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5일 월요일

후한 7대 전소제 유의(前少帝 劉懿, AD. ?~125년) : 재위 AD. 125년

후한 7대 전소제 유의(前少帝 劉懿, AD. ?~125) : 재위 AD. 125

 

탄생(연도 미상)

  • 유의(劉懿)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 그는 후한 장제(章帝)의 증손자이다.
  • 그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기록이 조금씩 다르다 :
    천승왕(千乘王) 유정(劉定)
    천승정왕(千乘貞王) 유홍(劉宏)
    천승헌왕(千乘獻王) 유수(劉壽)
  • 어려서 북향후(北鄉侯)에 봉해졌다.
  • 안제(安帝)의 태자 유보(劉保)가 폐위되었을 때, 그는 잠재적인 후계자 중 한 명으로 고려되기도 했다.
 

기원후 125

  • 430, 안제(安帝) 유호(劉祜)가 사망하자,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염황후(閻皇后, 염태후)가 황실의 다른 유력자를 배제하고 북향후 유의를 황제로 옹립했다. 당시 유의의 나이는 10세였다는 기록도 있다.
  • 그는 후한의 7대 황제로 간주되지만, 정식 시호가 없는 소제(少帝)’로 불린다.
  • 염황후는 안제의 유언이 없었고 태자의 신분이었던 유보(劉保)를 미워했기 때문에 유의를 내세워 계속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하려 했다.
  • 재위 기간은 7개월 남짓, 200여 일이었다. 이 기간 동안 실질적인 통치는 염태후와 그녀의 외척 일족이 장악했다.
 

사망 및 폐위

  • 유의가 재위 중 심각한 병(重病)으로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 염태후는 유의의 사망 사실을 숨기고 또 다른 어린 황족을 옹립하려 했다.
  • 한편 다른 자료에서는 그가 염태후가 폐위된 후 함께 폐위되었고, 그 뒤에 사망했다고 기록한다.
  • 유의가 사망한 후(혹은 염태후에 의해 폐위된 후), 환관 손정(孫程)과 대신들이 염태후의 조작을 막고 유보(劉保)를 옹립하여 후한 순제(順帝)가 되었다.
  • 그는 재위 기간이 너무 짧았고 정식 시호를 받지 못했기에, 일반적으로 황제 명단에 정식으로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요약 정보

  • 이름 : 유의(劉懿)
  • 묘호 : 없음
  • 시호 : 없음 - 종종 전소제(前少帝)로 불림
  • 출생 : 불명 (10세 경에 황제 즉위, 기원후 115년경으로 추정)
  • 출생지 : (명시된 기록 없음)
  • 사망 : 기원후 125(향년 불명, 어린 나이)
  • 사망지 : (낙양 궁궐 내로 추정)
  • 부친 : 천승왕(千乘王) 유정(劉定 / 천승정왕(千乘貞王) 유홍(劉宏) / 천승헌왕(千乘獻王) 유수(劉壽)
  • 모친 : (명시된 기록 없음)
  • 배우자 : 없음
  • 자녀 : 없음
  • 재위 : 기원후 125430~ 기원후 125(7개월, 200여 일)
  • 전임 : 후한 안제(安帝) 유호(劉祜)
  • 후임 : 후한 순제(順帝) 유보(劉保)
  • 유의는 후한 황실의 불안정한 후계자 문제와 외척의 전횡을 상징하는 인물로, 어린 나이에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실권 없이 염태후의 꼭두각시 노릇을 하다 짧은 재위 기간을 마쳤다. 그의 급작스러운 사망은 염씨 일족의 몰락과 유보의 순제 즉위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