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한 6대 경제 유계(景帝 劉啓, BC. 188~141년) : 재위 BC. 157~141년
【기원전 188년】
- 전한 문제(文帝) 유항(劉恒)과 두희(竇姬, 훗날 효문황후 두씨)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 일부 기록에는 기원전 188년 대군(代郡) 진양(晉陽)에서 태어났다고도 전해진다.
【기원전 179년】 황태자 책봉
- 아버지 문제(文帝)가 황제로 즉위하면서 이 해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 어린 시절부터 황태자로서 자비로운 성품으로 칭찬받았으며, 어머니인 효문황후 두씨의 영향으로 황노사상(黃老思想, 도교적 사상)에 깊이 경도되어 그 가르침을 따랐다. 그는 누나인 관도공주 유표(劉嫖)와 남동생 유무(劉武)와도 깊은 유대감을 형성했다.
【기원전 157년】 황제 즉위
- 기원전 157년 7월 아버지 문제의 뒤를 이어 전한의 6대 황제로 즉위했다.
- 그의 통치는 기원전 157년부터 기원전 141년까지였다.
【기원전 154년】 오초칠국의 난(吳楚七國之亂) 진압
- 재위 초기, 조조(晁錯)의 건의를 받아들여 지방 제후들의 세력을 약화시키려 했다.
- 이로 인해 오왕(吳王) 유비(劉濞)를 필두로 한 7개 제후국이 반란을 일으켰다.
- 경제는 명장 주아부(周亞夫) 등을 파견하여 이 반란을 진압하고, 이후 제후왕들이 영지에 장관을 임명할 수 있는 권리를 박탈하여 중앙집권화를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문경지치(文景之治) 계승 및 발전】
- 아버지 문제의 정책을 계승하여 검소하고 절제하며 무위(無爲)의 통치 이념을 이어받았다.
- 형벌을 완화하고, 백성들의 세금 및 노역 부담을 경감하며, 농업을 장려했다 . 특히 황노사상을 바탕으로 통치를 펼쳐 평화롭고 안정적인 사회를 이루었다.
- 그의 치세는 아버지 문제의 통치와 함께 문경지치(文景之治)로 일컬어지며, 전한의 황금기 초석을 다진 시기로 평가받는다.
- 흉노(匈奴)에 대해서는 이전과 같이 화친 정책을 유지하며 대규모 군사적 충돌을 피했다.
【기원전 151년】 황후 박씨 폐위
- 황후 박씨(薄氏)는 황후의 지위만 있었을 뿐, 자녀가 없어 문제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었다. 결국 이 해에 폐위되었다.
【기원전 150년】 태자 유영(劉榮) 폐위 및 유철(劉徹) 태자 책봉
- 자신의 첫 번째 황태자였던 유영(劉榮)을 폐위했다.
- 곧이어 왕부인(王夫人, 훗날 왕황후 王皇后)의 아들이자 훗날 한 무제(武帝)가 되는 유철(劉徹)을 황태자로 책봉했다. 이는 후한의 모든 황제가 한무제의 후손이 되고, 동한의 모든 황제는 경제의 여섯 번째 아들인 장사정왕 유발(劉發)의 후손이 되는 중요한 인사이동이었다.
【기원전 141년】 사망
- 기원전 141년 3월 9일에 미앙궁(未央宮)에서 4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시호는 효경황제(孝景皇帝)이며, 묘호는 없었다.
- 능은 장안 근교의 양릉(陽陵)이다.
- 사후 황태자 유철이 제위에 올라 한 무제가 되었다.
【요약 정보】
- 이름 : 유계(劉啓)
- 묘호 : 없음 (일부 기록에서는 태종이라 칭하기도 한다.)
- 시호 : 효경황제(孝景皇帝) : 경제(景帝)는 줄임말
- 출생 : 기원전 188년
- 출생지 : 명확한 기록 없음, 일부 기록에 대군 진양
- 사망 : 기원전 141년 3월 9일 (향년 47세)
- 사망지 : 미앙궁(未央宮)
- 부친 : 전한 문제(文帝) 유항(劉恒)
- 모친 : 효문황후 두씨(孝文皇后 竇氏)
- 재위 : 기원전 157년 ~ 기원전 141년 (16년간)
- 전임 : 전한 문제(文帝) 유항(劉恒)
- 후임 : 전한 무제(武帝) 유철(劉徹)
- 황후 :
박황후(薄皇后) : 한 경제의 조모 박태후(薄太后)의 일족 출신. 후에 폐위됨.
왕지(王娡) : 경제의 후궁에서 황후로 책봉됨. 한 무제 유철(劉徹)의 생모. - 후궁(妃嬪) :
율희(栗姬)
정희(程姬)
가부인(賈夫人)
당희(唐姬) : 그녀의 6대손이 후한 광무제 유수(劉秀)임.
왕이허(王兒姁) : 황후 왕지의 여동생. - 아들(황자)
황태자 → 임강민왕(臨江閔王) 유영(劉榮) : 생모 율희(栗姬), 폐태자
노공왕(魯恭王) 유여(劉余) : 생모 정희(程姬) - 후손 : 유표, 유장 (동한)
하간헌왕(河間獻王) 유덕(劉德) : 생모율희(栗姬)
임강애왕(臨江哀王) 유알우(劉閼于) : 생모 율희(栗姬)
강도역왕(江都易王) 유비(劉非) : 생모 정희(程姬)
장사정왕(長沙定王) 유발(劉發) : 생모 당희(唐姬) - 후손 : 경시제 유현, 광무제 유수
교서우왕(膠西于王) 유단(劉端) : 생모 정희(程姬)
조경숙왕(趙敬肅王) 유팽조(劉彭祖) : 생모 가부인(賈夫人)
중산정왕(中山靖王) 유승(劉勝) : 생모 가부인(賈夫人) - 후손 : 한 소열제 유비 (유비의 조상)
광천혜왕(廣川惠王) 유월(劉越) : 생모 왕부인(王夫人)
교동왕 → 황태자 → 한 무제 유철(劉徹) : 생모 왕황후(王皇后) - 훗날 무제 즉위
교동강왕(膠東康王) 유기(劉寄) : 생모 왕부인
청하애왕(清河哀王) 유승(劉乘) : 생모 왕부인
상산헌왕(常山憲王) 유순(劉舜) : 생모 왕부인 - 딸(공주) - 한 경제의 딸 중, 역사서에 기록이 남아 있는 이는 아래 세 명뿐이다:
평양공주(平陽公主) – 모 : 왕황후
남궁공주(南宮公主) – 모 : 왕황후
융려공주(隆慮公主) – 모 : 왕황후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