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한 8대 순제 유보(順帝 劉保, AD. 115~144년) : 재위 AD. 125~144년)
【기원후 115년】
- 유보(劉保)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 그는 후한 안제(安帝) 유호(劉祜)의 유일한 아들이다.
- 어머니는 안제의 궁인 이씨(李氏) 또는 공민황후(恭愍皇后)이다.
- 황후 염기(閻姬)에게 아들이 없자, 이 부인은 황후의 질투로 독살당했다. 유보는 태어난 후에도 황후 염기에게 미움을 받았다.
【기원후 120년】
- 5월 25일, 안제에게 유일한 아들이었으므로,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기원후 124년】
- 염황후(閻皇后)의 간계로 아버지 안제에 의해 황태자에서 폐위되었다. 이는 염황후가 자신에게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훗날 유보가 황제가 되면 자신에게 불리할 것을 염려했기 때문이다.
- 폐위 후에는 지위에 관계없이 황실의 아들로만 불렸다 .
【기원후 125년】
- 4월 30일, 아버지 안제가 남순(南巡) 도중 사망했다.
- 염황후(이제 염태후)는 유보가 아닌 북향후(北鄉侯) 유의(劉懿)를 황제로 옹립하여 자신의 친정(親政) 체제를 유지하려 했다.
- 유의가 재위 7개월 만에 병사하자, 환관 손정(孫程)과 19명의 환관들이 염태후에 대항하여 쿠데타를 일으켰다. 이들은 염태후 일족을 숙청하고, 12월 10일(양력), 10세의 폐태자 유보를 새로운 황제(순제)로 옹립했.
- 염태후는 폐위되었으나, 순제는 어머니를 잃은 자신의 상황을 고려해 염태후를 존경하고 그가 죽을 때까지 공손히 대우했다는 기록도 있다.
- 초기에는 안사황후(安思皇后)가 섭정을 하다가, 손정(孫程) 등 19명의 환관들이 섭정을 했다. 이들은 순제를 황제로 옹립한 공로로 후에 봉해졌고, 이들 환관 세력은 양자 세습을 허용받아 강력한 권력을 가지게 되었다.
【기원후 126년】
- 연호 영건(永建)을 시작했다(기원후 126년 ~ 기원후 132년).
- 순제는 환관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양납(梁妠)을 황후로 책봉하고 그녀의 오빠인 양기(梁冀)를 등용했다. 그러나 양기 일족은 후에 막강한 외척 세력을 형성하게 된다.
- 순제는 암군이었던 아버지 안제와는 달리 온화한 성품이었지만, 재위 중 환관과 외척인 양씨 일족에게 의존하면서 동한 왕조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 그의 치세는 아버지 안제보다 개선되었으나, 이는 한나라의 계속된 쇠퇴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기원후 132년】
- 순제는 이 시기부터 친정(親政)을 시작하고 연호를 양가(陽嘉)로 바꾸었다(기원후 132년 ~ 기원후 135년).
- 상서령(尚書令) 좌웅(左雄)의 건의를 받아들여 인재 등용 제도인 찰거제(察舉制)를 개혁하는 “양가 신제(陽嘉新制)”를 실시했다.
【기원후 136년】
- 연호 영화(永和)를 사용했다(기원후 136년 ~ 기원후 141년).
【기원후 142년】
- 연호 한안(漢安)을 사용했다(기원후 142년 ~ 기원후 144년).
【기원후 144년】
- 연호 건강(建康)을 사용했다.
- 9월 20일(양력), 2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사후 아들 충제(沖帝) 유병(劉炳)이 황제에 즉위했다.
- 그의 죽음 이후, 환관과 외척(양기)의 권력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어 후한은 20여 년간 양기의 전횡 시기로 접어들었다.
- 능은 헌릉(憲陵)이다. 유언에 따라 왕릉을 간소하게 만들 것을 지시했다.
【요약 정보】
- 이름 : 유보(劉保)
- 묘호 : 경종(敬宗) (후에 폐지)
- 시호 : 효순황제(孝順皇帝) (순제 順帝는 줄임말)
- 출생 : 기원후 115년
- 출생지 : (명확한 기록 없음, 아마 낙양 궁궐 내)
- 사망 : 기원후 144년 9월 20일 (향년 29세)
- 사망지 : (낙양 궁궐 내로 추정)
- 재위 : 기원후 125년 12월 10일 ~ 기원후 144년 9월 20일 (18년 285일)
- 전임 : 후한 전소제(前少帝) 유의(劉懿)
- 후임 : 후한 충제(沖帝) 유병(劉炳)
- 후한 순제 유보는 유아기 황제 폐위와 옹립이라는 파란만장한 과정을 거쳐 황제에 올랐다. 재위 중 환관과 외척의 세력 균형을 시도했으나, 결국 이들 세력의 전횡을 막지 못해 후한의 쇠퇴를 가속화한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순제의 가계】
1) 부모
- 부친 : 후한 안제(安帝) 유호(劉祜)
- 모친 : 궁인 이씨(李氏) 또는 공민황후(恭愍皇后)
2) 배우자
- 양안(梁妠) — 황후.
- 양귀인(梁贵人) — 양안의 고모.
- 복귀인(伏贵人) — 복신(伏晨)의 손녀.
- 두귀인(窦贵人) — 두장(窦章)의 딸.
- 우미인(虞美人) — 한 충제(漢 沖帝)의 생모.
- 우통기(友通期) — 양상(梁商)이 바친 미인으로, 잘못을 저질러 황제에게서 양상에게 돌려보내졌고, 이후 다른 사람과 재혼함.
3) 자녀
- 유병(刘炳) — 즉 한 충제(漢沖帝)
- 유생(刘生) — 생모는 우미인, 무양장공주(舞阳长公主)로 봉해짐
- 유성남(刘成男) — 군군장공주(冠军长公主)로 봉해짐
- 유광(刘广) — 여양장공주(汝阳长公主)로 봉해짐
4) 양자
- 한 질제(漢 質帝) 유찬(刘缵)
- 한 환제(漢 桓帝) 유지(刘志)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