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4일 일요일

전한 7대 무제 유철(武帝 劉徹, BC. 156~87년) : 재위 BC. 141~87년

전한 7대 무제 유철(武帝 劉徹, BC. 156~87) : 재위 BC. 141~87

 

기원전 156

  • 전한 경제(景帝) 유계(劉啓)와 왕지(王娡, 훗날 효경황후 王皇后)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본명은 유철(劉徹)이며, ()는 통()이다.
 

기원전 150

  • 그의 어머니 왕부인이 경제의 누이인 관도공주 유표(劉嫖)의 도움을 받아 전 태자 유영(劉榮)을 폐위시키고 7살인 유철을 황태자로 옹립했다.
 

기원전 141

  • 기원전 14139, 아버지 경제의 뒤를 이어 전한의 7대 황제로 즉위했다.
  • 그의 재위는 기원전 141년부터 기원전 87년까지 총 54년간 이어졌으며, 이는 청나라 강희제 이전의 한족 황제 중 가장 긴 재위 기록이었다.
 

기원전 139

  • 서역 개척시작 : 흉노(匈奴) 견제를 위해 대월지(大月氏)와 동맹을 맺고자 장건(張騫)을 서역에 파견했다. 이를 통해 서역과의 교류가 크게 증가했으며, 간접적으로 불교 유입의 계기가 되기도 했다.
  • 군현제(郡縣制)를 더욱 공고히 하고, 제후왕의 봉국을 축소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했다.
  • 동중서(董仲舒)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교(儒學)를 국가 통치 이념으로 채택하고, 유교 경전 교육기관인 태학(太學)을 설립했다.
  • 재정 확보를 위해 염철 전매제(鹽鐵專賣制), 균수법(均輸法), 평준법(平準法) 등을 실시하여 국가 재정을 확충했다. 이는 민간 상업의 발전을 억제하고 상인의 불만을 초래하기도 했다.
 

기원전 133

  • 흉노와의 화친 정책을 중단하고 적극적인 공격 정책을 펼치기 시작했다.
  • 위청(衛靑)과 곽거병(霍去病) 등의 명장을 기용하여 흉노를 북방으로 몰아내고, 오르도스 지방을 확보하여 하서회랑(河西回廊)을 개척했다.
 

기원전 112

  • 한반도 남부의 진국(辰國)과의 직접 교역을 방해하고 한나라에 조공 바치기를 거부한 고조선을 침공했다. 결국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낙랑, 임둔, 진번, 현도의 한사군(漢四郡)을 설치했다.
  • 남월(南越), () 등 남방 이민족 국가들을 정복하여 중국의 영토를 베트남 북부까지 확장했다.
 

만년재정 악화와 민생 피폐, 무고의 화

  • 활발한 정복 전쟁과 궁궐, 이궁 건설, 봉선 의식 등으로 인해 국가 재정이 궁핍해지고 민생이 어려워졌다.
  • 대규모 자연재해와 기근이 발생하여 백성들의 삶이 매우 힘들어졌다.
  • 만년에는 미신과 방술에 빠져 의심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무고의 화(巫蠱之禍)라는 대규모 정치적 사건이 발생하여 태자 유거(劉據)와 그 일가가 참살당했다.
  • 이는 무제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후 사과를 의미하는 윤대자조(輪臺之詔)를 발표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기원전 87

  • 329, 54년간의 재위를 마치고 오작궁(五柞宮)에서 사망했다.
  • 능은 장안 근교의 무릉(茂陵)이다.
  • 사후 황태손 유불릉(劉弗陵)8살의 나이로 즉위하여 전한 소제(昭帝)가 되었다.
 

요약 정보

  • 이름 : 유철(劉徹)
  • 묘호 : 세종(世宗)
  • 시호 : 효무황제(孝武皇帝) : 무제(武帝)는 줄임말
  • 출생 : 기원전 156
  • 출생지 : 장안(長安)
  • 사망 : 기원전 87329(향년 70)
  • 사망지 : 오작궁(五柞宮)
  • 재위 : 기원전 141~ 기원전 87(54년간)
  • 전임 : 전한 경제(景帝) 유계(劉啓)
  • 후임 : 전한 소제(昭帝) 유불릉(劉弗陵)
  • 부친 : 전한 경제(景帝) 유계(劉啓)
  • 모친 : 효경황후 왕지(王娡)
 

한무제의 황후와 비빈

 

1) 황후 (皇后)

  • 진황후 (陳皇后)
    별칭 : 아교(阿嬌)라고도 불렸다.
    출신 : 무제의 고모이자 이모인 관도장공주 유표(館陶長公主 劉嫖)의 딸이었다.
    역할 : 무제의 정실 부인이었고, 태자비(太子妃)를 거쳐 황후가 되었다.
    말년 : 아이가 없어 무제의 총애를 잃었고, 무고(巫蠱) 사건에 연루되어 장문궁(長門宮)에 폐위되었다.
    사후 : 관도공주의 딸로서 한 문제(漢文帝)의 패릉(霸陵) 근처에 있는 낭관정 동쪽에 안장되었다.
  • 사후 위자부 (思后 衛子夫, ?~기원전 91)
    친족 : 동생은 위청(衛青), 조카는 곽거병(霍去病), 곽광(霍光)이다.
    출신 : 평양공주(平陽公主) 저택의 가희(歌姬)였다.
    자녀 : 입궁하여 임신 후 부인(夫人)으로 봉해졌고, 위장공주(衛長公主), 제읍공주(諸邑公主), 석읍공주(石邑公主)를 낳았다. 원삭(元朔) 원년(기원전 128)에는 여태자(戾太子) 유거(劉據)를 낳았고, 이로 인해 황후가 되었다.
    재위 : 황후로서 38년간 재위하여, 중국 역사상 두 번째로 오랜 기간 황후 자리를 지켰다.
    말년 : 무고의 난(巫蠱之禍) 당시 유거의 거병을 지지하다가 무제에게 인새(印璽)를 회수당하고 자살했다. 소관(小棺)에 담겨 장안성 남쪽 통백에 안장되었다.
    사후 : 그녀의 증손자인 한 선제(漢宣帝)가 즉위한 후 증조모를 개장하고 시호를 추증하며 사후원(思后園)을 조성했다.
  • 효무황후 이씨 (孝武皇后 李氏)
    별칭 : 야사에서는 이름이 '()'으로 기록되었다.
    친족 : 오빠는 이연년(李延年), 이광리(李廣利)이다.
    자녀 : 창읍왕(昌邑王) 유박(劉髆)을 낳았다.
    사후 : 무제 사후, 곽광(霍光)에 의해 효무황후로 추봉(追封)되어 한 무제와 함께 모릉(茂陵)에 배향되었다.
    후대 : 그녀의 손자 해혼후(海昏侯) 유하(劉賀)가 잠시 황위에 올랐었다.
  • 황태후 조씨 (皇太后 趙氏, 기원전 113~기원전 88)
    별칭 : 아름다운 미색으로 '권부인(拳夫人)' 또는 '구익부인(鉤弋夫人)'으로 불렸다.
    직위 : 첩여(婕妤)에 봉해졌다.
    자녀 : 한 소제(漢昭帝) 유복릉(劉弗陵)을 낳았다.
    사망 : 아들이 어리고 어머니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염려한 무제에 의해 사사(賜死)되었다. 운릉(雲陵)에 안장되었다.
    사후 : 소제 즉위 후 황태후로 추봉되었다.

2) 비빈 (妃嫔)

  • 왕부인 (王夫人)
    자녀 : 제회왕(齊懷王) 유홍(劉閎)을 낳았다.
    사후 : 사망 후 무제가 비통해하며 제왕태후(齊王太后)로 추증했다. 방사 소옹(少翁)이 피영(皮影)을 이용해 한 무제에게 왕부인의 혼령을 불렀다고 전해진다.
  • 이희 (李姬)
    자녀 : 오읍공주(鄂邑公主), 연자왕(燕刺王) 유단(劉旦), 광릉려왕(廣陵厲王) 유서(劉胥)를 낳았다.
    말년 : 총애를 받지 못해 근심 속에서 사망했다.
  • 윤첩여 (尹婕妤)
    역할 : 한 무제가 총애했던 후궁이다.
  • 형녕아 (邢娙娥)
    역할 : 한 무제가 총애했던 후궁으로, 그 기품이 뛰어나 윤첩여가 스스로 미치지 못한다고 자탄했다고 한다.
  • 궁인 여연 (宫人麗娟)
    역할 : 기록에 이름이 등장하는 궁인이다.
 

한무제의 자녀

 

1) 아들

  • 여태자 유거 (戾太子 劉據)
    어머니 : 위자부(衛子夫)
    말년 : 무고의 난 때 강충(江充)을 주살하기 위해 거병했다가 패배하여 호현(湖縣)에서 자살했다. 그의 모든 가족이 살해당했지만, 갓 한 달이 안 된 손자 유병이(劉病已)만이 살아남아 후에 한 선제(漢宣帝)가 되었다.
  • 제회왕 유홍 (齊懷王 劉閎)
    어머니 : 왕부인(王夫人)
    말년 : 일찍 사망하여 후사가 없었고, 그로 인해 봉국(封國)은 폐지되었다.
  • 연자왕 유단 (燕剌王 劉旦)
    어머니 : 이희(李姬)
    말년 : 한 소제 즉위 후, 종실 유장(劉長), 유택(劉澤) 및 대신 상관걸(上官桀), 상홍양(桑弘羊) 등과 함께 곽광(霍光)을 죽이고 황위를 빼앗으려 모반했으나 실패하고 자살했으며, 봉국은 폐지되었다.
  • 광릉려왕 유서 (廣陵厲王 劉胥)
    어머니 : 이희(李姬)
    말년 : 소제(昭帝) 때 황위를 탐내 여무당에게 주술을 걸게 했다. 선제(宣帝) 즉위 후에도 초왕 유수(楚王延寿)와 비밀리에 서신을 주고받았으며, 나중에 모반이 발각되자 관련자 20여 명을 독살하여 입막음하려 했다. 한 조정의 추궁을 받자 자살했고, 봉국은 폐지되었다.
  • 창읍애왕 유박 (昌邑哀王 劉髆)
    어머니 : 이부인(李夫人)
    후대 : 그의 아들 유하(劉賀)가 한 소제 사후 27일간 황제였으나, 곽광에 의해 폐위되고 해혼후로 봉해졌다.
  • 한 소제 유복릉 (漢昭帝 劉弗陵)
    어머니 : 조첩여(趙婕妤)
    재위 : 13년간 재위했지만, 후사가 없었다.
 

2)

  • 위장공주 (衛長公主)
    어머니 : 위자부(衛子夫)
    결혼 : 먼저 사촌 오빠 조양(曹襄)에게 시집갔으나 조양이 일찍 죽었다. 후에 난대(欒大)에게 재가했으나 난대가 무제에게 요참형을 당했다.
  • 제읍공주 (諸邑公主)
    어머니 : 위자부(衛子夫)
    말년 : 무고의 난으로 사망했다.
  • 석읍공주 (石邑公主)
    어머니 : 위자부(衛子夫)
  • 오읍개장공주 (鄂邑蓋長公主)
    어머니 : 명확히 기록되지 않았지만, ()씨 성의 후궁이거나 이희(李姬)의 딸일 가능성이 있다.
    역할 : 소제(昭帝)를 길렀다.
    말년 : 연왕 유단(劉旦), 상관걸(上官桀), 상관안(上官安), 상홍양(桑弘羊) 등과 함께 곽광(霍光)을 주살하려 모의했으나 발각되어 자살했다.
  • 양석공주 (陽石公主)
    어머니 : 불확실하다.
    말년 : 무고의 난으로 사망했다.
  • 이안공주 (夷安公主)
    어머니 : 불확실하다.
    결혼 : 융려공주(隆慮公主)의 아들 소평군(昭平君)에게 시집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