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5일 월요일

후한 11대 환제 유지(桓帝 劉志, AD. 132~168년) : 재위 AD. 146~168년

후한 11대 환제 유지(桓帝 劉志, AD. 132~168) : 재위 AD. 146~168

 

기원후 132

  • 유지(劉志)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
  • 그는 후한 장제(章帝)의 증손자이다. (일부 자료에서는 한 경제의 8세손으로 기술하기도 한다)
  • 할아버지는 하간효왕(河間孝王) 유개(劉開)이고, 아버지는 여오후(蠡吾侯) 유익(劉翼)이다. 어머니는 언씨(匽氏, Lady Yan)이다.
  • 출생지는 려오(蠡吾, 현재 허베이성 보야오현)이다.
 

기원후 146

  • 형의 사망과 혼인 : 큰형인 발해왕(勃海王) 유홍(劉鴻)이 일찍 사망했고, 유지도 여오후를 이을 자격이 있었다. 그는 당시 실세였던 대장군 양기(梁冀)의 누이인 양녀영(梁女瑩)과 결혼했다.
  • 황제 즉위 : 질제(質帝) 유찬(劉纘)이 양기(梁冀)에게 독살당하자, 환관 조등(曹騰)의 추천과 양기의 선택으로 기원후 14681(양력), 15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했다. 그는 후한의 11대 황제였다.
  • 재위 기간은 기원후 14681일부터 기원후 168125일까지이다.
  • 양기의 전횡 : 재위 초에는 양기 일족이 권력을 장악하고 황제는 실권이 없는 상태였다. 양기의 누이인 양녀영은 황후(의헌황후 懿獻皇后)가 되었으나, 총애받지 못했다.
 

기원후 147

  • 첫 번째 연호는 건화(建和)였다(기원후 147~ 149).
 

기원후 150

  • 두 번째 연호는 화평(和平)이었다(기원후 150).
 

기원후 151

  • 세 번째 연호는 원가(元嘉)였다(기원후 151~ 153).
 

기원후 153

  • 네 번째 연호는 영흥(永興)이었다(기원후 153~ 154).
 

기원후 155

  • 다섯 번째 연호는 영수(永壽)였다(기원후 155~ 158).
 

기원후 158

  • 여섯 번째 연호는 연희(延熹)였다(기원후 158~ 167).
 

기원후 159

  • 환제는 양기의 전횡에 불만을 품고 있었고, 결국 환관 단초(單超), 좌관(左悺), 서황(徐璜), 구원(具瑗), 당형(唐衡) 5명의 환관들과 비밀리에 모의하여 양기 일족을 숙청했다.
  • 5명의 환관은 이후 큰 권력을 얻어 오후(五侯)”라 불렸으나, 그들 역시 매우 탐욕스러웠고 부패하여 민생을 피폐하게 만들었다. 이는 후한의 정치 혼란을 가중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양기 숙청 후 외척의 횡포는 줄었으나, 환관의 전횡이 심화되었다. 환제는 유학자들 대신 환관과 일부 황실 인사에 의존하여 통치했다 .
  • 환제는 개인적으로 음악을 즐기고 여색을 탐닉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후궁의 수가 수천 명에 달했다는 기록도 있다.
 

기원후 166

  • 당고의 화(黨錮之禍) 발생 : 타락한 환관들에 비판적이던 태학(太學)의 유생들과 청류(淸流) 학자들이 환관을 비판하자, 환관들은 이들을 탄압하고 정계에서 배제했다. 이는 후한 멸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는 당고의 화의 시작이었다.
  • 이러한 황음과 환관의 전횡은 후한의 국력을 쇠퇴시키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고, 황건적의 난과 같은 대규모 농민 봉기의 씨앗을 뿌렸다.
 

기원후 167

  • 일곱 번째이자 마지막 연호인 영강(永康)을 사용했다(기원후 167).
 

기원후 168

  • 125, 36세의 나이로 병사했다.
  • 그는 아들 없이 사망했으며, 황후인 환사황후 두씨(竇氏)는 장제의 후손인 유굉(劉宏)을 황제(후한 영제)로 옹립했다.
  • 그의 묘호인 위종(威宗)190년 채옹(蔡邕)의 건의로 폐지되었다. 이는 공덕이 없으므로 종묘에 모시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에서였다.
  • 능은 낙양(洛陽) 인근의 선릉(宣陵)이다.
 

요약 정보

  • 이름 : 유지(劉志)
  • 묘호 : 위종(威宗) (기원후 190년에 폐지됨)
  • 시호 : 효환황제(孝桓皇帝) : 환제(桓帝)는 줄임말
  • 출생 : 기원후 132
  • 출생지 : 여오(蠡吾, 현재 허베이성 보야오현)
  • 사망 : 기원후 168125(향년 36)
  • 사망지 : (낙양 궁궐 내로 추정)
  • 재위: 기원후 14681~ 기원후 168125(21177)
  • 전임: 후한 질제(質帝) 유찬(劉纘)
  • 후임: 후한 영제(靈帝) 유굉(劉宏)
  • 후한 환제 유지는 양기(梁冀)와 같은 외척을 숙청하는 강력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으나, 그 과정에서 환관에게 과도한 권력을 주어 새로운 외척 세력을 만들었으며, 사치와 향락에 빠져 국정을 황폐하게 만들었다. 그의 치세는 후한이 외척과 환관의 반복적인 전횡, 그리고 유학자 탄압(당고의 화) 등으로 혼란에 빠져 멸망으로 치닫는 중요한 전환점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환제 가계

 

1) 부모

  • 부친 : 여오후(蠡吾侯) 유익(劉翼)
  • 모친 : 언씨(匽氏, Lady Yan)
  • 양아버지 : 한 순제 유보(漢順帝 劉保) - 순제의 양자로 입양되어 황위에 올랐다.
 

2) 형제자매

  • 평원왕 유석(平原王 劉碩) 형제
  • 발해왕 유개(勃海王 劉悝) 형제
  • 장사공주(長社公主) 자매, 유미후 경원(隃麋侯 耿援)에게 시집감
  • 익양장공주(益陽長公主) 자매, 구 모(寇某)에게 시집감
 

3) 황후들

  • 양여영(梁女莹) , 의헌황후 양씨(懿獻皇后 梁氏)
  • 등맹녀(邓猛女) , 황후 등씨(鄧氏)
  • 두묘(窦妙) , 환사황후 두씨(桓思皇后 竇氏)
 

4) 후궁들 (귀인, 부인 등)

  • 귀인 곽씨(贵人 郭氏)
  • 귀인 전성(田圣) 전씨(田氏), 이름은 성()
  • 귀인 풍씨(冯氏)
  • 구씨 부인(寇氏) 구용(寇荣)의 종손녀
 

5) 자녀들

  • 딸들
    유화(劉華) 양안장공주(陽安長公主)로 봉해짐
    유견(劉堅) 영음장공주(潁陰長公主)로 봉해짐
    유수(劉脩) 양적장공주(陽翟長公主)로 봉해짐
  • 양자(후계자)
    한 영제 유굉(漢靈帝 劉宏) 양자로 삼아 황위를 잇게 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