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일 화요일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5왕조 : 태양신의 시대, 변화의 시작(기원전 약 2498~2345년)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5왕조 : 태양신의 시대, 변화의 시작(기원전 약 2498~2345)

 

1. 고대 이집트 제5왕조

 
고대 이집트의 제5왕조는 이집트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내는 시대이다. 이 왕조는 기원전 25세기 초부터 기원전 24세기 중반까지 약 150년간 이집트를 통치하였다. 이는 제3왕조, 4왕조, 6왕조와 함께 흔히 고왕국(Old Kingdom)으로 통칭되는 시기에 포함된다. 5왕조의 정확한 통치 기간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다양한 연대가 제안되지만, 대략 기원전 2513년부터 2374, 2498~2345, 또는 2392년부터 2282년 등으로 추정된다.
 
이 시기에는 이집트의 종교와 사회, 그리고 건축 양식에 여러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특히 태양신 라(Ra)의 숭배가 중요해지고, 파라오의 권력이 이전 왕조보다 분산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집트 문명과 문화의 기틀이 확고히 다져진 고왕국의 중요한 일부를 이룬다.
 

2. 주요 파라오와 그들의 업적 (5왕조를 이끈 통치자들)


5왕조는 총 9명의 파라오가 통치하였다. 각 파라오는 자신만의 피라미드와 건축 사업을 벌였으며, 종교적, 정치적 변화의 중심에 있었다.
 
우세르카프(Userkaf, 재위: 기원전 약 2498~ 2491)
우세르카프는 제5왕조의 첫 파라오이다. 그의 피라미드는 사카라(Saqqara)에 세워졌으며, 그의 치세부터 태양신 라에 대한 숭배가 더욱 중요해지기 시작한다. 그는 아부시르(Abusir) 근처에 태양신 라에게 헌정된 사원을 건설한 첫 번째 파라오이다.
파라오 우세르카프가 제5왕조를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중왕국 시대에 쓰인 웨스트카르 파피루스(Westcar Papyrus)’는 제4왕조의 왕 쿠푸(Khufu)가 사크부(Sakhbu)의 라(Ra) 신전 제사장의 아내에게서 태어난 삼둥이(우세르카프, 사후레, 네페리르카레)가 자신과 후계자들을 전복시킬 것이라는 예언을 받고, 그 아이들을 죽이려 했다는 이야기를 전한다. 그러나 최근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전설에 불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으며, 실제로 제4왕조에서 제5왕조로의 이행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고 인정한다.
 
사후레(Sahure, 재위: 기원전 약 2491~ 2477)
사후레는 우세르카프의 뒤를 이은 파라오이며, 왕비 메레트네브티(Meretnebty)를 두었다. 그의 피라미드는 아부시르에 위치한다. 사후레는 무역과 탐험 활동을 활발히 펼쳐 이집트의 경제적 기반을 닦는 데 기여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네페리르카레 카카이(Neferirkare Kakai, 재위: 기원전 약 2477~ 2460)
네페리르카레 카카이는 제5왕조의 중요한 파라오 중 한 명이며, 왕비는 켄트카우스 2(Khentkaus II)이다. 그의 피라미드 역시 아부시르에 세워졌으며, 그의 치세에 이집트의 관료 체계가 더욱 정비되기 시작하였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관료들의 권한이 점차 강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셰프세스카레(Shepseskare, 재위: 불확실, 매우 짧음)
셰프세스카레는 제5왕조의 '그림자 같은' 파라오로, 그의 통치 기간은 매우 짧았으며, 그의 존재에 대한 역사적 증거도 다른 파라오들에 비해 불확실하다.
 
네페레프레(Neferefre, 재위: 기원전 약 2460~ 2453)
네페레프레는 짧은 기간 동안 통치했지만, 그의 피라미드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왕비는 켄트카우스 3(Khentkaus III)였다 . 그의 피라미드는 미완성으로 남아있다.
 
뉴세르레 이니(Nyuserre Ini, 재위: 기원전 약 2453~ 2422)
뉴세르레 이니는 제5왕조의 파라오 중 가장 오래 통치한 한 명이다. 그는 태양신 라 숭배를 더욱 강화하였고, 아부시르에 복합적인 태양신 사원을 건설하였다. 그의 피라미드 단지도 이 시기 건축 기술의 발전을 보여준다 .
 
멘카우호르 카이우(Menkauhor Kaiu, 재위: 기원전 약 2422~ 2414)
멘카우호르 카이우는 재위 기간이 비교적 짧았던 파라오이다. 그 역시 아부시르 근처에 라에게 헌정된 사원을 건축하였다. 그의 무덤은 아직 정확히 발견되지 않았지만, 그의 이름이 담긴 유적들이 존재한다.
 
제드카레 이세시(Djedkare Isesi, 재위: 기원전 약 2414~ 2375)
제드카레 이세시는 제5왕조 후반의 중요한 파라오이며, 왕비는 메레상크 4(Meresankh IV)이다. 그의 치세 동안 종교적 관행에 변화가 있었고, 피라미드 텍스트가 발전하는 기반을 다졌다고 평가된다. 그의 피라미드는 사카라에 있다. 특히 프타호테프(Ptahhotep, 생몰년 미상)라는 지혜로운 대신이 그의 재상으로 유명하다. '프타호테프의 교훈'이라는 유명한 지혜 문서가 그의 이름으로 전해져 내려온다.
 
우나스(Unas, 재위: 기원전 약 2375~ 2345)
우나스는 제5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이다. 그의 피라미드인 우나스 피라미드는 사카라에 위치한다. 특히 이 피라미드 내부에는 파라오의 무덤에 새겨진 최초의 장례 기도문이자 주문 모음집인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가 발견되었다는 점이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텍스트는 고대 이집트의 사후 세계관과 종교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자료이다. 또한 그의 무덤 비문에는 오시리스(Osiris) 신의 숭배가 중요성을 띠기 시작했음이 나타난다.
 
personal namethrone name호루스 이름통치기간배우자
UserkafUserkafIrimaatc.2498–2491 BC
SahureNebkhauc.2491–2477 BCMeretnebty
KakaiNeferirkareUserkhauc.2477–2460 BCKhentkaus II
IsiNeferefreNeferkhauc.2460–2458 BC
NetjeruserShepseskareSekhemkhauc.2458 BC
IniNyuserreSetibtawyc.2458-2422 BCReptynub
KaiuMenkauhorMenkhauc.2422-2414 BC
IsesiDjedkareDjedkhauc.2414-2375 BC
UnasWadjtawyc.2375-2345 BCNebet, Khenut

3. 종교 및 사회 변화 (새로운 신들의 부상과 기록 문화)

5왕조 동안 이집트의 종교는 여러 중요한 변화를 겪는다. 이전 왕조에서도 중요했지만, 태양신 라의 숭배는 이 시기에 절정에 달한다. 우세르카프부터 멘카우호르 카이우에 이르는 파라오들은 아부시르 근처에 태양신 라에게 헌정된 사원을 건설하였다 .
 
장례 문화에서도 큰 발전이 있었다. 우나스 피라미드에서 발견된 피라미드 텍스트는 왕실 무덤에 새겨진 가장 오래된 장례 기도문으로, 파라오가 사후 세계에서 신이 되기 위한 주문과 안내서 역할을 하였다. 이와 함께 오시리스 신의 숭배가 중요성을 얻기 시작한다. 오시리스는 죽은 자의 신이자 부활의 신으로, 그의 역할이 피라미드 텍스트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왕실 이외의 비왕실 무덤에도 변화가 있었다. 왕실 무덤처럼 기도문이나 주문 대신, 고인의 생애에 대한 전기(傳記)가 벽에 새겨지기 시작하였다. 이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업적이 기록으로 남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회적 변화이다.
 

4. 5왕조의 유산 (고왕국 시대의 의미 있는 전환점)


5왕조는 고대 이집트 문명이 전성기를 누리던 고왕국 시대에서도 특히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억된다. 거대한 피라미드보다는 태양신 사원 건축에 집중하는 경향은 종교적 가치관의 변화를 나타낸다. 파라오의 절대적 권력은 유지되었지만, 관료와 신관들의 역할이 점차 커지기 시작했다는 점도 이 왕조의 특징이다.
 
이 시기의 변화들은 이후 고대 이집트의 종교, 정치, 예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피라미드 텍스트와 같은 종교 문헌의 출현은 이집트인들의 사후 세계관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게 돕는다. 또한 프타호테프와 같은 현명한 대신의 등장은 통치 이념과 사회 질서에 대한 고민이 깊어졌음을 시사한다. 5왕조는 단순히 파라오들의 계보를 넘어, 고대 이집트 사회가 진화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기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