에 유럽 연합의 일부분이 된다. 이 조약은 1952723일에 효력이 발생하여 효력 발생 후 정확히 50년 만인 2002723일에 소멸되었다.
  • 1958년 로마조약
    로마 조약(Treaty of Rome)은 프랑스, 서독,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1957325일에 이탈리아의 로마에서 체결되었다. 이 조약으로 인해 독립적이고 초국가적인 경제 조직인 유럽 경제 공동체가 설립되었고, 이 조약은 195811일부터 발효하였다.
  • 1968년 합병조약
    합병 조약(合倂 條約, Merger Treaty) 또는 브뤼셀 조약(Brussels Treaty)은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 유럽 경제 공동체(EEC), 유럽 원자력 공동체(EURATOM) 3개 공동체의 조직 체제를 통합하는 내용을 담은 조약이다. 조약의 정식 명칭은 유럽의 공동체의 단일 이사회와 단일 위원회의 설립에 관한 조약(Treaty establishing a Single Council and a Single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이다.
    이 조약은 196548일에 벨기에 브뤼셀에서 벨기에, 프랑스, 서독,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6개국이 서명했으며 196771일을 기해 발효되었다.
  • 1987년 단일 유럽 의정서
    단일 유럽 의정서(單一 유럽 議定書, Single European Act ; SEA)1957년 로마 조약 이후에 최초로 발효된 개정안이다. 단일 유럽 의정서는 19921231일을 기해 단일 시장을 출범하려는 조처를 담은 것이었으며 유럽연합의 전신 중 하나인 유럽정치협력체가 추진한 것이다. 1986217일 룩셈부르크에서 조인됐으며 헤이그에서는 1986228일에 조인되어 198771일에 발효됐다.
  • 1993년 마스트리흐트 조약
    마스트리흐트 조약(Maastricht Treaty, 공식적으로는 유럽 연합에 관한 조약)199227,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에서 유럽 공동체 가입국이 서명하고 1993111일부터 발효한 조약으로 유럽 연합의 기초가 되는 조약이다. 마스트리히트 조약이라고도 불린다.
  • 1999년 암스테르담 조약
    암스테르담 조약(Amsterdam Treaty)은 마스트리흐트 조약과 로마 조약 등의 유럽 연합(EU)의 기본 조약에서 큰 변화가 있었던 조약으로, 1997102일에 체결되고 199951일에 발효되었다.
  • 2003년 니스 조약
    니스 조약(Treaty of Nice)은 유럽 연합의 확대 및 유럽 연합의 내부기구 개혁, 유럽의회 의석 재할당 등에 대해 규정한 조약이다. 200012월에 프랑스 니스에서 열린 정상 회담 결과로 만들어졌다.
  • 2009년 리스본 조약
    리스본 조약(Treaty of Lisbon)2005년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국민투표에서 부결된 유럽 헌법을 대체하기 위해 개정한 미니 조약이다. 유럽 이사회 의장직과 외교안보정책고위대표직을 신설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2008년 회원국들의 비준 절차를 거쳐 모두 통과되면 2009년부터 발효하기로 한 조약이다. 이 조약은 2009121일 발효되었다.

【2002년 1월 1일】 유로 화폐 공식 사용 시작

200211유로 공식 사용 시작

 
유로는 1999년 출범한 유럽의 단일 화폐이다. 199512월 마드리드에서 개최되었던 정상 회담에서 도입을 결정하였으며, 탄생 초기에는 실물 화폐 없이 금융 거래에서만 이용되었다. 그러다가 2002110시를 기점으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네덜란드, 벨기에, 오스트리아, 그리스,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포르투갈, 핀란드 등의 나라에서 실물 화폐로 통용되기 시작했다.
 
신구 화폐의 혼용 기간은 2002228일까지로, 200231일부터는 모든 유로존에서 유로만을 단일 화폐로 사용하였다.
 
유로는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본부를 둔 유럽 중앙은행(ECB)과 유로존의 중앙 은행 역할을 하고 있는 유로시스템이 관리하고 발행한다. 유럽 중앙은행은 독립적인 중앙 은행으로서 통화 정책에 대하여 단독 권한을 행사한다. 유로시스템은 유럽 연합 가입국의 유로 지폐와 주화를 발행하고 유럽의 상환 시스템의 가동을 효과적으로 이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1979년 1월 1일】 미ㆍ중 국교 수립

197911미ㆍ중 국교 수립

 
19785월 양국은 고위급 외교관을 사무소장으로 임명하는 연락사무소를 상호 개설했다. 대만 문제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양국의 정식 외교관계 수립은 다소 지연됐다.
 
197911, 미ㆍ중 외교 관계 수립에 대한 공동 성명이 전 세계에 발표되었다. 이 협정에 따라 미국은 타이완과의 공식적인 관계를 종결하였으며, 타이완과의 상호 방위 조약에 따라 타이완에 주둔 중이었던 미군을 철수하였다. 이와 같은 미ㆍ중 양국의 국교 수립은 미국과 중국이 소련의 군사력 팽창과 패권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서로의 힘이 필요했기 때문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양국은 197911일을 기해 정식 수교를 했고, 31일 상주 대사관이 설치됐다. 중국의 초대 주미대사인 량쩌민이 31일 워싱턴에 부임했으며, 미국의 초대 대사인 레너드 우드콕은 37일 베이징에 부임했다.

【1995년 1월 1일】 세계 무역 기구(WTO) 출범

199511세계 무역 기구(WTO) 출범

 
세계 무역 기구인 WTO(World Trade Organization)시장 개방, 비차별, 범지구적 경쟁을 통한 국제 무역이 모든 나라의 국가 후생을 증진시키는 올바른 길이라는 이념 아래 설립된 국제기구이다. 세계 125개국에서 참여한 WTO19944월 마라케시에서 조인되었으며, 199511무역과 관세에 관한 일반 협정’(GATT) 체제를 대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한민국은 199511일에 가입하였다.]
 
세계 무역 분쟁 조정, 관세 인하 요구 등의 법적인 권한을 가진 WTO는 세계은행(IBRD), 국제 통화 기금(IMF)과도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약소국의 특수성을 생각하지 않은 무차별적인 공세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거친 저항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세계무역기구의 심의는 다음과 같은 무역의 기본 원리를 따라야 한다.
  1. 무역 체계는 차별이 없어야 한다. 즉 국가는 다른 국가에 대해 우월적 권리를 행사하거나, 외국 상품이나 서비스를 차별해서는 안 된다. 그것은 두 가지 주요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둘 다 상품, 서비스, 지적 재산에 대한 주요 WTO 규정에 포함되지만, 그들의 정확한 범위와 성격은 이들 영역마다 다르다.
  2. 무역 체계는 자유로워야 한다. 즉 관세이든 비관세이든 최소한의 무역장벽을 유지해야 한다.
  3. 무역 체계는 예상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외국 기업이나 정부는 무역장벽이 갑작스럽게 높아지지 않으리라는 것과 시장은 그대로 열려 있을 것을 보장받아야 한다.
  4. 무역 체계는 보다 경쟁적이 되어야 한다.
  5. 무역 체계는 후진국들을 고려해야한다. 즉 유예기간, 유연성, 권리 등을 보장해줘야 한다.
 
역대 사무총장
  • 피터 서덜랜드(Peter Sutherland, 아일랜드) : 1995
  • 레나토 루지에로(Renato Ruggiero, 이탈리아) : 1995~1999
  • 마이크 무어(Mike Moore, 뉴질랜드) : 1999~2002
  • 수파차이 파닛차팍(Supachai Panitchpakdi, 태국) : 2002~2005
  • 파스칼 라미(Pascal Lamy, 프랑스) : 2005~2013
  • 호베르토 아제베두(Roberto Azevêdo, 브라질) : 2013~2021
  •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Ngozi Okonjo-Iweala, 나이지리아) : 2021~

【1912년 1월 1일】 중화민국 수립

191211중화민국 수립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 전제 정부를 타도하고 중화민국을 공고히 하여 민생의 회복을 추구할 것입니다. 그리고 중화민국이 독립하고 세계 모든 국가가 이것을 인정한다면 나는 임시 대총통직에서 떠날 것을 국민 앞에 선서합니다.”
- 쑨원,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 취임 선서
 
무창에서 신해혁명이 일어난 지 두 달이 채 안된 191211일 밤 11, 쑨원(孫文, 1866~1925)은 난징에서 역사적인 취임 선서를 하였다. 선서가 끝나자 산시 성의 대표가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 인이라 쓰인 도장을 쑨원에게 건넸다. 아시아 최초의 민주공화정이 수립되는 순간이었다. 쑨원은 국호를 중화민국으로 하고, 이날을 민국 원년 11일로 정하였다.
 
베이징에는 여전히 청나라 조정이 있었고, 황제에게 신해혁명 세력의 토벌 권한을 위임받은 위안스카이가 존재했다. 나라가 분열될 것을 걱정한 쑨원은 위안스카이에게 임시 대총통직을 물려주는 대신 중국 통일을 제의하였다. 위안스카이는 제의를 받아들여 공화제 시행을 주장하고 황제에게 퇴위를 강요하였다.
 
황제는 혁명군의 세력이 날로 커지고 위안스카이를 통제할 수 없게 되자, 황실 퇴위 조건으로 몇 가지 우대 조치를 요구하였다. 그리고 1912212일 청나라 조정은 8가지 항목의 퇴위 조서를 발표하였다.
 
금일 대청 황제가 공화국체를 찬성한다고 선포했기에 중화민국은 대청 황제 퇴위 이후 우대 조항을 아래와 같이 정한다.
  1. 대청 황제 퇴위 후에도 존호는 계속 존속되며 폐기되지 않는다. 중화민국은 외국 군주를 대하는 예로써 그를 대한다.
  2. 대청 황제 퇴위 후 세비는 400만 냥으로 하며 새로운 화폐를 발행한 후에는 400만 원으로 한다. 그 돈은 중화민국이 지출한다.
  3. 대청 황제는 퇴위 후 잠시 자금성에서 거주하다 나중에 이화원으로 이주하며, 시위 인원은 예전과 같이 고용한다.
  4. 대청 황제는 퇴위 후에도 종묘와 능침에 대해 영원히 봉사하며, 중화민국에서 적절하게 위병을 설치하여 신중히 보호한다.
  5. 덕종황제의 황릉(皇陵)이 아직 완공되지 않았는데 규정과 같이 건설하여 봉안 의식을 올리며 옛 규정에 따른다. 실제 사용되는 모든 경비는 중화민국에서 지출한다.
  6. 이전까지 궁궐에서 일했던 각종 인원은 예전처럼 계속해서 고용하지만 이후에는 환관을 고용할 수 없다.
  7. 대청 황제 퇴위 후에도 원래 가지고 있던 사유재산은 중화민국에서 특별히 보호한다.
  8. 원래의 금위군은 중화민국 육군부 편재로 귀속되며 봉급 액수는 예전과 같다.
 
청나라는 베이징으로 도읍을 옮긴 지 268년 만에 멸망하였고 위안스카이는 임시 총통이 되어 공화정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중화민국 대총통에 취임했던 위안스카이는 19151212일 제정 부활을 선언하고 황제에 즉위했다. 1916년 국호를 중화제국으로 고치고 연호를 홍헌(洪憲)으로 정했다. 하지만 북양 군벌을 비롯하여 국내외의 반발로 인해서 즉위 직후인 동년 3월에 퇴위했고 6월에 사망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