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제국의 첫 번째 내전기 : ‘4황제의 해’(AD.69)
1. 서기 69년 : 로마 제국을 뒤흔든 ‘4황제의 해’의 서막
서기 69년은 로마 제국 역사상 가장 격동적이고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로 기록된다. 이 해는 제정 로마 최초의 내전이 발발하고, 무려 네 명의 황제가 차례로 제위에 오르면서 로마 제국의 통치권 다툼이 극심했던 시기다. 이 사건은 로마의 첫 번째 황조인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가 막을 내리고, 플라비우스 왕조로 전환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이 시기는 제국 전역에서 충성심이 뒤바뀌고, 혼란과 동요가 극에 달했던 시기이다.
![]() |
기원후 68~69년 로마 제국 |
2. 갈바(Galba, 68–69년)의 즉위와 몰락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마지막 황제 네로의 폭정으로 인한 혼란 속에서, 서기 68년 갈리아와 히스파니아 지역의 군단들은 새로운 황제를 요구했다. 이에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총독이었던 갈바는 네로에 대항하며 반란을 일으켰고, 네로가 자결하면서 갈바는 로마에 입성하여 새로운 황제로 추대되었다. 하지만 갈바의 통치는 오래가지 않았다. 그는 엄격하고 인색한 정책으로 로마 시민과 군인들의 지지를 얻는 데 실패했다. 특히 자신의 후계자 문제와 재정 긴축 정책은 프라이토리아니(황제 근위대)의 불만을 고조시켰다. 결국 69년 초, 근위대의 지지를 얻은 오토에게 살해당하며 그의 짧은 통치는 막을 내렸다.
2. 오토(Otho, 69년)의 짧은 영광
갈바를 제거하고 제위에 오른 오토는 갈바의 정책을 계승하면서도 시민들과 병사들의 지지를 얻으려 노력했다. 하지만 그의 재위는 단 3개월에 불과했다. 갈바가 황제로 즉위하기 전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의 총독이었던 비텔리우스가 군단을 이끌고 로마로 진격하면서 새로운 내전이 발발했기 때문이다. 오토는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비텔리우스 군대에 맞섰으나, 베드리아쿰 전투에서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 명예를 지키기 위해 오토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이로써 로마는 다시 한번 황제를 잃었다.
3. 비텔리우스(Vitellius, 69년)의 잔혹한 통치
오토를 물리치고 승리한 비텔리우스는 로마에 입성하여 새로운 황제가 되었다. 그는 자신의 병사들에게 관대하고 향락적인 정책을 펼쳐 환심을 사려 했다. 그러나 비텔리우스의 통치는 군인들의 무분별한 약탈과 과도한 사치로 인해 로마 시민들의 반감을 샀다. 그의 잔혹하고 방탕한 통치는 제국의 불안정성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러한 혼란은 제국 동방의 군단들에게 또 다른 황제 추대의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4. 베스파시아누스(Vespasian, 69–79년)의 등장과 플라비우스 왕조의 개창
이집트와 유대에 주둔했던 동방 군단들은 비텔리우스의 통치에 불만을 품고 유대 전쟁을 지휘하던 베스파시아누스를 새로운 황제로 추대했다. 베스파시아누스는 갈등이 심했던 당시 동방의 질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군단의 신뢰를 얻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아들 티투스와 함께 로마로 진격하기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비텔리우스와 그의 지지자들과 여러 차례의 전투가 벌어졌다. 최종적으로 비텔리우스가 살해당하면서 69년에 걸친 피비린내 나는 내전은 베스파시아누스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베스파시아누스는 제위에 올라 로마의 안정을 되찾고 새로운 플라비우스 왕조를 열었다. 그는 유능한 행정가이자 군인이었으며, 콜로세움을 건설하는 등 로마 재건에 힘썼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로마 제국은 다시금 평화와 번영을 되찾게 되었다.
5. ‘4황제의 해’, 로마 제국의 중요한 전환점
서기 69년 ‘4황제의 해’는 로마 제국의 역동적인 변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이다. 이 시기의 내전은 로마 제국이 더 이상 혈통에만 의존하지 않고, 군단의 지지와 실질적인 능력이 황제 계승에 중요한 요소가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 베스파시아누스로 이어지는 네 황제의 짧은 통치와 교체는 로마 제정 초기의 불안정성을 드러내지만, 동시에 새로운 시대, 즉 유능한 황제가 제국의 안정과 발전을 이끌 수 있음을 증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4황제의 해’는 로마 제국의 운명을 바꾼, 결코 잊을 수 없는 역사의 한 페이지이다.
6. 간단한 연대표
서기 68년
- 4월 –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의 총독 갈바(Galba)와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총독 빈덱스(Vindex)가 네로(Nero)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킴
- 5월 – 라인 강 지역 군단이 갈리아에서 빈덱스를 격파하고 그를 살해함
- 6월 8일 – 원로원이 네로를 공적의 적(hostis)으로 선언
- 6월 9일 – 네로 자살
- 갈바가 황제로 인정받음
- 11월 – 비텔리우스(Vitellius)가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Germania Inferior)의 총독으로 임명됨
서기 69년 (네 황제의 해)
- 1월 1일 – 라인 강 군단이 갈바에 대한 충성 서약을 거부함
- 1월 2일 – 비텔리우스가 라인 강 군단에 의해 황제로 선포됨
- 1월 15일 – 갈바가 근위대(프라이토리안 가드)에 의해 살해됨; 같은 날 원로원이 오토(Otho)를 황제로 인정함
- 4월 14일 – 비텔리우스가 오토를 격파함
- 4월 16일 – 오토 자살; 비텔리우스가 황제로 인정받음
- 7월 1일 – 유대 지역 로마군 지휘관 베스파시아누스(Vespasian)가 이집트 주둔군(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더의 지휘 하에)에 의해 황제로 선포됨
- 8월 – 다뉴브 군단이 시리아에 있던 베스파시아누스를 지지하며 이를 위해 9월에 이탈리아 침공을 시작함
- 10월 – 다뉴브 군단이 비텔리우스 군을 격파하고, 베스파시아누스가 이집트를 점령함
- 12월 20일 – 비텔리우스가 황궁에서 병사들에게 살해당함
- 12월 21일 – 베스파시아누스가 공식적으로 황제로 인정받음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