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3일 토요일

전한 3대 소제 유공 (少帝 劉恭, BC. 193~184년) : 재위 BC. 188~184년

전한 소제(前漢 少帝, 기원전 193~184) : 재위 188~184년

 

기원전 193

  • 그의 출생 연도에 대해서는 자료마다 차이가 있다. 일부 자료에서는 기원전 193년에 태어났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다른 역사 자료에서는 출생 연도를 명확히 알 수 없다고 언급한다.
  • 본명 또한 확실히 기록된 바는 없으며, 유공(劉恭)이라는 이름은 근대 일본 역사서의 오역일 가능성이 있고, 명대 고문서에는 유지(劉智)로 기록되기도 한다.
  • 그는 전한 혜제의 미인(美人, 후궁) 소생으로, 혜제 재위 기간 동안 황태후 여치(呂雉)의 명령으로 황후 장씨(張氏)가 거짓으로 임신한 척하고 그를 양자로 들여 태자로 세웠다.
  • 친어머니는 여치의 명령에 의해 살해당했다.
 

기원전 188

  • 기원전 188년 이전에 황태자로 책봉되어 있었다.
  • 기원전 188927, 아버지 혜제가 사망하자 태자가 황제로 즉위했으며, 이가 바로 전한 소제이다.
  • 황태후였던 여치는 소제의 할머니임에도 불구하고, 태황태후(太皇太后)가 아닌 황태후(皇太后) 신분으로 계속해서 임조청정(臨朝聽政, 수렴청정)하며 국정을 장악했다.
 

기원전 184년 이전

  • 출생의 비밀 인지 : 성장하면서 자신이 장황후의 친아들이 아니라는 사실과 친어머니가 살해당했다는 잔혹한 진실을 알게 되었다.
  • 그는 성인이 되면 반드시 친어머니의 원수를 갚겠다고 공공연히 말하고 다녔다.
 

기원전 184

  • 615일 친어머니의 원수를 갚겠다는 발언이 여치에게 전달되었고, 여치는 소제를 영항(永巷, 궁궐 감옥)에 가두고, 바깥으로는 황제가 중병에 걸려 아무도 만나지 못한다고 공표했다.
  • 여치는 대신들에게 소제가 병이 중해 국정을 다스릴 수 없으니 다른 사람이 뒤를 이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대신들의 동의를 얻었다.
  • 결국, 그는 폐위되었고, 같은 날 여치에 의해 유폐되어 살해당했다.
  • 그의 뒤를 이어 상산왕(常山王) 유홍(劉弘)이 황제로 옹립되어 후소제(後少帝)가 되었다.
 

요약

  • 전한 소제는 전한 혜제의 아들로, 기원전 193년생이라는 설도 있지만 정확한 출생 연도는 불확실하다. 그는 여태후의 정치적 목적에 의해 친모를 잃고 장황후의 양자가 되어 태자로 책봉되었다. 기원전 188년 황제로 즉위했지만, 실권은 모두 여태후에게 있었다. 성인이 되면서 자신의 출생 비밀과 친모의 죽음에 대한 복수를 다짐하다가 여태후에게 발각되어 기원전 184615일 폐위되고 살해당했다. 소제는 여태후의 꼭두각시 황제로서, 종종 전한의 정통 황제 목록에서 제외되곤 한다.
 

정보

 
  • 이름 : 정확한 본명은 불명확하다. 유공(劉恭)이라는 이름은 일본 역사서의 오역일 가능성이 있고, 명대 고문서에는 유지(劉智)로 기록되기도 한다.
  • 출생 : 출생 연도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일부 자료에서는 기원전 193년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출생지 : 자료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 사망 : 기원전 184615일에 폐위되고 살해당했다.
    사망지 : 영항(永巷, 궁궐 감옥)에서 사망했다.
  • 부친 : 전한 혜제(惠帝) 유영(劉盈).
  • 모친 : 혜제의 미인(美人, 후궁) 중 한 명이었으나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여태후(呂太后)의 명령으로 살해당했다.
  • 재위: 기원전 188927~ 기원전 184615(4104).
  • 전임 : 전한 혜제(惠帝) 유영(劉盈).
  • 후임 : 전한 후소제(後少帝) 유홍(劉弘).
  • 추가 정보
    양모 : 장황후(張皇后)가 여태후의 지시로 그를 양자로 들여 태자로 세웠다.
    실권자 : 재위 기간 내내 실질적 권력은 할머니인 여태후(여치, 呂雉)가 장악하고 있었다.
    폐위 원인 : 성장하면서 자신의 출생 비밀과 친모가 살해당한 사실을 알게 되었고, 성인이 되면 복수하겠다고 공언하다가 여태후에 의해 폐위되었다.
    역사적 평가 : 여태후의 꼭두각시 황제로 여겨져, 종종 전한의 정통 황제 목록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형제들

  1. 유강(劉強)
    기원전 18766: 회양왕(淮陽王)에 봉해짐
    기원전 1838~9: 사망
    시호 : () 회양회왕(淮陽懷王)
  2. 유불의(劉不疑)
    기원전 18766: 항산왕(恒山王)에 봉해짐
    기원전 186년경 : 사망
    시호 : () 항산애왕(恒山哀王)
  3. 유홍(劉弘)
    본명 : 유산(劉山)
    즉위 후 개명 : 유홍(劉弘)
    기원전 18766: 양성후(襄城侯)에 봉해짐
    기원전 184821: 항산왕으로 승격, 개명 : 유의(劉義)
    기원전 183620: 제위에 오름 이름을 유홍(劉弘)으로 바꿈(후소제)
    기원전 1801114: 주여 사건 때 처형됨
  4. 유조(劉朝)
    기원전 18766: 지후(轵侯)에 봉해짐
    기원전 183620: 항산왕으로 승격
    기원전 1801114: 처형됨
  5. 유무(劉武)
    기원전 18766: 호관후(壶关侯)에 봉해짐
    기원전 1838~9: 회양왕으로 승격
    기원전 1801114: 처형됨
  6. 유태(劉太)
    기원전 184314: 창평후(昌平侯)에 봉해짐
    기원전 18141: 제천왕(济川王)으로 승격
    기원전 180104: 양왕(梁王)으로 변경 봉해짐
    기원전 1801114: 처형됨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