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4일 일요일

전한 14대 평제 유간(平帝 劉衎, BC. 9년 ~ AD. 6년) : 재위 BC. 1년 ~ AD. 6년)

전한 14대 평제 유간(平帝 劉衎, BC. 9~ AD. 6) : 재위 BC. 1~ AD. 6)

 

기원전 9

  • 유간(劉衎)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으며, 초기 이름은 유민(劉閔)이었다는 기록도 있다.
  • 전한 원제(元帝)의 손자이자 중산효왕(中山孝王) 유흥(劉興)의 아들이다.
  • 어머니는 위희(衛姬)이다.
  • 출생지는 중산국(中山國)이다.
 

기원전 1

  • 전한 애제(哀帝)가 아들 없이 사망하자(기원전 17), 당시 최고 실력자였던 태황태후 왕정군(王政君)과 대사마(大司馬) 왕망(王莽)이 황위를 계승할 유력한 후보들을 검토했다.
  • 그는 유력한 황위 계승 후보 12명 중 가장 어리고 외척 세력이 미약하다는 이유로 왕망에 의해 선택되었다.
  • 기원전 11017, 9세의 어린 나이로 황제에 즉위했으며, 초기 이름 유민(劉閔)을 유간(劉衎)으로 개명했다.
  • 그의 재위 기간은 기원전 1년부터 기원후 6년까지 총 6년이다.
  • 태황태후 왕정군이 섭정(regent)을 맡았고, 왕망이 그녀의 보조자로서 사실상 모든 국정을 장악했다.
  • 연호는 원시(元始), 기원후 1년부터 기원후 5년까지 사용되었다.
 

기원전 1

  • 왕망은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애제 시대에 득세했던 정씨(丁氏)와 부씨(傅氏) 일족의 세력을 제거하고, 그들을 지방으로 추방했다.
  • 평제의 어머니인 위희(衛姬)의 가문(위씨 일족)도 권력을 얻는 것을 막기 위해 중앙 정계에서 배제되고, 중산국으로 돌려보내졌다.
 

기원후 2

  • 왕망은 자신의 딸인 왕씨(王氏, 훗날 평제황후)를 황후로 책봉하여 평제와 혼인시키며 외척으로서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했다.
  • 황후 간택 당시 왕망은 딸을 황후 후보에서 제외하려 했으나, 형식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 오히려 태황태후 왕정군의 신임을 얻었다는 주장도 있다.
 

기원후 3

  • 평제 황후가 책봉된 것을 기념하여 왕망은 평제의 외가인 위씨(衛氏) 가문에게도 일정 부분 은혜를 베풀어 지방으로 추방되었던 이들을 다시 중산국(中山國)에서 직책을 맡게 했다. 태황태후 왕정군은 이를 허락하며 왕망의 충성심을 신뢰하게 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기원후 5

  • 점차 성장한 평제는 자신의 외가(위씨 가문)가 억압받는 것에 대해 왕망에게 불만을 표출하기 시작했다.
  • 왕망의 아들 왕우(王宇)는 평제의 불만을 달래고 왕망이 태황태후로부터 계속 신임을 얻도록 하려는 목적으로, 왕망의 사위인 여관(呂寬)과 모의하여 주술적인 방법으로 평제의 병을 낫게 하려는 계책을 꾸몄다.
  • 이 사건이 발각되자 왕망은 왕우를 비롯한 관련자들을 처형하고, 여씨와 위씨 가문은 물론이고 자신에게 비판적인 세력들을 대규모로 숙청하는 데 이용했다. 이로 인해 평제는 심신이 쇠약해졌다는 주장도 있다.
 

기원후 6

  • 기원후 623(양력) 또는 117(음력), 14세의 어린 나이에 미앙궁(未央宮)에서 사망했다. 사망 원인에 대한 의혹이 짙다. 많은 역사가들은 평제가 왕망에 의해 독살당했다고 보고 있으며, 왕망이 올린 술을 마신 후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
  • 왕망은 평제가 병으로 죽었다고 공표했다.
  • 그는 아들 없이 사망했으며, 왕망은 고조의 후손 중 가장 나이가 어린 유영(劉嬰, 유자영 孺子嬰)을 황태자로 옹립했다. 이는 왕망이 황제에 오르기 위한 중간 단계였다.
  • 능은 위릉(渭陵) 서쪽의 강릉(康陵)이다.
 

요약 정보

  • 이름 : 유간(劉衎). 초기 이름은 유민(劉閔).
  • 묘호 : 없음
  • 시호 : 효평황제(孝平皇帝) : 평제(平帝)는 줄임말
  • 출생 : 기원전 9년 / 출생지 : 중산왕국(中山國)
  • 사망 : 기원후 623(양력) (향년 14) / 사망지 : 장안(長安) 미앙궁(未央宮)
  • 부친 : 중산효왕(中山孝王) 유흥(劉興)
  • 모친 : 위희(衛姬)
  • 여동생들 :
    수의군 유알신 (修義君 劉謁臣)
    승례군 유피 (承禮君 劉皮)
    존덕군 유격자 (尊德君 劉鬲子)
  • 배우자 : 평제황후 왕씨(平帝皇后 王氏, 왕망의 딸)
  • 양자 : 유영 (孺子嬰)
  • 재위 : 기원전 11017~ 기원후 623(6년간)
  • 전임 : 전한 애제(哀帝) 유흔(劉欣)
  • 후임 : 전한 유영(劉嬰, 유자영) : 황태자
  • 전한 평제는 어린 나이에 황제로 옹립되어 태황태후와 대사마 왕망의 섭정 아래 있었다. 왕망은 평제의 재위 기간 동안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 반대파를 제거하며 기반을 다졌고, 결국 어린 황제 평제를 독살한 후 전한을 찬탈하고 신() 왕조를 세우게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