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7일 수요일

[중국] 천하를 통일한 제국, 진(秦) : 짧지만 거대한 발자취

[중국] 천하를 통일한 제국, () : 짧지만 거대한 발자취

 
(, 기원전 221~기원전 206) 왕조는 중국 역사상 최초로 통일된 중앙집권적 제국을 건설한 왕조이다. 비록 불과 15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존속했지만, 진나라는 중국 역사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통일이라는 대업을 이루고 황제 체제를 확립하며 중국 제국의 기틀을 마련했다.
 

1. 변방에서 대국으로 : 춘추전국시대의 경쟁과 진나라의 성장

 
진나라의 기원은 주()나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900년경 주 효왕(周孝王, ?~?)을 시중들던 비자(非子)가 말 생산에 공을 세워 영()이라는 성을 받고 진() 땅에 영지를 받게 된다. 이후 기원전 770, 주 평왕(周平王)이 견융(犬戎)에 쫓겨 동쪽으로 천도할 때, 진 양공(秦襄公)이 호위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후의 반열에 올랐다. 이처럼 진나라는 원래 서쪽 변방의 작은 제후국으로 시작하여, 오랜 시간 동안 강력한 군사력을 기반으로 주변 부족들을 복속시키며 성장해나갔다.
 
특히 서주(西周) 왕실의 권위가 약화되고 동주(東周) 시대로 접어들면서, 중국은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기원전 771~기원전 221)'라는 혼란과 경쟁의 시대를 맞이했다. 수많은 작은 제후국들이 흥망을 거듭했고, 강력한 몇몇 국가들이 '전국칠웅(戰國七雄, )'으로 불리며 서로 패권을 다투었다. 끊임없는 전쟁과 정치적 변혁 속에서 각국은 생존을 위해 부국강병(富國強兵)을 추구했다.
 
이러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진나라는 기원전 4세기 중반 효공(孝公, 기원전 381~기원전 338)과 재상 상앙(商鞅, 기원전 390~기원전 338)이 단행한 '변법(變法, reforms)'을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상앙의 변법은 봉건제를 폐지하고 강력한 중앙집권적인 군현제(郡縣制)를 도입했으며, 엄격한 법치주의를 시행했다. 농업 생산을 장려하고 군공(軍功)에 따른 포상 제도를 마련하여 군사력을 혁신했다. 특히 일반 백성에게도 땅을 주는 대신 군역의 의무를 부과하고, 군공을 세우면 신분 상승의 기회를 제공하여 전투에서 병사들의 사기를 크게 높였다. 이러한 개혁을 통해 진나라는 인구, 경제력, 군사력 모든 면에서 다른 육국을 압도하는 강력한 국가로 변모했다.

진나라와 만리장성
진나라와 만리장성
 

2. 통일의 과정 : 진 시황제의 전략과 정복

 
진나라가 육국(六國)을 통일할 수 있었던 결정적인 계기는 소양왕(昭襄王, 기원전 325~기원전 251)과 효공의 변법으로 축적된 국력을 바탕으로, 진시황(秦始皇, 기원전 259~기원전 210)이라는 걸출한 지도자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진시황은 재상 이사(李斯, ?~기원전 208)와 함께 "멀리 있는 나라와 교류하고 가까이 있는 나라를 공격한다(遠交近攻)"는 전략을 펼치며 통일 전쟁을 시작했다. 이 전략은 육국이 '합종(合從)' , 진나라에 대항하여 남북으로 동맹을 맺는 것을 방해하고, '연횡(連橫)' , 동서로 연합하여 진나라와 손잡고 다른 나라를 공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육국의 단합을 와해시켰다.
 
기원전 260년경 지도
기원전 260년경 지도

기원전 230년부터 10년 동안 진시황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육국을 차례로 정복해나갔다.
 
  • ()나라 정복(기원전 230) : 육국 중 가장 약했던 한나라는 진나라의 공격에 가장 먼저 무릎을 꿇었다. 내사(內史) (, ?~?)이 이끄는 진군은 빠르게 한의 수도를 함락시키고 멸망시켰다. 이는 진시황 통일 전쟁의 첫 승리였다.
  • ()나라 정복(기원전 228) : 한나라 다음 목표는 조나라였다. 조나라는 과거 장평대전(長平大戰)에서 진나라에 크게 패하여 국력을 크게 소모했지만, 여전히 만만치 않은 저항을 보였다. 진나라는 간자(間者)를 활용하여 조나라 명장 이목(李牧, ?~기원전 229)을 제거하고, 마침내 수도 한단(邯鄲)을 함락시키며 조나라를 멸망시켰다.
  • ()나라 정복(기원전 225) : 위나라는 삼진(三晉 : , , ) 중 하나로 한때 가장 강성했지만, 이미 국력이 많이 약해진 상태였다. 왕분(王賁, ?~?)이 이끄는 진군은 위나라 수도 대량(大梁)을 포위하고 황하의 물을 끌어와 성을 수장시키는 방식으로 함락하여 위나라를 멸망시켰다.
  • ()나라 정복(기원전 223) : 초나라는 육국 중 가장 영토가 넓고 인구가 많아 강력한 저항이 예상되었다. 초기에는 진나라의 노장 왕전(王翦, ?~?)"60만 대군이 아니면 초나라를 정벌할 수 없다"고 주장했으나, 젊은 장군 이신(李信, ?~?)20만 대군으로 초를 공격하다 크게 패하는 등 고전했다. 결국 왕전이 60만 대군을 이끌고 투입되어 초나라의 명장 항연(項燕, ?~기원전 223)의 군대를 격파하고 수도 수춘(壽春)을 함락시키면서 초나라는 멸망했다. 이는 진나라 통일 전쟁 중 가장 큰 규모의 군사 작전이었다.
  • ()나라 정복(기원전 222) : 연나라는 조나라의 북쪽에 위치한 나라로, 진나라의 위협에 시달리던 연 태자 단(, ?~기원전 227)이 자객 형가(荊軻, ?~기원전 227)를 보내 진시황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이는 오히려 진시황에게 연나라를 공격할 명분을 주었다. 왕분과 이신이 이끄는 진군은 연나라를 공격하여 수도를 함락시켰고, 연왕 희(, ?~기원전 222)는 요동으로 도망쳤으나 결국 사로잡혀 멸망했다.
  • ()나라 정복(기원전 221) : 마지막으로 남은 제나라는 동쪽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위협을 덜 느꼈고, 진나라에 대한 방비가 소홀했다. 진시황은 왕분에게 연나라 정복 후 제나라를 공격하도록 명령했다. 진나라 군대가 갑작스럽게 남쪽 국경을 넘어 제나라로 진격하자, 제나라 군대는 무력하게 무너졌다. 진나라 장군 왕분은 제왕 건(齊王建, ?~?)에게 항복을 제안했고, 500리의 봉토를 약속했다. 재상 후승(后勝, ?~?)마저 항복을 권하자, 제왕 건은 결국 항복하고 제나라는 멸망했다. 그러나 항복 후 제왕 건은 봉토 대신 공성(共城)의 송백나무 숲에 연금되어 굶어 죽었다.
 
기원전 221, 진시황은 마침내 천하를 통일하고 '황제(皇帝)'라는 새로운 칭호를 사용하며 중국 최초의 통일 제국인 진 제국을 건설했다.
 

3. 진 시황제의 통치와 개혁

 
진시황은 통일 이후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하고 제국의 안정화를 위해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했다.
 
  • 군현제(郡縣制) 확립 : 재상 이사의 건의를 받아들여 기존의 봉건 제도를 폐지하고 전국을 36개의 군()으로 나누고 다시 현()으로 세분하여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이 직접 다스리도록 했다. 이는 강력한 중앙 집권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후 중국 왕조의 통치 체제로 자리 잡았다.
  • 도량형, 문자, 화폐, 수레 축의 폭 통일 : 제각기 달랐던 길이, 부피, 무게 등의 도량형, 다양한 서체의 문자, 그리고 각양각색의 화폐 단위를 통일하여 상업 활동을 원활하게 하고 문화적 통합을 이루었다. 심지어 수레의 축(車軌) 폭까지 통일하여 도로망 확충과 물류 이동의 효율성을 높였다.
  • 사상 통제와 분서갱유(焚書坑儒) : 진시황은 자신의 통치에 반대하는 사상을 억압하기 위해 의학, 점술, 농업 서적을 제외한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분서), 비판적인 유학자들을 생매장하는(갱유) 강압적인 정책을 펼쳤다. 이는 사상의 자유를 억압했지만, 통일 제국의 이념적 통일을 시도한 것이기도 했다.
  • 만리장성(萬里長城) 축조 : 북방 유목 민족인 흉노(匈奴)의 침입을 막기 위해 기존의 성벽들을 연결하고 증축하여 만리장성을 건설했다. 이 거대한 공사에는 수많은 백성이 동원되어 막대한 희생이 따랐다. 전설에 따르면 '진나라를 망하게 할 자는 호()이다'라는 예언을 듣고 흉노를 막기 위해 장성을 쌓았으나, 실제로는 '()'가 아들인 호해(胡亥, 기원전 229~기원전 207)를 의미했다는 야사도 전해진다.
  • 아방궁(阿房宮) 건설 및 진시황릉 조성 : 대규모 궁궐인 아방궁을 건설하고, 자신의 무덤인 진시황릉을 조성하는 데 막대한 국력을 쏟아부었다. 병마용(兵馬俑)으로 대표되는 진시황릉은 그의 위세와 동시에 과도한 백성 수탈을 보여준다.
 

4. 진나라의 급작스러운 몰락

 
진시황은 강력한 통치력을 바탕으로 제국을 유지했지만, 그의 사후 진나라는 급격히 쇠락의 길을 걷는다. 기원전 210년 진시황이 사망한 뒤, 환관 조고(趙高, ?~기원전 207)는 승상 이사(李斯, ?~기원전 208)와 공모하여 장자인 부소(扶蘇, ?~기원전 210) 대신 어린 호해를 2세 황제(진 이세황제, 기원전 229~기원전 207)로 옹립했다.
 
호해는 조고에게 휘둘려 폭정을 일삼고, 무자비한 형벌과 가혹한 세금으로 백성들의 불만을 극에 달하게 했다. 결국 기원전 209, 진승(陳勝, ?~기원전 208)과 오광(吳廣, ?~기원전 208)의 난을 시작으로 전국 각지에서 농민 봉기와 반란이 들불처럼 일어났다. ()나라의 항우(項羽, 기원전 232~기원전 202)와 한()나라의 유방(劉邦, 기원전 256~기원전 195)이 대표적인 반란군의 지도자였다.
 
진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자영(子嬰, ?~기원전 206)은 권력을 장악한 조고를 처형하며 잠시 안정을 꾀했으나, 이미 기울어진 국운을 되돌릴 수는 없었다. 결국 기원전 206, 자영은 항우에게 항복하며 진나라는 불과 15년 만에 멸망했다.
 

5. 진나라 역대 군주

 
대수시호이름재위 기간능묘비고
추존-비자(非子)BC 900년경 ~ BC 858년오래(惡來)의 5세손
추존진후(秦侯)미상BC 857년 ~ BC 848년비자의 아들
추존공백(公伯)미상BC 847년 ~ BC 845년미상진후의 아들
추존진중(秦仲)미상BC 844년 ~ BC 822년공백의 아들
추존장공(莊公)기(其)BC 821년 ~ BC 778년진중의 장남
1양공(襄公)미상BC 777년~BC 766년장공의 차남
2문공(文公)미상BC 765년~BC 716년양공의 아들
추존정공(竫公, 靖公)미상즉위하지 않음, 추존문공의 아들
3헌공(憲公)
영공(寧公)
미상BC 716년~BC 704년정공의 아들
4출자(出子)만(曼)BC 703년~BC 698년헌공의 막내아들
5무공(武公)미상BC 697년~BC 678년헌공의 장남
6덕공(德公)미상BC 677년~BC 676년헌공의 아들
무공의 동생
7선공(宣公)미상BC 675년~BC 664년덕공의 장남
8성공(成公)미상BC 663년~BC 660년덕공의 아들
선공의 동생
9목공(穆公, 繆公)임호(任好)BC 659년~BC 621년덕공의 아들
성공의 동생
10강공(康公)앵(罃)BC 620년~BC 609년목공의 아들
11공공(共公)화(和)
가(貑)
도(稻)
BC 608년~BC 604년강공의 아들
12환공(桓公)영(榮)BC 603년~BC 577년공공의 아들
13경공(景公)
희공(僖公)
석(石)BC 576년~BC 537년환공의 아들
후백거(后伯車)라는 이름은 잘못 전해진 것
14애공(哀公)미상BC 536년~BC 501년경공의 아들
추존이공(夷公)-애공의 아들
15혜공(惠公)미상BC 500년~BC 491년이공의 아들
16도공(悼公)미상BC 490년~BC 477년혜공의 아들
17여공공(厲共公)미상BC 477년~BC 443년도공의 아들
18조공(躁公)미상BC 443년~BC 429년여공공의 아들
19회공(懷公)미상BC 428년~BC 425년여공공의 아들
20영공(靈公)미상BC 424년~BC 415년회공의 손자,
진소자(秦昭子)의 아들
21간공(簡公)도자(悼子)BC 414년~BC 400년진소자의 동생
영공의 숙부
22혜공(惠公)미상BC 399년~BC 387년능어(陵圉)간공의 아들
23출공(出公)미상BC 386년~BC 385년혜공의 아들
24헌공(獻公)사습(師隰)
연(連)
BC 385년~BC 362년효어(囂圉)영공의 아들
25효공(孝公)거량(渠梁)BC 361년~BC 338년제어(弟圉)헌공의 아들
26혜문왕(惠文王)사(駟)BC 337년~BC 311년공릉(公陵)효공의 아들
BC 324년, 다시 개원 후 칭왕
27도무왕(悼武王)
무왕(武王)
무열왕(武烈王)
탕(蕩)BC 311년~BC 307년영릉(永陵)혜문왕의 아들
28소양왕(昭襄王)
소왕(昭王)
직(稷)
칙(則)
BC 306년~BC 251년지릉(芷陵)혜문왕의 아들
도무왕의 이복동생
29효문왕(孝文王)주(柱)BC 250년~BC 250년수릉(壽陵)소양왕의 아들
30장양왕(莊襄王)
장왕(莊王)
이인(異人)
자초(子楚)
BC 249년~BC 247년지양(芷陽)소양왕의 아들
31시황제(始皇帝)정(政)BC 246년~BC 210년진시황릉(秦始皇陵)장양왕의 아들
전국 통일 후 칭제
32이세황제(二世皇帝)호해(胡亥)BC 209년~BC 207년진이세황릉(秦二世皇陵)시황제의 아들
33-자영(子嬰)BC 207년이세황제의 조카
황제의 칭호를 포기
 
 

6. 진나라의 유산과 역사적 의의

 
진나라는 짧은 존속 기간에도 불구하고 중국 역사에 지대한 유산을 남겼다. 이들이 이룩한 중국의 통일과 황제 체제의 확립은 이후 약 2천 년간 중국 왕조의 기본적인 정치 형태로 자리 잡았다. 군현제, 문자, 도량형, 화폐 통일 등은 이후 중국 사회의 통합과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비록 그 통치 방식이 가혹하여 백성들의 큰 고통을 초래했고, 이로 인해 빠르게 멸망했지만, 진나라가 중국을 하나의 거대한 제국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다. 진나라는 이후 한() 왕조가 발전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으며, 중국 문명의 큰 흐름을 결정지은 전환점으로 기억된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