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월 16일 금요일

이인직(李人稙, 1862-1916)

이인직(李人稙, 1862-1916)

 
대한제국기 혈의 누치악산은세계등을 저술한 소설가. 연극인ㆍ친일반민족행위자.
 

1862
 
  • 1862727: 경기도 이천에서 한산 이씨 양경공파 25대 손으로 태어났다.
  • 그의 증조부가 서자였기 때문에 그의 집안은 차별을 받았다고 한다.
 
1896
 
  •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우다가 1896년 조중응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해 도쿄정치학교에 청강생으로 들어갔다.
 
1900
 
  • 1900년 2: 도쿄정치학교에 관비 유학생으로 정식 입학하였다(19037월 졸업). 재학 시절 고마츠 미도리에게서 배웠다.
 
1901
 
  • 190111: 신문기자 양성에 힘을 쏟는 도쿄정치학교 방침에 따라 졸업한 뒤 190111미야코신문의 견습생으로 들어가 일하면서, 몽중방어, 조선문학 과부의 꿈, 조선인의 신년축하, 설중참사, 잡보 한국잡감, 한국실업론등을 연이어 게재했다.
 
1903
 
  • 19035: 귀국한 뒤 신문을 창립한다는 취지의 한국신문창립취지서를 발표했다.
 
1904
 
  • 19042월 러일전쟁을 수행하는 일본 육군성 제1군사령부 소속 판임대우 통역으로 임명되어 러일전쟁에 동원되었다가 6월 해임되었다.
 
1905
 
  • 1905년 러일전쟁 때 공훈심사에서 일본군을 위한 통역업무에 진력을 다한 공적을 인정받아 심사위원 전원일치로 공로갑을 받아 은사금 80원을 받았다. 1905년 동아청년회에 가입하였다.
 
1906
 
  • 19062월 일진회 기관지 국민신보주필이 되었고, 6월 손병희ㆍ오세창 등이 일진회에 대항하기 위해 만든 천도교 기관지 만세보주필로 일하면서 일진회에 결별하였고, 사회성 짙은 소설을 발표하였다. 그는 1906년 첫 장편소설인 혈의누를 자신이 주필로 있던 만세보에 연재하였다. 이 작품은 신소설의 효시로 평가되고 있다.
 
1907
 
  • 19077만세보가 재정적인 이유로 폐간되자, 그는 1907718만세보의 인쇄시설과 사옥을 인수하여 대한신문를 창간하였으며 직접 사장에 취임하였다. 그런데 이때의 인수자금 2만원은 이완용에게서 나왔다. 따라서 이후 이 신문은 이완용 내각의 기관지 노릇을 하였으며 이인직 개인도 이완용의 비서 역할을 하였다. 그와 이완용을 연결하는 역할은 조중응이 한 것으로 보인다.
 
1908
 
  • 19083월 이완용 내각의 중추원 부찬의로 임명되었으나 곧바로 신병상의 이유로 사직하였다. 같은 해 7월 원각사가 개장하자 연극개량을 목적으로 일본시찰길에 올랐고 이때부터 원각사 대표를 맡았다. 9치악산상편을 유일서관에서 발행하였고, 11은세계를 발간하였으며 1908년 대한학회찬성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은세계는 자신이 설립한 원각사의 무대에 올려 연극으로 상연하여 한국 최초의 신연극 소설로 기록되었다.
 
1909
 
  • 190910월 대동학회를 계승한 공자교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으며, 11월 경성 한자신문사 주최로 거행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추도회에 대한신문사 사장 자격으로 참석하여 추도문을 낭독하였다. 12월 총리대신 이완용의 밀명을 받아 일본으로 건너가 이른바 한국병합문제와 관련된 일본정계와 여론동향을 정탐하였으며, 이어 통감부 외사국장 고마츠 미도리를 비밀리에 만나 일본과 한국의 강제병합을 모의하는 밀담을 나누는 등 일제강점기의 서막을 연 인물로 평가된다.
 
1910
 
  • 19101월 유사종교인 공자교를 일본에 전파할 목적으로 지회사무소를 일본에 설치하고, 공자교회 대표로 일본에 갔다. 19108월에도 이완용의 심복으로 고마츠 미도리를 만나 한일합병을 비밀리에 교섭하였고, 이 교섭을 토대로 테라우찌와 이완용 사이에 합병조약이 1910816일부터 체결되기 시작하여 822일 정식 조인되었다.
  • 한일합병후 조선총독부 직속기구인 경학원 사성으로 선임되어 191611월까지 재임하며 고등관 수준의 대우를 받았다. 경학원은 조선총독부가 성균관의 기능을 정지시키고 총독부의 정책과 이념을 홍보하는 것을 주된 업무로 하는 기구로서 사성은 경학원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가장 중요한 직책이다.
 
1913
 
  • 191325일부터 191363일까지 모란봉매일신보에 연재하였다.
  • 191312월부터 일제의 식민통치를 홍보 지지하는 경학원잡지창간 때부터 191611월 사망할 때까지 편찬주임을 겸임하여 경학원잡지1~11호 편찬 겸 발행인이었다. 경학원잡지를 편찬하는 한편 지방순회강연을 다니며 일제의 식민통치를 찬양 홍보하고 전국 유림의 동향을 시찰하는 등 식민통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였다. 191311월 전라북도 금산군에서 강연하였고, 19144월 경학원 시찰단 일원으로 박람회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으로 갔다. 8월 함경북도 등지를 시찰하며 지방 인사들과 회동하였고, 191511월 함경남도 등지를 시찰하고 강연하면서 일제의 식민통치를 덕치라면서 모든 분야가 발전하는 은택을 입었다고 미화하였다.
 
1915
 
  • 1915년 1110일에는 경학원 간부와 강사 18명이 일본 천황의 즉위식에 축하글을 지어 총독부에 바쳤는데 천황의 덕을 극히 칭송하고 충성을 다짐하는 내용의 글이었다.
 
1916
 
  • 1916113일에는 경학원 간부와 강사 19명이 일본 태자를 세우는 예식의 헌송문을 지어 총독부에 바쳤는데 조선인들이 천황의 신민이 된 것을 기쁘게 여긴다는 내용의 글을 썼다.
  • 19161125: 사망하였다.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스네프루 [Snefru, 기원전 2613~2589] 이집트 제4왕조, ‘성스러운 왕’

스네프루 [Snefru, 기원전 2613~2589] 이집트 제 4 왕조 , ‘ 성스러운 왕 ’   스네프루는 고대 이집트의 제 4 왕조를 시작한 왕이다 . 그는 24 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하면서 왕권을 강화하고 남북 지역의 교류를 확대했으며 영토도 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