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4일 일요일

전한 10대 선제 유순(宣帝 劉詢, BC. 91~48년) : 재위 BC. 74~48년

전한 10대 선제 유순(宣帝 劉詢, BC. 91~48) : 재위 BC. 74~48

 

기원전 91

  • 유병이(劉病已)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일부 자료에는 유순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고도 기록되어 있으나, ‘유병이가 본래 이름이며 황제 즉위 9년 후 유순으로 개명했다.
  • 그는 전한 무제(武帝)의 증손자이다 .
  • 할아버지는 무제의 황태자였던 여태자(戾太子) 유거(劉據)이고, 아버지는 유거의 장남인 사황손(史皇孫) 유진(劉進), 어머니는 왕옹수(王翁須)이다.
  • 출생지는 장안(長安)이다 .
  • 태어나던 해, 할아버지 유거가 무고의 화(巫蠱之禍)로 인해 반란을 일으키고 진압되면서 아버지 유진과 대부분의 가족이 살해당했다.
  • 개월 수밖에 안 된 아기였던 유병이는 감옥에서 당시 감옥 관리였던 병길(丙吉)의 보호로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다.
 

기원전 87

  • 무제가 사망하기 직전 대사면령을 내리면서 감옥에서 풀려났고, 평민의 신분으로 살아가며 성장했다.
  • 그는 어린 시절을 민간에서 보냈기 때문에 백성들의 어려움을 잘 이해하게 되었다.
 

기원전 74

  • 전한 소제(昭帝)가 아들 없이 사망하자, 대신 유하(劉賀)가 잠시 황위에 올랐으나 27일 만에 폐위되었다.
  • 이후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대장군 곽광(霍光)이 민간에 있던 유병이를 찾아내어 황제로 옹립했다.
  • 910(양력), 그는 17세의 나이로 전한의 10대 황제로 즉위했으며, 기원전 74년부터 기원전 48년까지 재위했다.
 

기원전 73

  • 황제 즉위 후 첫 연호는 본시(本始)이다(기원전 73~ 기원전 70).
 

기원전 68

  • 최고 권력자 곽광이 사망하면서 그의 딸인 곽황후(곽성군)가 폐위되었고, 선제는 친정(親政)을 시작하여 황권을 강화했다.
  • 곽광의 일족은 후에 반역죄로 모두 주살되었다.
 

기원전 60

  • 기원전 60년에 서역 도호부(西域都護府)를 설치하여 서역 36개국을 한나라의 통제하에 두었다.
 

기원전 51

  • 흉노족의 내분과 약화를 틈타 강력한 군사력을 투사했으며, 기원전 51년에는 흉노의 호한야선우(呼韓邪單于)가 한나라에 복속하는 역사적인 사건을 이끌어냈다.
 

치세 : 효선중흥(孝宣中興)의 시대

  • 정치 및 행정 : 민생의 어려움을 직접 경험했기에 세금을 낮추고, 유능한 관리를 등용하며 정부를 개혁했다. 엄격한 법 집행과 청렴한 관료제를 강조했고, 지방에 대한 중앙 통제를 강화했다.
  • 경제 : 검소한 생활을 장려하고, 백성들의 부채 탕감 및 세금 감면을 여러 차례 시행하여 경제 회복에 힘썼다.
  • 외교 및 군사 : 기원전 60년에 서역 도호부(西域都護府)를 설치하여 서역 36개국을 한나라의 통제하에 두었다. 흉노족의 내분과 약화를 틈타 강력한 군사력을 투사했으며, 기원전 51년에는 흉노의 호한야선우(呼韓邪單于)가 한나라에 복속하는 역사적인 사건을 이끌어냈다.
  • 그의 치세는 한나라가 경제적, 군사적으로 가장 번성했던 시기로 평가되며, ‘소선중흥(昭宣中興, 또는 효선중흥)’으로 불린다.
 

기원전 48

  • 110(양력), 43세의 나이로 미앙궁(未央宮)에서 사망했다.
  • 일부 자료에서는 기원전 49년 사망으로도 기록되어 있다.
  • 그의 능은 장안(長安) 인근의 두릉(杜陵)이다.
  • 사후 아들 유석(劉奭)이 즉위하여 전한 원제(元帝)가 되었다.
 

요약 정보

  • 이름 : 유순(劉詢). 본명은 유병이(劉病已)
  • 묘호 : 중종(中宗)
  • 시호 : 효선황제(孝宣皇帝) : 선제(宣帝)는 줄임말
  • 출생 : 기원전 91
  • 출생지 : 장안(長安)
  • 사망 : 기원전 48110(향년 43) - (일부 자료에서는 기원전 49년으로 표기)
  • 사망지 : 장안(長安) 미앙궁(未央宮)
  • 부친 : 사황손(史皇孫) 유진(劉進)
  • 모친 : 왕옹수(王翁須)
  • 재위 : 기원전 74910~ 기원전 48110(25년간) - (일부 자료에서는 기원전 73년 시작으로도 표기된다)
  • 전임 : 창읍왕(昌邑王) 유하(劉賀) (폐제) .
  • 후임 : 전한 원제(元帝) 유석(劉奭) .
  • 전한 선제는 파란만장한 어린 시절을 딛고 일어나 뛰어난 통치력을 발휘하여 한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그의 치세는 효선중흥으로 높이 평가받는다.
 

선제의 배우자 및 자녀들

 

1) 황후

  • 공애황후 허평군(許平君) : (기원전 90/89~ 기원전 7131)
    산둥성 금향현 출신. 평은대후 허광한의 딸이며 한 원제 유석의 생모.
    원평 원년(기원전 74) 유순이 즉위하자 입궁하여 첩(婕妤)이 되었고 이후 황후로 책봉됨.
    본시 3(기원전 71), 호현(霍顯, 곽광의 부인)에게 독살됨.
    두릉 남원(杜陵南園)에 안장됨.
  • 곽성군(霍成君) : (기원전 80년대 ~ 기원전 54)
    대장군 곽광과 호현의 딸.
    본시 3(기원전 71), 허평군이 독살된 다음 해 황후로 책봉됨.
    지절 3(기원전 67)에 폐위되었고, 12년 후 운림관에서 자살.
  • 효선황후 왕씨(孝宣皇后 王氏) : (기원전 85년 이전 ~ 기원전 16922)
    공성공후 왕봉광의 딸.
    한 원제 유석을 양육함. 훗날 황태후, 태황태후가 되었고,
    한 선제와 함께 두릉 동원(杜陵東園)에 합장됨.
 

2) 후궁

  • 장첩여(張婕妤) 회양헌왕 유흔(劉欽)의 생모
  • 위첩여(衛婕妤) 초효왕 유효(劉囂)의 생모
  • 공손징사(公孫徵史) 동평사왕 유우(劉宇)의 생모. 훗날 동평왕 태후
  • 융첩여(戎婕妤) 중산애왕 유경(劉竟)의 생모. 청하왕 태후 중산왕 태후로 변경
  • 화첩여(華婕妤) 관도공주 유시(劉施)의 생모
  • 양미인(梁美人) 한 성제 때까지 생존해 있었음
 

3) 자녀들

  • 유석(劉奭) 한 원제. 허평군 소생
  • 유흔(劉欽) 회양헌왕. 장첩여 소생
  • 유효(劉囂) 초효왕. 위첩여 소생
  • 유우(劉宇) 동평사왕. 공손첩여 소생
  • 유경(劉竟) 중산애왕. 융첩여 소생
  • 관도공주 유시(劉施) 화첩여 소생으로 추정됨. 일부 기록엔 잘못 관도왕으로 표기됨
  • 경무공주 생모는 기록에 없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