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현재는 한자로 표기하지 못하고 한글과 영문으로만 표기하고 있다.
정도전와 무학대사의 팽팽한 기싸움
이성계가 한양으로 천도할 때 정도전과 무학대사(자초)는 종교적 사고와 유교적 바탕을 앞세워 서로 강한 주장을 내세웠다. 그들은 성의 영역에서도 서로 다른 주장을 했다. 청와대 뒷산 인왕산 북쪽에는 선바위가 있는데 이 선바위를 성 안쪽으로 하자는 무학대사의 주장과 성 밖으로 하자는 정도전의 주장은 태조 이성계가 민망스러울 정도로 팽배하였다. 도성을 모두 다 쌓고 그 부근만 미완성으로 남은 상태에서 태조가 결정을 내려야만 해결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성 밖에만 문이 쌓이다
두 사람의 의견 대립으로 공사가 중단되고 있던 중 하루는 첫눈이 한양 땅을 모두 덮었고, 이날 아침을 맞은 태조가 동쪽 낙산 쪽을 바라보니 이상하게도 성 안쪽에는 눈이 보이지 않고 바깥쪽에만 눈이 쌓여 있자 별감들을 보내 현장을 확인하도록 하였다. 다녀온 별감들은 성곽 밖으로만 눈이 쌓였고 안쪽에는 눈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태조는 다시 궁궐 뒤편의 인왕산 선바위를 보고 오라고 명하였다. 바삐 다녀온 별감들은 역시 바위를 중심으로 안쪽은 눈이 없고 바위를 포함한 쪽은 눈이 쌓였다고 말하였다.
눈의 경계, 즉 설울(雪鬱, 눈과 울타리)이란 말이 생기다
그 순간 태조는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가 해결되었구나 하면서 정도전과 무학대사를 함께 입궐케 하여 이 사실을 말하였다. 이 내용을 듣고 있던 두 사람은 전하의 뜻에 따른다고 복명하였고 그날 성곽을 경계 삼아 안쪽과 바깥이 마치 울타리를 연상케 하여 눈의 경계, 즉 설울(雪鬱, 눈과 울타리)이란 낱말이 생겼다. 그때부터 설울이란 이름을 쓰려 했으나 당시 이 땅은 이미 한성부라는 지명이 정해진 이후라 어찌할 수 없다가 1945년 해방 후로 서울이란 세련된 지명을 갖게 되었다 한다.
이은식, 『지명이 품은 한국사』, 타오름, 2010, 16-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