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30일 화요일

진폐제 사마혁(晉廢帝 司馬奕, AD. 342~386년) : 동진 7대 황제(AD. 365~371년)

진폐제 사마혁(晉廢帝 司馬奕, AD. 342~386) : 동진 7대 황제(AD. 365~371)

 
  • 진폐제 사마혁(晉廢帝 司馬奕)
  • 출생 : 342
  • 사망 : 3861123(향년 43~44)
  • 재위 기간 : 365331~ 37216(6281일간 재위)
    • 전임 황제 : 애제 사마비(晉哀帝, 司馬丕)
    • 후임 황제 : 간문제 사마욱(晉簡文帝, 司馬昱)
  • 사용 연호 :
    • 태화(太和) : 366~ 37111
 

기원후 342

  • 342년에 진성제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애제의 친동생이다.
  • 자는 연령으로 1살 때 동해왕(東海王)이 되었다.
 

기원후 352

  • 352년에는 산기상시(散騎常侍)와 진군장군(鎮軍將軍)에 임명되었다.
 

기원후 360

  • 360년에 거기장군(車騎將軍)으로 승진했다.
 

기원후 361

  • 3615월에 낭야왕에 책봉되었다.
 

기원후 362

  • 3627월에는 시중(侍中),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라는 주요 관직을 겸임했다.
 

기원후 365

  • 365년 애제가 사망하자 후사가 없어 사마혁이 뒤를 이었다.
  • 진성제의 외삼촌 유빙(庾冰)의 딸 유도련(庾道憐)을 황후로 책봉하였다.
  • 365년 말, 양주(梁州, 오늘날 산시성 남부) 총독 사마손(司馬遜)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366년 여름에 진압되어 체포되고 처형되었다.
 

기원후 366

  • 36675, 황후 유씨가 사망하였다. 폐제는 남은 재위 기간 동안 다시 황후를 두지 않았다.
 

기원후 369

  • 369, 환온은 전연을 상대로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해 전연의 수도 업성(鄴城) 근처까지 진격했으나, 최종 공격을 망설이다가 전연의 왕자 모용수(慕容垂)와 전진(前秦) 구원군에게 패배했다.
 

기원후 371

  • 환온은 전연 정벌이 실패하자, 자신의 야심을 다른 방식으로 과시하려 했다. 그는 측근 치초(郗超)와 함께 폐제를 폐위시키는 계획을 세워 모두를 위협하고자 했다. 하지만 폐제는 즉위 기간 동안 큰 잘못을 저지르지 않아 환온은 문제를 조작할 필요가 있었다. 환온은 폐제가 무능하여 자식을 낳을 수 없으며, 후궁 전비(田妃)와 맹비(孟妃)의 아들들이 사실 폐제가 총애한 상룡(相龍), 계호(計好), 주령보(朱靈寶)의 아들이라는 루머를 퍼뜨렸다. (이 루머에는 폐제와 상룡, 계호, 주령보 사이에 동성애 관계가 있었다는 암시도 포함되었다)
  • 37112, 환온은 건강(建康)으로 가서 저태후(褚太后)를 협박하여 자신이 작성한 교서를 내리게 하여 폐제를 폐위시켰다. 폐제는 그의 증조삼촌 사마우를 대신 황제로 세웠으며, 사마우는 간문제(簡文帝)로 즉위하였다.
  • 폐제는 평소 지녔던 동해왕(東海王) 작위로 강등되었다. 환온은 천비와 맹비 및 그 아들들을 처형하고, 강력했던 음씨(陰氏)와 유씨(庾氏) 두 가문을 학살하였다.
 

기원후 372

  • 1월에 해서현공으로 봉한 뒤 4월에 오현으로 유배되었다. 사마혁은 이미 형세를 돌려세울 수 없다는 것을 알고 화를 면하기 위해 두문불출하고 밤낮 술과 여자에 빠져 지냈다.
  • 372년 겨울, 도교 농민 반란군 지도자 노송(盧悚)은 저태후의 교서를 받았다며 폐제를 복위시키겠다고 주장하며, 전령을 보내 해서공에게 반란에 동참할 것을 설득했다. 처음에는 해서공이 이를 믿었으나, 곧 저태후가 그를 복위시키려 했다면 반드시 궁정 근위병을 보내 그를 호위했을 것임을 깨닫고, 교서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해서공의 지지가 없자, 노송의 반란은 곧 붕괴되었다.
  • 유배 중이던 폐제는 죽음을 두려워하며 남은 시간을 술과 음악, 여색에 빠져 지내면서 환온에게 정치적 야망이 없음을 보여주려 했다. 후궁들이 아이를 낳으면 키우지 못하고 목을 졸라 죽였는데, 이는 환온의 의심을 사지 않기 위함이었다. 이런 모습이 드러나자, 환온은 점차 폐제에 대한 감시를 완화하였다.
 

기원후 373

  • 환온이 3738월에 사망하였다.
 

기원후 386

  • 386년에 45세의 나이로 오현에서 사망했다. 사실 환온이 퍼뜨린 소문은 다 거짓이었으며 사마혁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다.
 

가족 관계

  • 부친 : 진성제 사마연(晉成帝 司馬衍)
  • 모친 : 귀인 주씨(貴人 周氏, ?363) 진성제의 후궁.
  • : 사마비(司馬丕, 341365) 진 애제(晉 哀帝), 첫째 아들
  • 본인 : 사마의(司馬, 342386) 폐제(廢帝), 추후 해서공(海西公)으로 강등됨
  • 효황후 영천 유씨(孝皇后 潁川庾氏, 366년 사망)
    • 폐제의 이모로, 이름은 유도련(庾道憐)이다.
    • 유도련(庾道憐)은 유빙(庾氷)의 딸로, 유빙은 폐제(사마의)의 증조부모 중 한 명인 외할머니 유문준(庾文君)의 오빠이다. , 유도련은 폐제의 이모뻘 친척으로, 정확히는 폐제의 외종이모(외할머니의 오빠의 딸)에 해당한다.
  • 미인 전씨(美人 田氏, 372년 사망)
    • 이름 미상의 아들, 372년 사망
    • 이름 미상의 아들, 372년 사망
  • 미인 맹씨(美人 孟氏, 372년 사망)
    • 이름 미상의 아들, 372년 사망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