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9일 화요일

아그드 공의회(Council of Agde, 506년)

아그드 공의회(Council of Agde, 506년)


아그드 공의회(Council of Agde)는 서기 506, 서고트 왕국의 갈리아 지역(현재의 프랑스 남부)에서 개최된 기독교 공의회다.
 
서구 전례를 따르는 니케아파 주교들이 5069, 비시고트 왕국의 셉티마니아 지역에 있는 지중해 연안의 아가타(또는 아그드)에서 지역 공의회를 열었다. 이 회의는 아리우스파였던 비시고트 왕 알라리크 2세의 허가 아래 개최되었다.
 
공의회는 아를의 주교 카이사리우스(Caesarius of Arles, 아를의 세자르)가 주재했다. 참석자는 총 35명의 주교였다.
 
  • 아를의 카이사리우스(Caesarius of Arles)
  • 보르도의 키프리아누스(Cyprianus of Bordeaux)
  • 엘루사의 클라루스(Clarus of Elusa)
  • 부르주의 테트라디우스(Tetradius of Bourges)
  • 툴루즈의 헤라클리아누스(Heraclianus of Toulouse)
  • 아그드의 소프로니우스(Sophronius of Agde)
  • 님의 세다투스(Sedatus of Nîmes)
  • 로데즈의 퀸티아누스(Quintianus of Rodez)
  • 알비의 사비누스(Sabinus of Albi)
  • 카오르의 보에티우스(Boëtius of Cahors)
  • 엑스의 그라티아누스(Gratianus of Aix)
  • 오의 니케티우스(Nicetius of Aux)
  • 코밍주의 수아비스(Suavis of Comminges)
  • 레스카르의 갈락토리우스(Galactorius of Lescar)
  • 올로롱의 그라투스(Gratus of Oloron)
  • 렉투르의 비질리우스(Vigilius of Lectoure)
  • 로데브의 마테르누스(Maternus of Lodève)
  • 팔라티오의 페트루스(Petrus de Palatio)
  • 쿠제랑의 글리케리우스(Glycerius of Couserans)
  • 페리그의 크로노피우스(Chronopius of Périgueux)
  • 우제스의 프로바티우스(Probatius of Uzès)
  • 앙티브의 아그로에키우스(Agroecius of Antibes)
  • 세네의 마르켈루스(Marcellus of Senez)
  • 디뉴의 펜타디우스(Pentadius of Digne)
  • 나르본의 카프라리오(Caprario of Narbonne) - 사제가 대리참석
  • 프레주의 빅토리누스(Victorinus of Fréjus) - 사제가 대리참석
  • 타르브의 아프루스(Aprus of Tarbes) - 사제가 대리참석
  • 오베르뉴의 에우프라시우스(Euphrasius of Auvergne) - 사제가 대리참석
  • 아비뇽의 율리아누스(Julianus of Avignon) - 사제가 대리참석
  • 바자스의 섹스틸리우스(Sextilius of Bazas) - 사제가 대리참석
  • 압트의 마르켈루스(Marcellus of Apt) - 사제가 대리참석
  • 파폴로(Pappolo) - 사제가 대리참석
  • 샬롱쉬르손의 레오니쿠스(Leonicus of Châlons-sur-Saône) - 부제가 대리참석
  • 투르의 베루스(Verus of Tours) - 부제가 대리참석
 
공의회는 교회 규율에 관한 47개 교령을 공포했다. 전반적으로 이 교령들은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속주의 로마적 사회 질서에서 비시고트 이주민의 질서로 전환되던 초기 시점, 즉 셉티마니아 지역의 성직자와 평신도의 도덕적 상황을 비추어준다. 또한 초기 교회 제도 일부를 연구하는 데에도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 7: 성직자가 생계를 받는 그 교회의 재산을 매각하거나 처분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는 훗날의 베네피치움(benefice) 제도의 가장 이른 단서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 9: 기혼 부제나 사제가 부부관계로 다시 돌아가고자 할 경우, 모든 성직상의 품위와 직분을 박탈한다고 규정했다. 다만 이런 금지 규정을 모르고 있던 자는, 앞으로 금욕을 지키겠다는 조건으로 직분 유지를 허용할 수 있다.
  • 10: 성직자는 친족이 아닌 여인을 방문하는 것이 금지되며, 집에는 어머니, 자매, , 조카딸만 둘 수 있다.
  • 품계 서임 연령 : 부제 서품은 만 25세 미만에게 허락되지 않았다. 사제나 주교가 되려면 최소 만 30세가 되어야 했다.
  • 16: 젊은 기혼 남성이 서품을 원할 경우, 아내의 동의가 필요했다.
  • 사촌 간의 결혼도 금지되었다.
  • 또한 노예제에 대한 제한 사항들도 논의되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