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1일 일요일

오 태조 대황제 손권(太祖 大皇帝 孫權, AD. 182~252년) : 재위 AD. 229~252년

오 태조 대황제 손권(太祖 大皇帝 孫權, AD. 182~252) : 재위 AD. 229~252

 

기원후 182탄생

  • 손권(孫權)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으며, ()는 중모(仲謀)이다.
  • 오군 부춘(吳郡 富春, 현재 저장성 푸양시) 출신이며, 손견(孫堅)의 둘째 아들이다.
 

기원후 192아버지 손견 사망

  • 손견이 황조(黃祖)와의 전투 중 사망하고, 큰형 손책(孫策)이 가업을 잇는다.
 

기원후 200강동(江東) 계승

  • 형 손책이 암살당하자, 18세의 나이로 형이 지배하던 강동 일대를 계승했다.
  • 초기에는 장소(張昭) 등 유능한 문관과 주유(周瑜), 성보(程普) 등 무관의 보좌를 받으며 내정을 안정시키고 세력을 키웠다.
 

기원후 207조조(曹操)와의 대립 준비

  • 조조가 북방을 통일하고 남하할 조짐을 보이자, 주유 등과 함께 조조에 대한 방어 전략을 수립했다.
 

기원후 208적벽대전(赤壁大戰) 승리

  • 조조의 80만 대군(일부 과장된 숫자)이 강동을 침공하자, 유비(劉備)와 연합하여 적벽에서 조조군을 대파했다.
  • 이 전투를 통해 삼국정립(三國鼎立)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기원후 211건업(建業)으로 본거지 이전

  • 치소(治所)를 말릉(秣陵)으로 옮겼고, 이후 이곳의 이름을 건업(建業)으로 개칭한다.
 

기원후 215합비(合肥) 전투

  • 합비에서 조조군에게 대패했으며, 특히 장료(張遼)가 맹활약한 소요진 전투(逍遙津之戰)로 유명하다.
 

기원후 219형주(荊州) 탈환 및 관우(關羽) 살해

  • 유비의 맹장 관우가 조조의 번성(樊城)을 공격하여 조조군을 압박하자, 관우의 뒤를 기습하여 형주를 탈환했다.
  • 이후 관우를 붙잡아 처형하면서, 유비와의 동맹은 완전히 결렬된다.
  • 조조의 권유를 받아 오왕(吳王)에 봉해진다.
 

기원후 222이릉대전(夷陵大戰) 승리

  • 관우의 복수를 명분으로 공격해온 유비의 대군을 육손(陸遜)을 총대장으로 삼아 이릉(夷陵)에서 대파했다.
  • 이 전투로 오나라의 입지는 더욱 공고해졌다.
 

기원후 229황제 즉위 및 오() 건국

  • 무창(武昌)에서 황제에 즉위하고 연호를 황룡(黃龍)으로 정하며, ()나라를 건국했다.
  • 이후 수도를 다시 건업으로 옮긴다.
  • 그는 오나라의 초대 황제로서 대황제(大皇帝)라 불린다.
 

치세 초중반내정 안정과 개척

  • 강남 지역의 경제를 발전시키고 학문을 장려했으며 랴오둥(遼東) 및 이주(夷洲, 현 타이완 대만) 등 해외 지역과의 교역 및 탐사 활동을 지원했다.
  • 북방 민족(산월족 山越族)을 복속시키고 생산력을 증대시켰다.
 

기원후 242태자 문제 (이궁의 변 二宮之變)

  • 태자 손등(孫登)이 일찍 사망하자, 손화(孫和)를 태자로 책봉하고 손패(孫霸)를 노왕(魯王)으로 봉했다.
  • 그러나 이 둘 사이의 치열한 후계자 다툼(이궁의 변 또는 남노당쟁 南魯黨爭)으로 인해 조정 대신들이 양분되고 많은 관료들이 희생되었다. 결국 손화는 폐위되고 손패는 사사된다.
 

기원후 250손량(孫亮)을 태자로 책봉

  • 이궁의 변으로 인한 혼란 끝에 막내아들인 손량(孫亮)을 새로운 태자로 책봉했다.
 

기원후 252사망

  • 521(음력), 건업(建業)에서 병사했다. 향년 70세였다.
  • 능은 건업 동쪽에 위치한 장릉(蔣陵)이다.
  • 사후 막내아들 손량이 즉위하여 오나라의 2대 황제가 되었다.
 

요약 정보

  • 이름 : 손권(孫權)
  • () : 중모(仲謀)
  • 묘호 : 태조(太祖)
  • 시호 : 대황제(大皇帝)
  • 출생 : 182
  • 출생지 : 오군 부춘(吳郡 富春)
  • 사망 : 252521(향년 70)
  • 사망지 : 건업(建業)
  • 재위 : 229~ 252(23)
  • 전임 : (후한 헌제로부터 실질적인 권력 단절)
  • 후임 : 오 폐제(廢帝) 손량(孫亮)
  • 손권은 형 손책의 뒤를 이어 강동의 기반을 다지고, 적벽대전과 이릉대전을 통해 조위와 촉한에 맞서 오나라를 건국한 인물이다. 뛰어난 통치력과 유능한 인재 등용으로 강남 지역의 발전을 이끌었으나, 말년에는 후계자 문제로 인해 조정에 큰 혼란을 야기하며 오나라 쇠퇴의 씨앗을 뿌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손권의 가계

 
  • 이전 세대
    • 손무(孫武) : 손견과 손권의 조상으로 추정
    • 손국(孫國) : 고조부 / 자는 명원(明元)
    • 손단(孫躭) : 증조부 / 자는 현지(玄志)
  • 조부모
    • 손종(孫鍾) : 조부
    • 손첨(孫旃) : 손종의 형제 / 자는 자지(子之)
  • 외가
    • 오휘(吳煇) : 외조부
  • 부모
    • 부친 : 손견(孫堅) : 시호 - 무렬황제(武烈皇帝)
    • 모친 : 오부인(吳夫人) : 시호 - 무렬황후(武烈皇后)
  • 삼촌/백부
    • 손강(孫羌) : 백부
    • 손정(孫靜) : 숙부, 손견의 동생
  • 외삼촌/외가
    • 서진(徐真) : 고모부
    • 오경(吳景) : 외삼촌
  • 형제
    • 손책(孫策) : 손견의 첫째 아들 / 시호: 장사환왕(長沙桓王)
    • 손익(孫翊) : 손견의 셋째 아들
    • 손광(孫匡) : 손견의 넷째 아들
    • 손랑(孫朗) : 손견의 다섯째 아들 / 서출
  • 자매
    • 손씨(孫氏) : 언니, 곡아 사람 홍자(弘咨)와 결혼
    • 손씨(孫氏) : 딸 진씨는 반준(潘濬)의 아들 반비(潘秘)의 부인
    • 손부인(孫夫人) : 여동생, 유비의 부인 (소설에서 손상향 孫尚香)
  • 종형제(사촌 형제)
    • 손분(孫賁, : 백양 伯陽) 손강의 아들
    • 손보(孫輔, : 국의 國儀) 손강의 아들
    • 손고(孫暠, : ?, ?) 손정의 장남
    • 손유(孫瑜, : 중이 仲異) 손정의 차남
    • 손교(孫皎, : 숙랑 叔朗) 손정의 삼남
    • 손환(孫奐, : 계명 季明) 손정의 사남
    • 손하(孫河, : 백해 伯海) 손견 종자
    • 손향(孫香, : 문양 文陽) 손견 종자
    • 손환(孫桓, : 숙무 叔武) 손하의 아들
    • 손소(孫韶, : 공례 公禮) 손하의 조카, 후에 손씨 성 하사
  • 외사촌
    • 서곤(徐琨)
    • 오분(吳奮)
    • 오기(吳祺)
  • 의형제
    • 주유(周瑜) 오부인의 명으로 형처럼 모심
  • 후비(后妃)
    • 사부인(謝夫人) 정실, 사경(謝煚)의 딸
    • 서부인(徐夫人) 후실, 서곤(徐琨)의 딸, 손등의 양모
    • 반황후(潘皇后) 황후, 손양(孫亮)의 생모
    • 보부인(步夫人) 후궁, 추존 황후, 손노반·손노육의 생모
    • 왕부인(王夫人) 추존: 경회황후(敬懷皇后), 손휴 생모
    • 왕부인(王夫人) 추존: 대의황후(大懿皇后), 손화 생모
    • 원부인(袁夫人) 원술의 딸
    • 조부인(趙夫人) 조달(趙達)의 누이, 여화가·자수 명인
    • 중희(仲姬) 손분(孫奮)의 생모
    • 사희(謝姬) 손패(孫霸)의 생모, 손기·손일의 조모
  • 아들들 ()
    • 손등(孫登) 태자/ 시호 : 선태자(宣太子)
    • 손려(孫慮) 건창후(建昌侯)
    • 손화(孫和) 태자 남양왕 / 시호 : 문황제(文皇帝)
    • 손패(孫霸) 노왕(魯王) / 후에 자살 혹은 피살
    • 손분(孫奮) 제왕(齊王) 장안후(章安侯)
    • 손휴(孫休) 3대 황제 / 시호 : 경황제(景皇帝)
    • 손양(孫亮) 2대 황제 회계왕, 자살 혹은 독살
  • 딸들 ()
    • 손노반(孫魯班, : 대호 大虎)
    • 손씨(孫氏) 둘째 딸, 유찬(劉纂) 부인
    • 손노육(孫魯育, : 소호 小虎)
    • 손씨(孫氏) 등윤(滕胤) 부인
  • 양자 (養子)
    • 능열(凌烈) 능통(凌統)의 장남
    • 능봉(凌封) 능통의 차남
  • 손자 ()
    • 손호(孫皓) 손화(孫和)의 아들, 오나라 마지막 황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