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8일 목요일

테우데리크 1세(Theuderic I, AD. 487~534년) : 재위 AD. 511~534년

테우데리크 1(Theuderic I, AD. 487~534) : 재위 AD. 511~534

 
  • 메츠의 왕(King of Metz)
  • 재위 : 511534
  • 전임자 : 클로비스 1(Clovis I)
  • 후임자 : 테우데베르트 1(Theudebert I)
  • 출생 : 487
  • 사망 : 534(46~47)
  • 배우자 : 수아베고타 (Suavegotha)
  • 자녀 : 테우데베르트 1, 테오데킬트 (Theudebert I, Theodechild)
  • 왕조 : 메로빙거 왕조 (Merovingian dynasty)
  • 아버지 : 클로비스 1(Clovis I)
 
테우데리크 1(487534)는 메츠(Metz), 랭스(Rheims), 또는 아우스트라시아(Austrasia)다양하게 불리듯이의 메로빙거 왕으로, 511년부터 534년까지 통치했다.
 

기원후 487

  • 그는 클로비스 1세와 그의 초기 아내 또는 첩 중 한 명(아마도 쾰른의 프랑코-라인 공주 에보킬디스(Evochildis)일 것이다)의 아들이다.
 

기원후 511

  • 살리안족의 전통에 따라, 왕국은 클로비스의 살아남은 네 아들, 즉 파리의 킬데베르트 1(Childebert I), 오를레앙의 클로도메르(Chlodomer), 수아송의 클로타르 1(Chlothar I) 사이에 분할되었다. 테우데리크는 511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메츠를 상속받았다.
  • 재위 초기에 그는 자신의 왕국을 침략한 스칸디나비아 왕 클로킬라이크(Chlochilaich, 베오울프에 나오는 히옐라크(Hygelac))를 살해하도록 아들 테우데베르트를 보냈다 .
  • 테우데리크는 튀링기아 왕 헤르만프리트(Hermanfrid)와 그의 형제 바데릭(Baderic) 사이의 전쟁에 개입했다. 테우데리크는 도움을 주는 대가로 튀링기아의 절반을 약속받았고, 바데릭은 패배했지만 약속된 영토는 받지 못했다.
초록색 부분이 테우테리크 1세의 영토
초록색 부분이 테우테리크 1세의 영토
 

기원전 531

  • 531, 테우데리크는 그의 형제 클로타르(Chlothar), 그리고 그의 아들과 함께 헤르만프리트에게 복수하기 위해 튀링기아를 공격했다. 하두가토(Hadugato) 공작 휘하의 작센인들의 도움으로 튀링기아가 정복되었고, 클로타르는 베르타르(Berthar) (헤르만프리트의 죽은 형제)의 딸 라데군트(Radegund)를 받았다. 헤르만프리트는 운스트루트(Unstrut) 전투에서 사망했고 그의 왕국은 합병되었다.
  • 이후 클로비스의 네 아들은 모두 부르군트 왕 시기스문트(Sigismund)와 고도마르(Godomar)에 대항하여 싸웠다. 고도마르는 도주했고 시기스문트는 클로도메르(Chlodomer)에게 포로로 잡혔다.
  • 테우데리크는 시기스문트의 딸 수아베고타(Suavegotha)와 결혼했다.
  • 고도마르는 부르군트 군대를 규합하여 왕국을 되찾았다. 테우데리크의 도움을 받은 클로도메르는 고도마르를 물리쳤지만, 베제롱스(Vézeronce) 전투에서 전사했다.
 

기원후 534

  • 그의 형제 킬데베르트와 조약을 맺은 후, 테우데리크는 534년에 사망했다. 그가 사망하자 메츠의 왕위는 (의외로 아무 방해 없이) 그의 아들 테우데베르트에게 넘어갔다.
  • 테우데리크는 또한 딸 테오데킬트(Theodechild, 패배한 부르군트의 시기스문트의 딸인 그의 아내 수아베고타 소생)를 남겼다.
  • 테오데킬트는 상스(Sens)에 생 피에르 르 비프(St-Pierre le Vif) 수도원을 설립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