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6일 토요일

여호사밧(Jehoshaphat, BC. 905~849년경 : 유다의 네 번째 왕(BC. 870~849년경)

여호사밧(Jehoshaphat, BC. 905~849년경 : 유다의 네 번째 왕(BC. 870~849년경)

 
  • Jehoshaphat (Jehosaphat, Jehosophat, Josaphat, or Yehoshafat)
  • [Hebrew : יְהוֹשָׁפָט / Modern : Yəhōšafaṭ / Tiberian : Yŏhōšāp̄āṭ, “Yahweh has judged” / Greek : Ἰωσαφάτ / romanized : Iosafát / Latin : Josaphat]
  • 출생 : 기원전 905년경
  • 사망 : 기원전 849년경
  • 재위 : 기원전 870~849년경
  • 전임 : 아사(Asa)
  • 후임 : 여호람(Jehoram)
  • 부친 : 아사(Asa)
  • 모친 : 아수바(Azubah)
  • 자녀 : 여호람(Jehoram), 아하시야(Azariah), 여히엘(Jehiel), 스가랴(Zechariah), 아자리야(Azariahu), 미가엘(Michael), 셉타야(Shephatiah)
여호사밧
여호사밧
 

1. 여호사밧 : 즉위 이전

 

1) 이름, 시대, 출전

 
여호사밧(Jehoshaphat, 히브리어 יְהוֹשָׁפָט, ‘야훼께서 심판하셨다’)은 유다 왕국의 네 번째 왕으로 아사(Asa)의 아들이며, 다윗 왕조의 정통 계보에 속하는 군주이다. 성경 기록은 열왕기상 22장과 역대하 1721장에 집중되어 있다. 통치 기간은 전통적으로 25년으로 기록되며, 즉위 나이는 35세로 전한다.
 

2) 생애와 즉위 배경

 
여호사밧은 아사(Asa)의 아들로 태어나 모후는 아수바(Azubah)로 전한다. 아사의 말년에 발병과 공동섭정 도입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되며, 여호사밧은 부친의 종교 개혁 노선을 계승해 초기에 국경 방비와 신앙 질서 정비를 병행했다. 그는 다윗의 길을 따랐다는 신앙 평가와 함께 요새 건설, 행정·사법 체계 강화에 힘쓴 군주로 묘사된다.
 

3) 연대 주석과 학계 조정

 
여호사밧의 재위 연대는 윌리엄 F. 올브라이트(William F. Albright)와 에드윈 R. 타일(Edwin R. Thiele)의 체계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대체로 재위는 기원전 870849년 전후로 비정되며, 타일에 따르면 아사의 39(발병 시기)에 공동섭정을 시작하고, 아사 사후 단독 통치를 이어가다 기원전 849/848년에 사망한 것으로 조정한다. 이 조정은 즉위년 기산법과 공동섭정, 기록 전승의 반올림 차이를 반영한 학계의 표준적 해법이다.
 

2. 유다의 제4대 왕

 

1) 통치의 성격과 정책

 
재위 초기에 유다의 요새 도시를 강화하고, 군사 배치를 정비했으며, 산당·우상 숭배 억제에서 열심을 보였다는 평가가 주어진다. 역대하는 특히 그가 관리·레위인·제사장들을 지방에 파견해 율법 교육을 시행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예루살렘 중심의 제의 질서와 법의 권위를 지방까지 확장하려는 시도로, 종교·행정의 통합적 개혁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2) 동맹과 대외 관계

 
여호사밧은 북이스라엘과의 관계에서 두드러진 동맹 정책을 전개했다. 아합(Ahab)과 혼인 동맹으로 결속을 강화했고, 라못 길르앗 전역에서 연합 작전에 참여했다는 전승이 있다. 또한 오빌 혹은 다시스 항로를 모사하려 선단을 건조했으나, 에시온 게벨에서 좌초해 해상 상업 확대 시도가 무산되었다는 기록이 전한다. 아람-다마스쿠스와의 역학 또한 그의 재위기 외교 지형을 규정했다.
 

3) 모압 동맹 격퇴

 
역대하의 기술에 따르면 모압을 중심으로 한 주변국 연합군이 엔게디에 결집해 예루살렘을 위협했다. 여호사밧은 성전 뜰에서 우리는 당할 힘이 없고, 눈은 주께로 향하나이다라는 기도로 간구했고, 레위인 야하시엘(Jahaziel)의 예언이 전투는 너희에게 속한 것이 아니요 하나님께 속했다고 선포한다. 다음 날 연합군 내부의 불화로 적들이 서로를 살해하여 유다 군은 전리품 수거만 하게 되었고, 전투는 신적 개입의 상징으로 기록되었다. 이 사건은 신앙적 의존과 공동체 예배의 힘을 강조하는 전승의 결절점이다.
 

4) 사법ㆍ종교 행정 개혁 율법 교육과 재판 질서

 
여호사밧은 지방 순회 교사단을 조직해 율법을 가르치게 하고, 재판 체계를 정비해 공의로운 판결을 도모했다는 기록이 따른다. 이는 경건한 왕이 번영한다는 역대기의 신학적 테제를 반영하면서도, 실제로 통치 합리화와 중앙집권화에 기여한 조치로 해석된다. 다만 산당 철폐 여부에 대해 열왕기와 역대기 간 기록 톤이 상이하여, 평가의 강도는 전승에 따라 달라진다.
 

5) 사망과 계승 여호람으로의 승계

 
여호사밧은 재위 25년 후 사망하고, 아들 여호람(Jehoram)이 즉위한다. 사후 의식으로 장작더미를 피워 예우했다는 기록이 전승되며, 이는 부친 아사 때의 장례 의식과 병치되어 왕조적 연속성과 장례 예법의 패턴을 보여준다. 그의 치세에서 구축된 행정·사법의 틀과 신앙 교육의 유산은 후계기 유다의 안정 자산이 되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3. 해석과 평가

 

1) 랍비 문헌의 해석

 
랍비비 전통은 여호사밧을 경건과 개혁의 상징으로 보되, 역사적 난제와 연결해 창의적 설명을 제시한다. 예컨대 놋뱀(Nehushtan)’의 운명에 관한 질문에 대해, 아사와 여호사밧이 우상 정화 과정에서 놋뱀을 일부러 남겨 훗날 히스기야가 이를 파괴함으로써 공로가 드러나게 했다는 해석이 전한다. 이러한 전승은 시대별 개혁의 연속성과 공적의 균형을 가르치는 교훈적 장치로 기능한다.
 

2) 기독교 전통에서의 위치

 
기독교 전통에서 여호사밧은 마태복음 예수 그리스도의 족보에 포함되어 메시아 계보의 한 고리로 기억된다. 설교·주석 전통은 그의 율법 교육과 기도, 그리고 모압 동맹 격퇴에서의 예배-전투배치를 신앙 공동체의 모범으로 제시한다. 한편 북왕국과의 동맹이 부른 부정적 여파와 항해 사업 실패는 분별 없는 연합과 야망의 경계를 일깨우는 사례로도 독해된다.
 

3) 예술과 대중문화 속 여호사밧


여호사밧은 중세·근세 도상에서 경건한 왕의 전형으로 나타난다. 샤르트르 대성당 북장미창의 스테인드글라스, 엘 에스코리알의 왕상, 장 푸케(Jean Fouquet)가 유대 고대사를 삽화화하며 그린 여호사밧의 승리장면 등은 그의 상징적 위상을 전한다. 루카스 반 레이덴(Lucas van Leyden)의 판화 연작에서는 아비야·아사와 함께 다윗 왕가의 계보적 연속성 속 한 인물로 배치된다.
 

4) 평가 경건과 정치의 긴장

 
여호사밧은 대체로 경건한 개혁 군주로 평가되며, 율법 교육과 사법 정비, 예배 중심의 전쟁 서사가 그의 통치 정체성을 특징짓는다. 동시에 북이스라엘과의 동맹, 항해 사업 실패 등은 신앙적 열심정치적 선택사이의 긴장을 드러낸다. 역대기는 그의 신앙을 확대 서술하며 신정론적 번영 모델을 제시하고, 열왕기는 더 절제된 톤으로 공과를 병기한다. 이 이중 초점은 기록 공동체의 신학적 목적 차이를 반영한다.
 

5) 역사적 의의 교훈과 유산

 
여호사밧의 기록은 경건이 곧 통치 합리화로 연결되는 경향을 보여주되, 정치 동맹의 함정과 신앙적 분별의 중요성을 함께 남긴다. 엔게디 사변의 전승은 공동체 예배와 신뢰의 힘을 강조하며, 율법 교육·사법 개혁은 신앙과 제도가 함께 세워질 때의 효과를 시사한다. 연대 주석은 서로 다른 전승의 수치를 조화하려는 학계의 표준을 제공하며, 오늘의 독자는 신앙적 가치와 현실 정치의 접점을 성찰하는 좌표를 얻게 된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