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일 화요일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6왕조 : 고왕국의 황혼, 중앙집권의 붕괴(기원전 약 2345~2181년)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6왕조 : 고왕국의 황혼, 중앙집권의 붕괴(기원전 약 2345~2181)

 

1. 고대 이집트 제6왕조

 
고대 이집트 제6왕조는 고대 이집트 문명의 찬란했던 고왕국(Old Kingdom) 시대를 마감하는 마지막 왕조이다. 이집트 역사가 마네토(Manetho)에 따르면 이 왕조는 203년간 통치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토리노 파피루스(Turin Canon)181년간 통치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기원전 약 2345년부터 2181년까지 통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왕조는 이전 제3, 4, 5왕조와 함께 고왕국 시대를 구성하지만, 이 시기에는 고왕국의 해체를 알리는 중요한 변화들이 심화되었다.
 
6왕조의 파라오들은 수도 멤피스(Memphis)에서 통치했으며, 그들의 피라미드는 대부분 사카라(Saqqara) 지역에 건설되었다. 이 시기에는 종교적 기관의 권력 증대, 관료 조직의 성장, 그리고 파라오의 중앙집권적 권력 약화라는 제5왕조 후기부터 이어진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결국 고왕국 시대가 끝나고 혼란스러운 제1중간기(First Intermediate Period)로 접어드는 주요 원인이 된다.
 

2. 고왕국 쇠퇴의 배경 (5왕조의 유산과 제6왕조의 변화)

 
6왕조 시대의 특징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이전 왕조, 특히 제5왕조 후반부터 나타난 사회적, 정치적 변화의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1) 종교적 권력의 부상과 파라오의 위상 변화

 
5왕조에 이르러 이집트 사회에서 종교적 기관, 특히 태양신 라(Ra)를 숭배하는 신관들의 영향력이 크게 증대되었다. 이전 왕조에서는 파라오가 신적 존재로 절대적인 권위를 가졌지만, 점차 태양신 라가 모든 신들 위에 군림하고 파라오는 라의 아들이자 대리인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파라오의 위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절대적인 신권에 기반한 통치가 점차 약화되는 빌미를 제공했다.
 

2) 관료제와 지방 행정의 성장

 
네페리르카레 카카이(Neferirkare Kakai, 5왕조)의 통치 시기부터 이집트의 관료 체계는 급격히 성장하고 전문화되었다. 파라오의 행정을 돕는 관료들과 신관들은 더욱 강력한 권한을 부여받았으며, 이는 그들이 사치스러운 개인 무덤을 건설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제드카레 이세시(Djedkare Isesi, 5왕조)의 통치 기간 동안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되어 사실상 봉건 제도와 유사한 형태를 띠게 된다.
 
파라오가 직접 통치하던 영역이 넓어지면서 지방 행정관(노마르크, nomarch)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이들은 자신의 지역에서 파라오의 대리인으로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게 되었고, 이 권한이 점차 세습되면서 중앙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세력으로 성장할 기반을 마련했다. 이는 중앙집권화된 파라오의 권력이 약화되고 분산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3) 경제적 불안정성과 혼란의 조짐

 
5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우나스(Unas)의 통치 기간부터 경제적 불안정이 심화되기 시작했다. 거대한 건축 사업에 대한 자원 소모와 비생산적인 종교 기관 및 관료 계층의 증가 등으로 인해 국고에 부담이 가중되었고, 이는 사회 전반에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했다. 이러한 분권화와 경제적 어려움이라는 흐름은 제6왕조에도 이어지면서 고왕국 시대의 붕괴를 가속화하는 요인이 되었다 .
 

3. 6왕조의 첫 번째 왕 테티(Teti)

 
테티(Teti)는 마네토에 의해 제6왕조의 첫 번째 왕으로 확인되며, 이는 우나스(Unas)의 통치가 끝난 후 시작된 것으로 기록된다. 그는 기원전 23세기에 왕위에 올랐다.

제6왕조의 테티
제6왕조의 테티

1) 재위 기간

 
마네토는 테티의 재위 기간을 30년 또는 33년으로 추정하지만, 이는 실현 가능성이 낮다. 왜냐하면 세드(Sed) 축제에 대한 기록이 없고, 그가 통치한 마지막 시점의 기록은 6번째 소 카운트에서 나온 것인데, 이는 그의 통치 12년 또는 13년째에 해당한다. 왕실 기록(토리노의 왕명록)은 또 다른 비현실적인 추정으로 7개월을 제시한다. 고고학자 하르트위그 알텐뮐러는 마네토와 소 카운트 기록 사이에서 중재하여 약 23년의 재위 기간을 제시했다. 이집트학자 피터 클레이튼과 윌리엄 스미스는 그의 재위 기간을 12년으로 본다.
 

2) 5왕조 우나스의 사위

 
테티와 그의 전 왕들 사이의 관계는 불명확하지만, 그의 아내 이푸트(Iput)는 우나스의 딸로 추정된다. 이는 테티가 우나스의 사위로서 왕위에 올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의 즉위는 우나스가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발생한 잠재적인 계승 위기를 해결한 것으로 보인다. 테티는 자신의 통치를 정치적 통합의 재개로 선언하기 위해 호루스 이름 세헤텝타위(Seheteptawy)를 채택했다. 왕조의 이행은 원활하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테티는 제5왕조의 관리들, 예를 들어 메후(Mehu)와 카게므니(Kagemni)와 같은 재상들을 그대로 임명했다. 그러나 왕실 기록 또한 우나스와 테티 사이에 변화가 있었다고 언급하는데, 이집트학자 자로미르 말렉은 이것이 수도와 왕궁의 이전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수도는 하얀 벽(White Wall)”에서 더 남쪽의 디드-이수트(Djed-isut)”로 옮겨졌으며, 이는 테티의 피라미드와 피라미드 마을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왕궁은 아마도 사카라(Saqqara) 남쪽의 계곡에 위치했을 것으로 보인다.
 

3) 테티의 정책

 
테티는 딸 세셰셋(Sesheshet)을 자신의 재상인 메레루카(Mereruka)와 결혼시켰다. 이는 그가 귀족 계층과 협력하려는 의지를 나타내는 분명한 징표이다. 메레루카는 테티의 피라미드 근처에 호화로운 무덤을 지닌 채 묻혔다. 테티는 아비도스(Abydos)의 신전이 세금 면제를 받도록 하는 칙령을 발표하며 평화로운 정책을 펼쳤다. 그는 또한 덴데라(Dendera)에서 하토르(Hathor) 숭배와 밀접한 관계를 맺은 첫 번째 왕이었다. 해외에서는 비블로스(Byblos)와 누비아(Nubia)와의 무역 관계를 유지했다.
 

4) 피라미드 건설

 
테티는 북부 사카라에 피라미드를 건설하도록 명령했다. 그의 피라미드는 제드카레 이세시(Djedkare Isesi)의 기준을 따랐다. 피라미드의 기반 길이는 78.5미터였고, 정점까지의 높이는 52.5미터였다. 피라미드의 하부 구조는 우나스와 제드카레 이세시의 것과 매우 비슷했다. 하강하는 복도와 수평 통로가 있으며, 그 중간 지점에서 세 개의 화강암 문이 통로를 지키고 있었다. 통로 끝에는 전방실과 그 동쪽에 세르답(serdab), 서쪽에 묘실이 있었다. 피라미드의 벽에는 피라미드 텍스트가 새겨져 있었다. 테티의 장례 신전은 그의 전임자들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형태를 따랐다. 피라미드 단지에는 하위 피라미드가 존재했으며, 그 피라미드의 기저 길이는 15.7미터였다. 사카라의 북쪽에 있는 테티의 피라미드는 대규모 묘지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그의 아내 네이트(Neith)와 이푸트(Iput)의 피라미드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푸트의 유해는 그녀의 피라미드에서 나무 관에 묻혀 발견되었다.
 

5) 암살 의혹

 
마네토는 테티가 시종에게 암살당했다고 주장하지만, 이에 대한 동시대 기록은 없다. 이 이야기가 사실이라면, 이는 우세르카레(Userkare)라는 단명한 통치자에 대한 언급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세르카레는 테티와 페피 1세 사이에 짧게 통치한 것으로 여겨지며, 왕실 기록과 아비도스 왕 목록에서 그 이름이 확인된다.
 

4. 6왕조의 주요 파라오들 (고왕국의 마지막 통치자들)

 
6왕조는 대체로 6명의 주요 파라오에 의해 통치되었다.
 
테티(Teti, 재위: 기원전 약 2345~ 2333)
테티는 제6왕조의 창건자이자 첫 파라오이다. 그는 사카라에 자신만의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그의 치세 동안은 아직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그의 호루스 이름은 세헤텝타위(Seheteptawy)이고, 배우자는 이푸트 1(Iput I), 쿠위트(Khuit), 켄트카우스 4(Khentkaus IV), 네이트(Neith)이다.
 
우세르카레(Userkare, 재위: 기원전 약 2333~ 2331)
우세르카레의 통치 기간은 매우 짧았으며, 그의 존재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그에 대한 기록이 많지 않아 정확한 업적이나 통치 상황은 불분명하다.
 
페피 1세 메리레(Pepi I Meryre, 재위: 기원전 약 2331~ 2287)
페피 1세 메리레는 제6왕조의 중요한 파라오 중 한 명으로, 44년에서 50년간 통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피라미드는 사카라에 건설되었으며, 그 규모와 복잡성은 파라오의 권위가 여전히 강력했음을 보여준다. 그는 이집트 국경 밖으로 원정대를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 활동을 펼쳤다. 그의 호루스 이름은 메리타위(Merytawy)이며, 배우자는 안케센페피 1(Ankhesenpepi I), 안케센페피 2(Ankhesenpepi II), 누브웨네트(Nubwenet), 메리티테스 4(Meritites IV), 이네네크-인티(Inenek-Inti), 메하아(Mehaa), 네제프테트(Nedjeftet)이다.
 
메렌레 1세 넴티엠사프(Merenre Nemtyemsaf I, 재위: 기원전 약 2287~ 2278)
메렌레 1세 넴티엠사프는 짧은 기간 동안 통치했으나, 누비아(Nubia) 지역으로 원정대를 보내 이집트의 영향력을 확장하려는 노력을 했다. 그의 피라미드 역시 사카라에 위치한다. 그의 호루스 이름은 안크카우(Ankhkhau)이며, 배우자는 안케센페피 2(Ankhesenpepi II)이다.
 
페피 2세 네페르카레(Pepi II Neferkare, 재위: 기원전 약 2278~ 2184)
페피 2세 네페르카레는 이집트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동안 통치한 파라오 중 한 명으로, 무려 64년에서 94년간 재위했다고 추정된다. 그의 피라미드는 사카라에 건설되었다. 그의 긴 재위 기간 동안 왕실의 권위는 점차 약화되고 지방 노마르크들의 권력이 강화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파라오의 나이가 너무 많아 행정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추측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중앙집권 체제의 붕괴가 가속화되었다. 그의 호루스 이름은 네트제르카우(Netjerkhau)이며, 배우자는 네이트(Neith), 이푸트 2(Iput II), 안케센페피 3(Ankhesenpepi III), 안케센페피 4(Ankhesenpepi IV), 우제브텐(Udjebten)이다.
 
메렌레 2세 넴티엠사프(Merenre Nemtyemsaf II, 재위: 기원전 약 2184~ 2184)
메렌레 2세 넴티엠사프는 페피 2세 사후 매우 짧은 기간(11개월) 동안 통치하다가 사라졌다 . 이는 왕위 계승이 불안정했음을 시사한다.
 
니토크리스(Nitocris, 재위: 기원전 약 2184~ 2181)
니토크리스는 제6왕조의 마지막 통치자로 여겨지며, 그녀는 이집트 최초의 여성 파라오였다는 설이 있다. 그녀의 통치 후 고왕국 시대는 막을 내리고 혼란스러운 제1중간기로 접어들게 된다.
 

5. 6왕조의 유산과 몰락 (고왕국 시대의 종언)

 
6왕조는 이집트 고왕국 시대의 정점을 찍었지만 동시에 몰락을 예고하는 중요한 특징들을 남겼다. 이 시기 파라오들의 피라미드 내부에는 종교적 주문인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가 새겨지기 시작했다 . 이는 파라오의 사후 세계에서의 부활을 위한 기도문으로, 고대 이집트의 종교적 세계관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하지만 파라오 권력의 쇠퇴는 명백했다. 장기간의 통치로 인한 파라오의 권위 약화, 막강한 권한을 가진 지방 행정관들의 부상, 그리고 누적된 경제적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중앙집권 체제는 무너졌다. 6왕조가 끝난 후 이집트는 수많은 지방 통치자들이 난립하는 분열의 시기인 제1중간기에 돌입하며 고왕국의 영광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 이는 고대 문명이 얼마나 강력한 권력 구조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내부적인 문제와 외부적인 변화 앞에서 취약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