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한 2대 명제 유장(明帝 劉莊, AD. 28~75년) : 재위 AD. 57~75년
【기원후 28년】
- 6월 15일(양력), 유양(劉陽)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일부 자료에서는 ‘유장(劉莊)’으로 태어났다고도 하지만, 원래 이름은 ‘유양’이었고 나중에 ‘유장’으로 개명한 것으로 보인다.
- 자(字)는 자려(子麗)이다 .
- 아버지는 후한의 초대 황제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이고, 어머니는 광렬황후 음리화(陰麗華)이다. 그는 광무제의 넷째 아들이며, 음리화에게는 두 번째 아들이다.
【기원후 38년】
-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하여, 10세 때 이미 《춘추(春秋)》를 읽었다.
- 어려서부터 영특함으로 인정받았고, 광무제는 그를 매우 총애했다.
【기원후 39년】
- 동해공(東海公)에 봉해졌다.
【기원후 41년】
- 어머니 음리화가 황후로 책봉되면서 동해왕(東海王)으로 승격되었다.
【기원후 43년】
- 황태자 유강(劉彊)이 스스로 태자 자리에서 물러나기를 청하자, 광무제는 유장을 황태자로 책봉했다.
【기원후 57년】
- 3월 29일(양력), 아버지 광무제가 사망하자, 30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했다.
- 재위 기간은 기원후 57년 ~ 기원후 75년이다.
- 그는 광무제의 통치 원칙을 그대로 계승했다.
- 연호는 영평(永平)을 사용했다.
【치세】 명제와 장제의 시대 : 명장지치(明章之治)
- 내정 안정 : 광무제, 명제, 장제의 통치 기간은 후한이 약 200년 동안 안정된 전성기를 누린 시기로 평가된다. 형벌을 가볍게 하고 유교를 장려하며 법률을 중시했다.
- 외척 견제 : 후궁 마씨(馬氏, 훗날 명덕황후)와 음씨(陰氏)를 현명한 부인으로 여겼으며, 외척 세력이 권력을 장악하지 못하도록 강력하게 억제했다. 이는 후한 중후반기 어린 황제들이 즉위하며 외척과 환관의 권력 쟁탈전이 후한 멸망의 주요 원인이 된 것과는 대조적이다.
- 서역 개척 : 광무제의 소극적인 대외 정책에서 벗어나 한 무제처럼 서역 지역에 적극적인 진출을 재개했다. 이로 인해 반초(班超)와 같은 인물이 활약하며 실크로드(Silk Road)가 다시 열렸다.
- 불교 전래 : 명제 시대에 불교가 중국에 정식으로 전래되었다고 전해진다. 황제가 꿈에서 금인(金人)을 보고 부처라 여겨, 사절을 천축(인도)에 보내 불경과 사문(沙門)을 구했고, 낙양에 백마사(白馬寺)를 건립했다는 전승이 있다. 이복형 초왕(楚王) 유영(劉英)이 황로(黃老) 사상과 함께 부처를 숭배했다는 기록도 있다.
- 인구 증가 : 통치가 안정되고 민생이 평온해지면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광무제 시대 말(57년) 약 2,100만 명이었던 인구가 명제 시대 말(75년)에는 약 3,412만 명으로 증가했다는 기록이 있다.
- 수리 사업 : 여러 차례 유랑민을 모집하여 농경을 장려하고, 공전(公田)을 빈민에게 나누어주었으며, 수리 시설을 정비하여 농업 생산력을 높였다.
【기원후 75년】
- 9월 5일(양력), 48세의 나이로 병으로 인해 낙양 동궁(東宮) 전전(前殿)에서 사망했다.
- 후한 역대 황제 중 50세 이상 생존한 황제는 광무제와 헌제뿐이라는 기록이 있다.
- 능은 낙양에 위치한 현절릉(顯節陵)이다.
- 사후 황태자 유달(劉炟)이 즉위하여 후한 장제(章帝)가 되었다.
【요약 정보】
- 이름 : 유장(劉莊) - 원래 이름은 유양(劉陽), 자는 자려(子麗)
- 묘호 : 현종(顯宗)
- 시호 : 효명황제(孝明皇帝) : 명제(明帝)는 줄임말
- 출생 : 기원후 28년 6월 15일
- 출생지 : (명시된 기록 없음, 아마 장안 궁궐 내)
- 사망 : 기원후 75년 9월 5일 (향년 48세)
- 사망지 : 낙양(洛陽) 동궁(東宮) 전전(前殿)
- 재위 : 기원후 57년 3월 29일 ~ 기원후 75년 9월 5일 (18년 158일)
- 전임 : 후한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
- 후임 : 후한 장제(章帝) 유달(劉炟)
- 후한 명제 유장은 아버지 광무제의 뒤를 이어 후한의 전성기를 이끈 황제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그의 치세는 아들 장제의 치세와 함께 명장지치(明章之治)로 불리며, 내정 안정, 외척 견제, 서역 개척, 불교 전래 등 다방면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명제 유장의 가계】
1) 부모
- 부친 : 후한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
- 모친 : 광렬황후 음리화(陰麗華)
2) 배우자
- 황후 : 명덕황후 마씨(明德皇后 馬氏) : 후한 장제(章帝)의 양어머니
- 귀인들(후궁)
- 가귀인(賈貴人) : 평양공주 및 한 장제의 생모
- 음귀인(陰貴人)
- 진귀인(秦貴人) : 총애받았으며, 오빠는 진팽(秦彭)
- 염귀인(閻貴人) : 상서 염장(閻章)의 여동생
- 가귀인(賈貴人) : 명장 가복(賈復)의 손녀, 아버지는 마강(馬姜), 어머니는 가무중(賈武仲), 장녀 - 이 인물이 위의 한 장제 생모인 가귀인과 동일인물인지 여부는 중국 학계에서도 의견이 나뉨
- 또 다른 가귀인 : 위의 가귀인의 여동생(차녀)
3) 아들들
- 유건(劉建) : 천승애왕
- 유현(劉羨) : 진경왕
- 유공(劉恭) : 팽성정왕
- 유당(劉黨) : 악성정왕
- 유장(劉炟) : 후한 장제(章帝)
- 유연(劉衍) : 하비혜왕
- 유창(劉暢) : 양절왕
- 유병(劉昞) : 회양경왕
- 유장(劉長) : 제음도왕
4) 딸들(공주들)
- 유희(劉姬) : 곽가장공주(獲嘉長公主)
- 유노(劉奴) : 평양공주
- 유영(劉迎) : 융려공주
- 유지(劉致) : 침수공주
- 유차(劉次) : 평씨공주
- 유소희(劉小姬) : 평고공주
- 유중(劉仲) : 준의공주
- 유혜(劉惠) : 무안공주 — 훗날 한 안제(安帝)가 그녀를 장공주(長公主)로 추존함
- 유신(劉臣) : 노양공주
- 유소영(劉小迎) : 낙평공주
- 유소민(劉小民) : 성안공주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