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6일 화요일

[하(夏) : BC. 2070~1600년경] 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조? 전설과 실제 사이

[() : BC. 2070~1600년경] 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조? 전설과 실제 사이

 
(, 약 기원전 2070~약 기원전 1600) 왕조는 중국 전통 사학(史學)에서 최초의 왕조로 기록되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순() 임금의 뒤를 이어 대우()가 건립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현재까지 하 왕조의 존재를 직접적으로 증명하는 당대 기록은 발견되지 않아, 그 역사성과 신화성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하 왕조에 대한 기록은 주로 후대, 특히 서주 시대 초기부터 나타나는 문헌들과 공자(孔子, 기원전 551~기원전 479)의 유교(儒敎) 학파가 확립한 역동적인 왕조 교체 이데올로기인 '천명(天命)'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통 중국 사서에 따른 하 왕조의 위치
전통 중국 사서에 따르면(왕조의 대략적인 위치는 분홍색으로 표시되어 있다그러나 문헌 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에하 왕조의 실존은 입증될 수 없다.
 

1. 전통 사서에 나타난 하 왕조의 모습

 
하 왕조는 상서(尙書), 죽서기년(竹書紀年, Bamboo Annals), 사마천(司馬遷, 기원전 145년경~기원전 86년경)의 사기(史記) 등 여러 중국 고전에서 묘사되고 있다. 이들 사서는 하 왕조가 기원전 첫 천년기에도 역사적인 왕조로 여겨졌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사기와 예기(禮記)에 따르면 하 왕조의 건립자인 대우는 전욱(顓頊)의 손자이며, 전욱은 다시 황제(黃帝)의 손자이다. 하지만 반고(班固, 32~92)와 같은 다른 기록들은 우의 아버지가 전욱의 5대 후손이라고 언급하는 등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또한 산해경(山海經)과 같은 기록에는 우의 아버지인 곤()이 황제의 아들인 낙명(駱明)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다. 사마천은 하 왕조의 기원을 우에게 봉해진 봉읍(封邑)의 이름에서 찾고 있으며, 우가 이를 자신의 성씨이자 국가 이름으로 사용했다고 설명한다.
 

2. 대홍수를 다스린 영웅, 대우의 등장

 
전통적인 기록에 따르면, 하 왕조 이전의 혼란스러운 시기는 중국을 덮친 대홍수로 점철되어 있었다. 요 임금()은 이 홍수를 통제하기 위해 우의 아버지인 곤에게 치수를 맡겼다. 곤은 9년 동안 거대한 제방을 쌓아 물의 흐름을 막으려 했으나, 홍수는 더욱 강력해져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9년 후, 요는 순에게 왕위를 물려주었고, 순은 곤을 우산(羽山)에 유배시켜 죽음에 이르게 했다.
 
곤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순은 곤의 아들인 우에게 치수 사업의 중책을 맡겼다. 우는 아버지의 실패를 거울삼아 물을 막는 대신 물길을 터서 바다로 흐르게 하는 소통(疏通)’의 방법을 사용했다. 그는 13년 동안 쉬지 않고 전국의 강과 산을 돌아다니며 치수 사업에 전념했다. 전설에 따르면 우는 자신의 집 앞을 세 번이나 지나치면서도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할 수 없어 집에 들르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한 우의 헌신과 노력 덕분에 마침내 대홍수는 성공적으로 진정되었고, 농업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다. 이를 통해 하() 부족의 힘은 강성해졌고, 우는 주변 부족들의 지도자가 되었다.
 
순 임금은 나이가 들자 우를 후계자로 삼을 만한 인물로 판단하여 왕위를 그에게 물려주었다. 우의 제위 계승은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전까지는 덕 있는 인물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선양(禪讓)의 방식이 지배적이었으나, 우는 죽음에 임박하여 자신의 아들인 계()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이는 능력 위주의 선양이 아닌, 가족이나 씨족 중심의 세습 통치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선례가 되었고, 이로써 하 왕조는 세습 왕조의 시초를 열었다. 초기 하 왕조의 수도는 안읍(安邑)이었으며, 이후 양성(陽城)과 진훈(斟鄄, Zhenxun)으로 옮겨졌다고 전해진다.
 

3. 하 왕조의 연대기와 역사적 논란

 
하 왕조의 연대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유흠(劉歆, 기원전 53~23)의 계산에 기반한 전통적인 연대기는 하 왕조가 기원전 2205년부터 기원전 1766년까지 존속했다고 본다. 죽서기년의 "현행 본"에 기초한 연대기는 기원전 1989년부터 기원전 1558년까지를 하 왕조의 기간으로 제시한다. 데이비드 판케니어(David Pankenier)와 데이비드 니비슨(David Nivison)은 오행합일(五行合一)의 날짜와 이 죽서기년을 비교하여 기원전 1953년부터 기원전 1555년까지를 제안했다. 중국 정부가 1996년에 의뢰한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에서는 하 왕조가 기원전 2070년부터 기원전 1600년까지 존재했다고 추정한다.
 
그러나 하 왕조에 대한 당대 기록이 없으며, 가장 오래된 중국 텍스트에도 언급되지 않는다. 가장 오래된 갑골문(甲骨文) 기록은 상() 왕조 말기(기원전 13세기)에 해당한다. 초기 기록은 주로 서주 시대 초기의 상서 등에서 발견되며, 상 왕조를 주()가 정복한 것을 '천명'의 이동으로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하 왕조와 상 왕조의 계승 관계를 비유적으로 사용한다. 이 정치 철학은 동주 시대 유학파에 의해 더욱 널리 전파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하 왕조가 단순히 전설이거나 최소한 고고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고 본다. 반면, 어떤 학자들은 하 왕조를 얼리터우(二里頭) 문화(기원전 1900년경~기원전 1700년경)와 동일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확실한 증거, 예를 들어 남아있는 문자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4. 역대 군주들과 통치

 
사마천의 기록에 따르면 하 왕조는 시조 대우를 포함하여 총 17명의 군주가 통치했다. 다음은 주요 군주들이다.
 
 
  • 1: (, 45) - 하 왕조 창건자
  • 2: (, 10) - 우의 아들
  • 3: 태강(太康, 29) - 기의 아들
  • 4: 중강(仲康, 13) - 태강의 동생
  • 5: (, 28) - 중강의 아들
  • 6: 소강(少康, 21) - 상의 아들, 하 왕조 부흥
  • 7: (, 17) - 소강의 아들
  • 8: (, 26) - 주의 아들
  • 9: (, 18) - 문의 아들
  • 10: (, 16) - 망의 아들
  • 11: 불강(不降, 59) - 설의 아들
  • 12: (, 21) - 설의 아들, 불강의 동생
  • 13: (, 21) - 경의 아들
  • 14: 공갑(孔甲, 31) - 불강의 아들, 경의 조카, 근의 사촌
  • 15: (, 11) - 공갑의 아들
  • 16: (, 11) - 고의 아들
  • 17: (, 52) - 발의 아들, 여계(履癸)라고도 함. 하 왕조 최후의 군주
 
태강의 재위 중 발생한 단절기는 하 왕조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태강이 사냥을 떠난 사이 후예가 수도 진훈을 점령했고, 태강의 조카인 상의 재위 8년째 되던 해에는 후예가 그의 전임 대신 한착(寒浞)에게 살해당했다. 20년 후, 한착의 군대가 상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했으나, 왕실 가족은 탈출할 수 있었다.
 

5. 결론 : 전설 속 왕조의 그림자

 
하 왕조는 중국 역사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직접적인 고고학적 증거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하 왕조는 중국 문명 발전의 초기 단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한다. 상 왕조의 갑골문에서 하 왕조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를 남기지만, 후대의 다양한 사서들이 하 왕조를 꾸준히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은 하 왕조가 중국인의 집단 기억 속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하 왕조의 역사는 고대 중국의 사회, 정치, 그리고 문화적 진화를 탐구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있으며, 전설과 실제 역사 사이의 흥미로운 간극을 보여주는 사례로 연구되고 있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