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신(金敎臣, 1901~1945) : 기독교인, 교육자
【1901년】
- 4월 18일, 함남 함흥의 중산층 유가(儒家) 가문에서 아버지 김염희와 어머니 양신의 사이에서 출생했다.
- 태종 때 함흥차사 박순(朴淳)과 함께 함흥에 갔다가 다행히 죽음을 면하고 정평(定平)에 정주하게 된 김덕재(金德載)의 후예이다.
- 근대 한국이 낳은 민족적 기독교 이념을 창도한 「무교회」(無敎會) 클럽의 지도자다.
【1919년】
- 함흥농업학교 2학년 재학 중 3ㆍ1운동에 참여, 함흥지역 만세 시위 가담으로 체포되었으나 기소유예 처분, 죽마고우인 한림은 3학년 재학 중 3ㆍ1운동에 참여했다가 기소되었다.
【1920년】
- 3월에 함흥공립농업학교 졸업 후 한림과 함께 일본 유학.
- 일본으로 건너가 토오쿄오 정칙(正則) 영어학교에 입학했다. 이 무렵 그는 유교적 인생관과 세계관에 몹시 회의를 느끼고, 당시 일본의 무교회 기독교의 창도자인 우찌무라 간조(內村鑑三)의 문하에 들어가 7년간 사숙했다.
【1921년】
- 4월, 지리박물과로 전과. 풍수지리의 비과학성에서 벗어나려는 동기에서 자연계, 그중에서도 자리학을 공부할 수 있는 지리박물과를 선택하였다.
【1925년】
- 조선인 6명이 ‘조선성서연구회’ 출범.
【1927년】
- 3월, 동경고등사범학교 박물과를 1927년 졸업했다.
- 4월, 함흥 영생여자고등보통학교 교사로 부임.
- 7월 1일, 정상훈(鄭相勳)ㆍ함석헌(咸錫憲)ㆍ송두용(宋斗用)ㆍ유석동(柳錫東)ㆍ양인성(楊仁性) 등 우찌무라 문하 6인과 함께 〈성서조선〉(聖書朝鮮)이란 신앙잡지를 발간하였다.
【1928년】
- 4월, 서울 양정고등보통학교에 부임.양정 부임 후 정상훈을 도와 〈성서조선〉 간행에 진력
【1930년】
- 1930년 5월호인 제16호부터는 이 〈성서조선〉을 그 자신이 주간으로 책임 편집하는 〈신앙동인지〉로 개편했고, 이후 12년간 일제당국의 혹독한 검열을 견디며 계속 간행하였다.
【1931년】
- 1월 〈성서조선〉 제24호부터 ‘산상수훈 연구’ 게재 시작(1932년 2월까지 연재)
- 9월 18일 만주사변 발발
【1932년】
- 1월 1일, 경성제면소를 찾아가 류영모와 첫 만남
【1933년】
- 12월 30일부터 1934년 1월 5일까지 6박 7일 동안 1934년 동계 성서집회 개최. 함석헌은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 역사〉, 김교신은 〈지리학적으로 본 조선의 사명〉을 발표.
【1934년】
- 2월, 〈성서조선〉 제61호에 함석헌의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 역사〉 연재 시작(1935년 12월 제83호까지 총 22회 연재)
- 3월, 〈성서조선〉 제62호에 〈조선지리소고〉 게재.
- 늦은 봄,노평구가 양정 숙직실에 김교신을 처음 만남.
- 12월 11일, 조선철도국 사보 《국우(局友)》에실린 〈조선사상운동개관〉을 인용해 조선공산당이 다른 나라 공산당과 다른점이 있다면 조선 기독교 또한 ‘조선 김치 냄새 나는’ 민족적 기독교가 되어야 할 것임을 강조
【1935년】
- 11월 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메이지신궁 경기대회에서 손기정 선수 우승
【1936년】
- 6월, 경성부 외 숭인면 정릉리 378번지로 이사
- 8월 10일,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경주에서 손기정 우승
【1937년】
- 7월 7일, 중일전쟁 발발
- 9월, 야나이하라가 1937년 《주오코론中央公論》 9월호에 발표한 논문 〈국가의 이상〉에서 일본 군국주의를 비판했다가 그해 12월 도쿄제국대학 교수직에서 해직됨
【1941년】
- 9월, 개성의 송도중학교 교사로 부임
【1942년】
- 1942년 3월 제158호의 권두언인 「조와」(弔蛙: 개구리의 죽음을 슬퍼함)가 어떤 추위에도 견디고 살아남는 개구리의 생명력에 비유하여 민족의 희망을 노래했다는 검찰측의 해석에 의해 폐간되기에 이르렀다.
- 이때 그는 함석헌ㆍ송두용ㆍ유달영(柳達永) 등 12인과 함께 검속되어 1년간의 옥고를 치르게 되었고, 전국의 수백의 잡지 구독자도 고초를 겪었다.
- 김교신은 신앙잡지를 발간하면서도 민족사학의 평교사 생활로 일관했다. 그가 봉직한 민족사학은 함흥의 영생여고보ㆍ양정고보, 개성의 송도고보이다. 6개월동안 이례적으로 경기고보에도 봉직했다. 그가 담당한 교과는 주로 지리였다. 이중에서도 특히 양정고보에는 10년간 근무하면서 차원높은 애국의 길과 진지한 구도적(求道的) 자세를 몸소 보임으로써 학생들에게 지내단 영향을 주었다.
【1943년】
- 3월 29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출옥
【1944년】
- 출옥한 후 그는 조국해방의 날이 가까웠음을 예감하고 멀리 만주까지 드나들며 신앙동지들을 독려했다.
- 7월 흥남질소비료공장에 5천이 넘는 한국인 노무자들이 혹독한 괴로움을 당하고 있으며, 또 노무자들도 인간적인 자각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는 실정을 듣고, 이들의 교육ㆍ복지ㆍ후생의 문제를 돕고자 몇몇 동지와 더불어 그 공장에 취업했는데 주로 한국인 노무자 기숙사의 일들을 보살폈다.
【1945년】
- 해방직전 함경도 일대에 퍼진 장티푸스에 걸려 1944년 4월 25일 해방을 앞두고 별세했다.
【2010년】
-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김교신의 무교회기독교의 신조】
- 김교신의 무교회기독교(non-church-movement)의 신조는 크게 다음 넷으로 요약된다.
- 첫째는 공간을 점유하는 눈으로 보이는 회당을 진정한 교회로 여기지 않고 신자가 모이는 예배의 장소 자체를 교회로 인정하는 일이요,
- 둘째는 성직제도에서 비롯한 갖가지 교회가 가진 권능을 인정하지 않을 것(예를 들면 목사에 의한 세례 등 의식의 의의를 경시하며) 장로ㆍ집사 등의 직분에 의한 신자들의 조직도 무시하며,
- 셋째로는 교회가 가지고 있는 성서해석권을 인정하지 않고 신자 각자가 성서를 통해 직접 하나님과 만나 은혜의 분수대로 신앙의 진리를 깨우침받는 만인사제(萬人司祭)의 입장을 존중하는 일이다. 따라서 무교회 클럽은 성서읽기를 무엇보다 중시하고 가능하면 원어로 그것을 읽는 것을 이상으로 삼으며, 세속적 직업을 하나님에 대한 봉사로 여겨 받들고 성의를 다해 수행하는 직업성소관(職業聖召觀)이 투철하며, 전문적 성서연구가나 성직자의 직분을 교회에서처럼 높이 받들지는 않는다.
- 그리고 끝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섭리사관에 입각하여 하나님이 우리 민족에게 주신 고유한 세계사적 사명이 무엇인가를 자각ㆍ정립하는 것을 중요한 신앙적 과제로 삼는 일이다.
- 이 이념은 이들 무교회클럽의 민족정신사적ㆍ민족교육사적ㆍ민족교회사적 성격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런 자세는 필연적으로 우리 민족의 신앙을 외국의 교파교리신학으로부터 해방시키는 정신적 독립을 가능케 하며, 외국의 선교기금에 의해 경영되는 눈으로 보이는 교회의 존립 여부에 대한 회의를불러 일으키며, 민족의 토착적 기독교의 이념과 그 신앙 양식을 존중하게 하며, 또 민족의 「존재 이유」를 탐구케 함으로써 민족의 정신적ㆍ경제적ㆍ정치적 자유와 독립의 진정한 신앙적 기반을 공고히 한다고 믿는 데 있다.
【무교회클럽과 일반 교회 신자와의 신앙생활 방식의 차이점】
- 무교회클럽과 일반 교회 신자와의 신앙생활 방식에는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난다.
- 첫째, 눈에 보이는 회당으로서의 교회를 진정한 교회로 보지 않고, 신자들이 성경을 읽고 기도하는 모든 자리가 교회일 수 있다고 보았다.
- 둘째, 교회의 목사, 또는 각 교파의 지도자들이 가지고 있는 권한, 즉 교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 셋째, 세례식ㆍ성찬식 등 교회에서 행하는 예식에 별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 넷째, 교회를 대표하는 사람들이 행사하는 성서해석권을 거부하고 각 사람의 믿음과 은총의 분수대로 성경의 뜻을 깨우침받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 다섯째, 하나님이 우리 민족에게 위탁하신 귀한 섭리사적 사명이 무엇인가를 한국의 쓰라린 역사를 바탕으로 찾아내는 일을 신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었다. 최근에는 그의 기독교에 대한 민족주의적 수용자세, 종교인 및 교육가로서의 탁월한 행적에 관한 재평가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 6권의 김교신전집】
- 그의 신앙논문ㆍ교육수필ㆍ시사평 등은 〈성서조선〉 전 158호 전편에 나와 있으며, 이 글들은 전 6권의 《김교신전집》 형식으로 그의 신앙적 제자 노평구(盧平久)의 편집에 의하여 1975년 경지사(耕智社)에서 출판되었다.
- 전집의 제1, 2권에는 「신앙과 인생」이란 제호(題號)로 〈성서조선〉의 권두언이 항목별로 수록되어 있다. 제1권에는 하나님ㆍ그리스도ㆍ성서ㆍ기독교ㆍ신앙ㆍ사랑ㆍ부활ㆍ기독신도ㆍ전도ㆍ무교회ㆍ자연ㆍ찬미 등의 항목이 그리고 제2권에는 조국ㆍ교육ㆍ학문과 직업ㆍ현실과 이상ㆍ믿음의 생활ㆍ사회시평(社會時評)ㆍ고백ㆍ선언ㆍ가정ㆍ위대한 사람들ㆍ고인(故人)에 대한 추억, 〈성서조선〉의 행로, 생활주변, 회고와 전망등의 항목이 게재되어 있다.
- 제3권에는 「성서개요」란 제호로 「구약성서개요」와 「신약성서개요」가 서술되어 있고,
- 제4권에는 「성서연구」라는 제호로 「산상수훈연구」ㆍ「골로새서 강의」ㆍ「데살로니가전서 강의」ㆍ「시편강해」가 실려있다.
- 그러나 그의 저작 중에서 아주 이색적이며 최고의 걸작은 전집의 제5, 6권에 수록되어 있는, 그의 12년 간의(1930년 5월에서 1941년에 이르는) 일기이다. 그는 〈성서조선〉에다 거의 매일 시사평ㆍ교육평ㆍ종교평ㆍ생활평을 곁들인 자신의 일기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 일기야말로 일제하에서 교육과 신앙을 통해 민족을 찾던 한 교사의 귀중한 삶의 기록으로서 그 질과 양에 있어서 한국에는 일찍이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귀중한 문헌으로 평가되고 있다.
【김교신을 여러 각도에서 소개한 문헌】
- 김교신을 여러 각도에서 소개한 문헌으로는 그의 신앙적 제자 73인의 글이 게재된 《김교신과 한국》(제일출판사, 1975), 외솔회가 편집한 〈나라 사랑〉의 김교신 특집호(나라사랑 제17집, 정음사, 1974)가 있다.
- 그에 관한 연구논문도 최근에 많이 나오기 시작했는데, 그중 몇가지를 대표적으로 소개하면, 민경배(閔庚培)의 〈김교신의 무교회주의와 조선적 기독교〉(조선출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대한기독교서회, 1975), 문정길(文正吉)의 〈김교신연구〉(성서연구, 제252호, 1975년 11월, 성서연구사), 김정환(金丁煥)의 〈기독교의 이단자 김교신〉(월간중앙, 1974년 6월호), 〈김교신의 교사적 특질분석〉(나라사랑 제17집 특집호), 〈김교신의 민족정신사적 유산〉(민족문화연구 제10호,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6년 9월호) 등이 있다.
- 뿐만 아니라 대학원 또는 교육대학원 석사논문에도 그에 관한 연구가 가끔 보이는데 발표된 첫 연구논문은 박신관(朴信觀)의 〈김교신 연구〉(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72)이며, 단편적인 논문들은 노평구 주간의 〈성서연구〉와 송두용 주간의 〈성서신애〉에 자주 게재되어 있다(일례를 들면 유희세〈劉熙世〉의 성서조선의 창간호와 종간호; 성서신애, 제191호, 1974년 6월).
- 김교신은 이상재ㆍ이승훈과 더불어 아주 특이한 개성을 지닌 기독자로 알려져 있고, 이런 면에서 앞으로도 계속 그에 대한 평전으로 김정환의 《김교신》(신학사상문고, 한국신학연구소, 1980년)이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