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7일 수요일

메로베크(Merovech, c.411~457) 메로빙거 왕조의 조상

메로베크(Merovech, c.411~457) 메로빙거 왕조의 조상

 
  • 살리안 프랑크족의 왕(King of the Salian Franks)
  • 통치 기간 : 450~ 457
  • 전임자 : 클로디오(Chlodio)
  • 후임자 : 힐데리히 1(Childeric I)
  • 출생 : 411
  • 사망 : 457
  • 자녀 : 힐데리히 1(Childeric I)
  • 가문 : 메로빙거 왕조(Merovingians)
  • 아버지 : 클로디오(Chlodio)로 추정됨 (?)
  • 종교 : 게르만 이교(Germanic paganism)
 

기원후 411년경

  • 기원후 411년경 출생하였다.
  • 메로베크(프랑스어: Mérovée, Merowig; 라틴어: Meroveus; 411457)는 메로빙거 왕조의 조상이자 창시자인 클로비스 1세의 할아버지이다. 그는 살리안 프랑크족의 왕이었다고 전해지지만, 그의 존재 기록은 전설과 신화가 섞여 있다.
  • 가장 중요한 기록 소스인 투르의 그레고리(Gregory of Tours)는 메로베크가 클로디오(Chlodio)의 후손이라고 기록했다. 클로디오는 현대 벨기에 중부의 실바 카르보나리아(Silva Carbonaria)에서 현재 프랑스의 파리 북쪽에 있는 솜(Somme) 강까지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한, 거의 동시대의 프랑크족 전쟁 군주이다.
  • 메로베크(Merovech)라는 이름은 마르빅(Marwig)과 관련이 있으며, 문자 그대로 명성 있는 싸움을 의미한다.
 

출생의 비밀ㆍ바다와의 관계

  • 프레데가르 연대기(Chronicle of Fredegar)는 메로베크가 클로디오의 아내가 바다에서 목욕하다 바다 생물과 마주친 후 태어났다고 기록한다. 프레데가르에 따르면, 메로베크의 아버지가 그 바다 생물이었는지 클로디오였는지는 불분명하다고 한다. 또 다른 이론은 이 전설이 서유럽에서 빠르게 부상하는 프랑크족의 통치를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신화적인 과거를 창조한 것이라고 본다.
  • 게오르그 바이트(Georg Waitz)와 같은 일부 역사가들은 메로베크가 신화적 인물일 수 있으며, 프랑크족이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 그들이 숭배했던 신 또는 반신을 암시하는 바다의 아들(프랑크어로 mari)로 이론화된다고 주장한다.
  • 또 다른 주장은 메로베크가 메르웨데(Merwede) 강을 지칭하는 것이라는 의견이다. 이 강은 일부 로마 역사가에 따르면 살리안 프랑크족이 살던 지역과 초기 경로가 일치한다. 그러나 어원학 연구는 이 이론을 반박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원후 448


클로디오는 448년 아르투아의 비쿠스 헬레나(Vicus Helena)에서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Flavius Aëtius)에게 패배했다고 전해진다. 이안 S. 우드(Ian S. Wood)는 따라서 그의 아들이 5세기 후반 어딘가에 존재했을 것이라고 본다.
 

로마 역사가 프리스쿠스의 언급

  • 그는 451년 골(Gaul)의 카탈라우눔 평원 전투에서 아틸라 휘하의 훈족에 맞서 로마 장군 아에티우스와 힘을 합친 여러 야만족 전쟁 군주 및 왕 중 한 명이었을 수 있다.
  • 동시대 로마 역사가인 프리스쿠스(Priscus)는 로마에서 "아직 뺨에 솜털도 나지 않았고 긴 금발 머리가 어깨까지 흘러내리는 청년"을 목격했으며, 아에티우스가 그를 양아들로 삼았다고 기록한다. 프리스쿠스는 아틸라(Attila)가 프랑크족과의 전쟁을 벌인 구실이 그들의 왕의 죽음과 왕위 계승을 둘러싼 자녀들의 불화였으며, 큰아들은 아틸라와 동맹을 맺고 작은아들은 아에티우스와 동맹을 맺었다고 기술한다. 클로디오가 아틸라의 침공 직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이는 메로베크가 실제로 클로디오의 아들이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메로베크가 프리스쿠스의 기록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 중 한 명인지에 대해서는 역사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나뉜다:
    • 에리히 죄너(Erich Zöllner)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라인 프랑크족의 왕국이 살리안 프랑크족의 왕국과는 달리 아틸라의 침공 경로에 있었으므로, 이 기록이 라인 프랑크족의 왕들과 관련 있다고 본다.
    • 에밀리엔느 드무조(Émilienne Demougeot)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메로베크가 451년에 사망한 왕이고, 그의 아들 킬데리크가 아에티우스의 양아들이라고 믿는다.
    • 마지막으로, 크리스티안 세티파니(Christian Settipani)는 이 단편이 살리안 프랑크족에 적용된다고 가정한다면, 연대기적으로 클로디오가 451년에 사망한 왕이고 메로베크가 로마와 동맹을 맺은 아들이라고 본다. 그는 이것이 확실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 프리스쿠스가 언급한 프랑크족 왕자 중 한 명이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메로베크는 갈리아 벨기카(Gallia Belgica), 브라반트(Brabant) 지역에 정착하여 투르네(Tournai)에 자신의 거처를 마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 장군 아에티우스와 싸움

 
로마 제국과의 조약(foedus)에 묶여 살리안 프랑크족이 451년 카탈라우눔 평원 전투(샬롱--샹파뉴와 트루아 근처 평원)에서 로마 장군 아에티우스와 함께 싸웠다는 것은 받아들여지는 사실이다. 그러나 출처들은 누가 그들을 전투로 이끌었는지는 명시하지 않는다. 프랑크족은 게피드(Gepids)와의 예비 전투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 하지만 다음날 전투에서 전사한 비시고트족의 왕 테오도리크 1(Theodoric I)의 죽음을 기록한 것과는 달리, 역사는 이 부분에 대해 더 이상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메로베크와 가계도

 
역사가 에티엔 르나르(Étienne Renard)9세기와 10세기의 두 왕실 가계도를 새롭게 해석하여, 메로베크가 제닐디스(Genildis)의 할아버지라기보다는 가문의 시조 창시자일 수 있다고 제시한다. 그에 따르면 메로베크는 어떤 전쟁 행위나 역사적 사건과도 연관되지 않은, 존재감이 희미한 인물이다.
 
  • 메로베크의 존재를 배제해서는 안 된다. 629년에서 639년 사이에 작성된 아우스트라시아 가계도에는 다음과 같이 언급되어 있다. 클로이오(Chloio)는 프랑크족의 첫 왕이다. 클로이오는 글로드보데(Glodobode)를 낳았다. 글로드베두스(Ghlodobedus)는 메레베오(Mereveo)를 낳았다. 메레베우스(Mereveus)는 힐브리코(Hilbricco)를 낳았다. 힐데브리쿠스(Hildebricus)는 제니오도(Genniodo)를 낳았다. 제니오두스(Genniodus)는 힐데리코(Hilderico)를 낳았다. 킬데리쿠스(Childericus)는 클로도베오(Chlodoveo)를 낳았다.
  • 계보학자 크리스티안 세티파니는 이것이 살리안 왕들의 목록이며, 계보가 그 구성 이후에 확립된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이 계보는 다음과 같이 수정되어야 한다 : 클로디오(Chlodion)는 클로드보드(Chlodebaude)와 메로베크(Merovee)를 낳았다. 메로베크는 킬데리크(Childeric)를 낳았다.
  • 그러나 역사가 장-피에르 폴리(Jean-Pierre Poly)는 만약 메로베크(Merow'ih)435년에 결혼한 클로드보드(Hl'udbead)의 아들이라면, 그가 456년경에 왕이었던 킬데리크(Hildrih)를 아들로 두기는 어렵다고 본다. 그는 메로베크(Merow'ih)가 클로디오(Hl'udio)의 아들인 클로드보드(Hl'udbead)의 별명이라고 추론한다 .
 

대중문화 속의 메로베크

 
메로베크의 탄생에 대한 전설은 1982년 마이클 베이전트(Michael Baigent), 리처드 레이(Richard Leigh), 헨리 링컨(Henry Lincoln)이 그들의 책 성혈과 성배(The Holy Blood and the Holy Grail)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의 씨앗으로 각색되었다. 그들은 "물고기에서 태어났다"는 이 전설이 실제로는 메로빙거 혈통이 예수 그리스도의 혈통과 결혼했음을 의미한다고 가설을 세웠다. 초기 기독교인의 상징 또한 물고기였기 때문이다. 이 이론은 저자들의 가설 외에는 다른 근거가 없지만, 2003년 댄 브라운(Dan Brown)의 베스트셀러 소설 다빈치 코드(The Da Vinci Code)를 통해 더욱 대중화되었다 . 그러나 메로베크가 예수의 후손이라는 이 주장에 대한 증거는 없었다.
메로베크의 정체성과 역사성은 로버트 안톤 윌슨(Robert Anton Wilson)역사적 일루미나투스 연대기(The Historical Illuminatus Chronicles)의 두 번째 책 과부의 아들(The Widow’s Son)에서 중요한 미스터리 중 하나이다. 이 책은 초기 메로빙거 왕조를 끔찍한 물고기 생명체로 나타나는 환상을 통해 독자에게 물고기 전설을 처음 소개한다. 윌슨은 더 나아가 예수와 막달라 마리아를 기독교 장미십자회의 연금술적 결혼(The Alchemical Marriage of Christian Rosycross)의 신랑과 신부로, 그리고 메로베크를 프리메이슨 전설 속 표제어인 '과부의 아들'로 설정하여, 전체 혈통이 외계인-인간 혼혈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