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4일 일요일

전한 11대 원제 유석(元帝 劉奭, BC. 76~33) : 재위 BC.49~33년

전한 11대 원제 유석(元帝 劉奭, BC. 76~33) : 재위 BC.49~33

 

기원전 76

  • 유석(劉奭)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 전한 선제(宣帝) 유순(劉詢)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공애황후 허평군(許平君)이다.
  • 일부 자료에는 기원전 75년에 태어났다는 기록도 있다.
 

어린 시절

  • 아버지 선제가 즉위 후 어머니 허평군이 황후가 되었으나, 곽광(霍光)의 아내 곽현(霍顯)의 질투와 계략으로 독살당했다. 이때 유석은 매우 어렸다.
  • 선제는 유석이 유교에 심취하고 너무 서정적인 성격이라 통치 능력이 부족할 것이라 우려하여 한때 황태자 폐위를 고려했다는 기록도 있다. 하지만 허황후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라는 점, 그리고 주변의 간언 때문에 폐위를 실행하지 않았다.
 

기원전 49

  • 선제 사망 후, 기원전 49(또는 기원전 48129) 황제에 즉위하여 전한의 제11대 황제가 되었다.
 

치세유교 정치와 국정 혼란

 
  • 유교 중시 : 현실주의자였던 아버지 선제와 달리 유교를 중시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유교 학자들을 중용했다.
  • 환관의 전횡 : 황태자 시절 중용했던 소망지(蕭望之) 등 유생들이 환관 홍공(弘恭)과 석현(石顯)의 권력 다툼에 밀려 실각한 후, 원제의 치세는 환관들에 의해 좌우되었다는 평가가 많다. 어떤 자료에서는 홍공과 석현이 황제의 애인이었다는 기록도 전한다.
  • 재정 정책 : 세금 경감, 어려운 형법 개정 등 민중의 생활 안정을 도모했고, 대규모 연회 금지, 수렵용 별장 및 황실 소유지 경비 억제, 종묘 제사 경비 삭감 등을 통해 재정 건전화를 시도했다.
  • 이상주의적 오류 : 유교 이념에 심취하여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론에 기반한 정책(: 전매제 폐지)을 시행, 국정을 혼란시키고 재정 악화를 심화시켰다는 비판도 있다.
  • 국세 쇠락 : 선제 시기 중흥했던 국세는 원제 치세에 다시 쇠약해지기 시작했으며, 이후 외척과 환관의 득세로 점차 혼란에 빠져 왕망(王莽)의 찬탈의 요인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평가 : 반고(班固)는 그의 치세를 우유부단으로 인하여 선제의 업적이 쇠약해졌다고 평가했다.
  • 연호 :
    초원(初元) : 기원전 48~ 기원전 44.
    영광(永光) : 기원전 43~ 기원전 39.
    건소(建昭) : 기원전 38~ 기원전 34.
    경녕(竟寧) : 기원전 33.
 

기원전 33

  • 기원전 3378, 42세의 나이로 장안(長安) 미앙궁(未央宮)에서 사망했다.
  • 그의 능묘는 장안 서북쪽의 위릉(渭陵)이다.
  • 사후 아들 유오(劉驁)가 즉위하여 전한 성제(成帝)가 되었다.
 

요약 정보

  • 이름 : 유석(劉奭)
  • () : () (본명과 동일)
  • 묘호 : 고종(高宗) - (후한 광무제 때 묘호는 취소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 시호 : 효원황제(孝元皇帝) : 원제(元帝)는 줄임말
  • 출생 : 기원전 76(기원전 75년이라는 주장도 있다)
  • 출생지 : (명시된 기록 없음)
  • 사망 : 기원전 3378(향년 42)
  • 사망지 : 장안(長安) 미앙궁(未央宮)
  • 부친 : 전한 선제(宣帝) 유순(劉詢)
  • 모친 : 공애황후 허평군(許平君)
  • 재위 : 기원전 48~ 기원전 33(15년간)
  • 전임 : 전한 선제(宣帝) 유순(劉詢)
  • 후임 : 전한 성제(成帝) 유오(劉驁)
  • 전한 원제는 유교 이상주의에 경도되어 민본적인 정책을 펼치려 했으나, 우유부단한 성격과 환관 및 외척의 전횡을 막지 못해 선제 때 다져진 한나라의 국력을 점차 쇠퇴하게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원제의 배우자와 자녀들

 

1) 배우자들

  • 태자비 모씨
    유석(劉奭, 한 원제)이 태자였을 때의 정실 부인.
    유석은 첩이었던 사마씨(司馬氏)만 총애하고 다른 후궁들에게는 냉담함.
    유석이 황제가 된 뒤에도 이 태자비는 황후로 책봉되지 못함 일찍 죽었을 것으로 추정.
  • 효원황후 왕정군(孝元王皇后 王政君)
    중국 역사상 가장 오래 산 황후 중 한 명.
    황후, 황태후, 태황태후 등 황실 여성 최고 지위에 61년간 있음.
    왕망(王莽)의 고모.
    왕망이 찬위한 후 그의 언행에 대해 불만과 분노를 느낌.
    기원 1323일 사망, 향년 84.
    3월 7, 한 원제 유석과 함께 위릉(渭陵)에 합장됨.
    왕망은 양웅(揚雄)에게 조문 글(誄文)을 짓게 함.
  • 효원 부황후 부씨(孝元傅皇后 傅氏)
    처음에는 상관황후의 궁녀(才人).
    유석의 총애를 받아 첩(婕妤) 소의(昭儀)로 승진.
    평도공주와 정도왕 유강(劉康)을 낳음.
    유석 사후, 아들 유강을 따라 정도 태후(定陶太后)로 불림.
    풍원과 원한이 있어 풍원을 무고함 풍원과 그 가족 17명이 자살 혹은 살해됨.
    손자 유흔(劉欣)이 황제가 되어 한 애제(漢哀帝) 즉위 부씨는 태황태후가 됨.
    외척(傅氏 가문)의 권세가 강해지고 오만해짐.
    왕정군과의 만남에서 무례한 태도를 보임 왕망의 불만을 삼.
    기원전 2221, 사망.
    위릉에 매장되어 효원 부황후로 추존됨.
    후에 왕망이 찬위하면서 강등 정도공왕의 어머니로 격하.
    무덤도 20일 만에 파헤쳐짐.
  • 중산왕 태후 풍원(中山王太后 馮媛, ? 기원전 6)
    처음엔 첩(婕妤) 후에 소의(昭儀)로 승진.
    중산왕 유흥(劉興)을 낳음.
    기록에 풍 소의가 곰을 막아 황제를 구함이라는 일화 존재.
    유석 사후, 아들과 함께 봉국으로 감 신도왕 태후로 불림.
    기원전 23, 유흥이 중산왕으로 봉해지면서 중산왕 태후로 불림.
    장유와 부씨의 모함으로 인해 자살, 가족 17명도 자살하거나 살해당함.
    한 애제 사후, 복권됨.
  • 기타 후궁들
    (婕妤) 장씨
    첩 위씨, 위희(衛姬)의 언니.
    양제(良娣) 사마씨 유석의 총애를 받았던 첩.
 

2) 자녀들

  • 친자녀
    한 성제 유오(漢成帝 劉驁) 어머니 : 왕정군.
    정도공왕 유강(定陶恭王 劉康) 어머니 : 부 소의.
    중산효왕 유흥(中山孝王 劉興) 어머니 : 풍 소의.
    평도공주 어머니 : 부 소의.
    평양공주 어머니 : 위 첩.
    영읍공주(潁邑公主) 어머니 미상.
    양아공주(陽阿公主?) 불확실.
  • 양자
    한 광무제 유수(漢光武帝 劉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