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5일 월요일

후한 3대 장제 유달(章帝 劉炟, AD. 56~88년) : 재위 AD. 75~88년

후한 3대 장제 유달(章帝 劉炟, AD. 56~88) : 재위 AD. 75~88

 

기원후 56

  • 유달(劉炟)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기원후 57년에 태어났다는 기록도 있다.
  • ()는 소()이다.
  • 아버지는 후한 명제(明帝) 유장(劉莊)이고, 어머니는 가귀인(賈貴人)이다. 그는 명제의 다섯째 아들이다.
 

기원후 60

  • 생모 가귀인(賈貴人)은 황후 마씨(馬援의 딸)와 사촌처럼 가까웠다고 한다.
  • 세 살 또는 네 살의 나이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기원후 75

  • 기원후 7595(양력), 아버지 명제가 붕어하자 19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했다.
  • 재위 기간은 기원후 7595일부터 기원후 8849일까지이다.
  • 황태후 마씨(馬氏)를 황태후로 모시고 그녀의 후견을 받았다. 마황후는 친가의 권력화를 막기 위해 노력했다고 전해진다.
  • 그의 첫 번째 연호는 건초(建初)이다.
 

치세명장지치(明章之治)와 외척 문제의 시작

  • 덕치(德治)와 유교 진흥 : 어릴 적부터 유학을 좋아하여 관대한 성품을 지녔으며, 유학의 덕목에 따른 너그러운 덕치를 펼쳤다. 세금을 줄이고 국정에 관심을 기울이며 유교를 장려했다.
  • 내정 안정 : 큰 내우외환 없이 명제 시대의 안정을 계승하여 후한의 전성기인 명장지치(明章之治)를 이끌었다. 백성들은 평화롭고 번성한 시기를 보냈다.
  • 서역 원정 : 한 무제 시대와 같이 적극적인 대외정책을 추진하여 반초(班超) 장군을 서역에 파견, 흉노족의 침략을 저지하고 실크로드(Silk Road)의 안전을 확보했다.
  • 백호관회의(白虎觀會議) : 기원후 79년 뤄양(洛陽)에서 백호관회의를 주최하고 직접 참여하여 유교 경전의 이의를 정립하려 노력했다.
  • 외척 문제의 시작 : 그의 치세는 후한 쇠퇴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그는 자신의 외척인 두씨(竇氏) 가문을 너무 관대하게 대했으며, 이는 훗날 외척들의 권력 장악과 후한의 정치 혼란의 원인이 되었다.
 

기원후 82

  • 원래 태자였던 유경(劉慶, 측실 송귀인 소생)을 폐위했다.
  • 두황후(竇皇后)의 압력으로 유조(劉肇, 생모 양귀인 梁貴人 소생)를 새로운 태자로 책봉했다. 이 과정에서 두황후가 송귀인과 양귀인을 모함하여 죽음으로 몰고 갔다는 기록도 있다.
 

기원후 84

두 번째 연호는 원화(元和)이다.
 

기원후 87

  • 세 번째이자 마지막 연호는 장화(章和)이다.
 

기원후 88

  • 49(양력), 32세의 젊은 나이로 붕어했다.
  • 그의 능은 뤄양(洛陽) 동남쪽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 사후 황태자 유조(劉肇)가 즉위하여 후한 화제(和帝)가 되었다. 이때 두씨(竇氏)가 황태후로서 어린 화제를 대신하여 정권을 장악, 두고(竇固)를 비롯한 두씨 일족이 권세를 쥐게 되면서 외척 전횡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요약 정보

  • 이름 : 유달(劉炟)
  • () : ()
  • 묘호 : 숙종(肅宗)
  • 시호 : 효장황제(孝章皇帝) : 장제(章帝)는 줄임말
  • 출생 : 기원후 56(일부 자료 기원후 57)
  • 출생지 : (명확한 기록 없음, 아마 장안 궁궐 내)
  • 사망 : 기원후 8849(향년 32)
  • 사망지 : (낙양 궁궐 내로 추정)
  • 재위: 기원후 7595~ 기원후 8849(12217)
  • 전임: 후한 명제(明帝) 유장(劉莊)
  • 후임: 후한 화제(和帝) 유조(劉肇)
  • 후한 장제 유달은 아버지 명제의 안정적인 통치를 이어받아 후한의 황금기인 '명장지치'를 완성시킨 황제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그의 치세 동안 한나라는 경제적 번영과 문화적 발전을 이루었으나, 외척 두씨에게 너무 많은 권력을 부여하여 훗날 후한의 쇠퇴를 초래할 씨앗을 뿌렸다는 비판도 받는다.
 

장제의 가계

 

1) 부모

  • 생부 : 후한 명제 유장(劉莊)
  • 생모 : 가귀인(賈貴人)
  • 양모 : 명덕황후 마씨(明德皇后 馬氏) 장제의 아버지 명제의 정실 부인으로 장제를 양자로 삼아 기름
 

2) 양모 마황후(馬皇后) 가계

  • 마강(馬姜) 마황후의 어머니
  • 마원(馬援) 마황후의 오빠, 명장
  • 가무중(賈武仲) 가귀인의 아버지 (, 장제 생모의 아버지)
  • 이로 보면 장제의 양모와 생모는 서로 사돈지간이기도 하다.
 

3) 장제의 남자 형제들

  • 첫째 유건(劉建) : 천승애왕
  • 둘째 유현(劉羡) : 진경왕
  • 셋째 유공(劉恭) : 팽성정왕
  • 넷째 유당(劉黨) : 악성정왕
  • 다섯째 장제 유달
  • 여섯째 유연(劉衍) : 하비혜왕
  • 일곱째 유창(劉暢) : 양절왕
  • 여덟째 유병(劉昞) : 회양경왕
  • 아홉째 유장(劉長) : 제음도왕
 

4) 자매(공주들)

  • 유희(劉姬) : 곽가장공주
  • 유노(劉奴) : 평양공주
  • 유영(劉迎) : 융려공주
  • 유차(劉次) : 평씨공주
  • 유지(劉致) : 침수공주
  • 유소희(劉小姬) : 평고공주
  • 유중(劉仲) : 준의공주
  • 유혜(劉惠) : 무안공주 후에 한 안제가 장공주로 존숭함
  • 유신(劉臣) : 노양공주
  • 유소영(劉小迎) : 낙평공주
  • 유소민(劉小民) : 성안공주
 

5) 후비(황후와 귀인들)

  • 황후
    • 두황후(竇皇后) : 한 화제(和帝)의 양어머니, 장제 사후 섭정을 하며 실권 장악. 후에 장덕황후(章德皇后)로 추존
  • 귀인들
    • 양귀인(梁貴人) : 화제의 생모. 사후 공회황후(恭懷皇后)로 추존
    • 송귀인(宋貴人) : 폐태자 유경(劉慶)의 생모. 사후 경은황후(敬隱皇后)로 추존
    • 두귀인 : 두황후의 여동생
    • ()귀인 : 송귀인의 여동생
    • ()귀인 : 양귀인의 언니
    • 신귀인(申貴人) : 아들 유수, 유개의 생모
 

6) 아들들

  • 유항(劉伉) : 천승정왕 한 질제(劉纘)의 증조부
  • 유전(劉全) : 평춘도왕 79년에 왕에 봉해졌으나 그해 사망, 자식 없어 봉국 폐지
  • 유경(劉慶) : 청하효왕 폐태자, 한 안제 유호(劉祜)의 아버지
  • 유조(劉肇) : 후한 화제(和帝)
  • 유수(劉壽) : 제북혜왕 전 소제 유의(劉懿)의 아버지
  • 유개(劉開) : 하간효왕 한 환제(桓帝)의 조부
  • 유숙(劉淑) : 성양회왕
  • 유만세(劉萬歲) : 광종상왕 93년 봉왕, 병으로 사망, 무자(無子), 국 폐지
 

7) 딸들

  • 유남(劉男) : 무덕장공주
  • 유왕(劉王) : 평읍공주
  • 유길(劉吉) : 음안공주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