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7일 수요일

[고대 근동] 고바빌로니아 제국(BC 1894~1595) : 함무라비 법전으로 다스려진 땅

[고대 근동] 고바빌로니아 제국(BC 1894~1595) : 함무라비 법전으로 다스려진 땅

 
고바빌로니아 제국(Old Babylonian Empire) 또는 제1 바빌로니아 제국(First Babylonian Empire)은 기원전 약 1894년부터 기원전 1595년까지 메소포타미아의 바빌로니아 지역을 지배했던 강력한 고대 국가였다. 이 제국은 수메르(Sumer) 문명의 중심이었던 우르 제3왕조(Third Dynasty of Ur)의 붕괴와 그 이후의 이신-라르사(Isin-Larsa) 시대가 끝난 후에 등장했다. 고바빌로니아의 연대표는 아직 학자들 사이에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대체로 널리 사용되는 바빌로니아 왕 목록 A’(Babylonian King List A)의 연대를 따른다. 이 시기는 바빌론이라는 도시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새로운 중심지로 떠오르며 고대 근동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1. 바빌론 기원의 수수께끼 : 숨겨진 역사적 증거

 
1 바빌로니아 왕조의 기원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그 주된 이유는 바빌론 도시 자체가 높은 지하수면(water table) 때문에 발굴된 고고학적 유적물이 온전히 남아있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유적 대부분이 진흙으로 변해버려 고고학자들이 많은 자료를 얻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고고학적 제약 속에서도 이 시기의 역사를 추적할 수 있는 증거들은 주로 왕실과 봉헌(奉獻) 비문, 문학 작품, 그리고 연호 목록(year-name lists)과 같은 서면 기록들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경제 및 법률 관련 문서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제1 바빌로니아 왕조의 경제적, 사회적 역사를 명확하게 그리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문학에 묘사된 역사적 사건들과 연호 목록 덕분에 당시의 연대기를 어느 정도 확립할 수 있었다.
 

2. 왕조 초기의 시작 : 아모리인의 도래

 
바빌로니아의 제1 왕조는 수무-아붐(Sumu-abum, 기원전 약 1894~기원전 1881)을 시작으로 하는 아모리인(Amorite) 계통의 통치자들이 세웠다. 아모리인들은 메소포타미아 서부에서 이주해 온 셈족 계열의 유목민 부족이었다. 수무-아붐부터 신-무발리트(Sin-muballit, 기원전 약 1812~기원전 1793)에 이르는 초기 왕들에 대해서는 많은 것이 알려져 있지 않다. 그들이 아카드인(Akkadians)이 아닌 아모리인이었다는 사실 외에는 통치 기간 동안 영토를 크게 확장하지 못했다는 정도가 고작이다. 당시 바빌론은 이신(Isin)과 라르사(Larsa)를 비롯한 여러 강력한 도시 국가들 중 하나에 불과했다. 이처럼 초기 바빌론은 메소포타미아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소규모 강국 중 하나였다.
 

3. 함무라비 왕의 등장 : 제국의 건설과 메소포타미아의 지배

 
고대 바빌로니아 제국의 황금기는 아모리인 출신인 함무라비(Hammurabi, 기원전 약 1792~기원전 1750) 왕의 등극과 함께 시작되었다. 그는 바빌론 제1 왕조의 가장 주목할 만한 왕으로 평가받는다. 함무라비는 그의 통치 30년째 되는 해, 라르사(Larsa)의 림-1(Rim-Sin I)를 정복하여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그는 니푸르(Nippur), 우르(Ur), 우루크(Uruk), 이신(Isin)과 같은 풍요롭고 중요한 도시 중심지들을 장악할 수 있었다.
 
함무라비는 이러한 군사적 승리를 통해 바빌론을 자신의 제국 중심지로 확고히 다졌다. 그의 통치 아래 바빌론은 천 년 이상 메소포타미아를 지배하는 강력한 권력의 중심이 되었다. 흥미롭게도 바빌론에 남아있어야 할 함무라비 시대의 기록들은 지하수면 때문에 대부분 진흙으로 변하여 복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인근 마리(Mari)의 왕 짐리-(Zimri-Lim)의 궁정에서 발견된 방대한 양의 서신과 문서들은 함무라비 시대 바빌로니아의 역사와 외교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이 문서들은 함무라비와 짐리-림 사이의 동맹, 그리고 시리아-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다른 지도자들과의 관계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마리 궁정이 함무라비에 의해 불타버린 덕분에 이 자료들은 역설적으로 진흙 속에 묻혀 보존될 수 있었다. 당시 시리아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전쟁은 흔한 일이었고, 따라서 이 시대 문서의 대부분은 군사 문제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 서류들에는 왕들의 사절이 작성한 편지, 분쟁, 신성한 맹세, 그리고 각 세력 간의 합의와 조약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바빌론 제1왕조의 왕국 지도 : 함무라비(기원전 1792~1750년, 중간 연대 기준) 시대
바빌론 제1왕조의 왕국 지도 함무라비(기원전 1792~1750중간 연대 기준) 시대
 

4. 함무라비의 후계자들 : 쇠퇴의 그림자

 
함무라비 이후의 왕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삼수일루나(Samsuiluna, 기원전 약 1749~기원전 1712)부터 삼수-디타나(Samsu-Ditana, 기원전 약 1626~기원전 1595)에 이르는 왕들의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매우 드물다. 삼수일루나는 림-2(Rim-Sîn II)를 성공적으로 물리쳤음에도 불구하고, 함무라비 시대에 정복했던 바빌론의 광대한 영토 중 상당 부분을 잃었다. 그는 오직 바빌론 영토의 핵심 지역에만 실질적인 권한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의 후계자들 또한 삼수일루나와 유사한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으며 바빌로니아 제국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
 
1 바빌로니아 왕조는 결국 영토와 재정을 잃고 점차 쇠락의 길을 걸었다. 중앙 권력이 약화되고 내부 혼란이 가중되면서, 외부 세력의 침략에 취약해졌다.
 

5. 고바빌로니아 제국의 종말 : 히타이트족의 침략

 
1 바빌로니아 왕조는 외부 침략으로 인해 최종적인 멸망을 맞이했다. 아나톨리아(Anatolia) 외부로 영토를 확장하려던 히타이트(Hittites)족의 끊임없는 공격은 결국 바빌론 도시의 파괴로 이어졌다. 기원전 약 1595, 히타이트의 침공으로 바빌론이 함락되면서 제1 바빌로니아 왕조는 멸망했다. 바빌론이 몰락할 무렵에는 이미 카시트인(Kassite)들이 바빌로니아 지역에 150년 이상 거주하고 있었으며, 때로는 바빌론의 이익에 부합하게, 때로는 대항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1 바빌로니아 왕조의 멸망 이후에는 카시트 왕조(Kassite Dynasty, 기원전 1570~기원전 1154)가 바빌로니아를 통치하게 된다.

6. 고바빌로니아 제국 통치자들


번호이름재위기간비고
1수무아붐
Sumuabum
[MC] c.1894~1881 BC
[SC] c.1830~1817 BC (14 years)
왕위 계승 과정이 명확하지 않다. 일루슈마(Ilushuma)와 동시대
바빌로니아 왕 목록에서 이름이 처음으로 기록된 왕이다.
2수무라엘
Sumulael
[MC] c.1881~1845 BC
[SC] c.1817~1781 BC (36 years)
왕위 계승 과정이 명확하지 않다. 에리슘 1세(Erishum I)와 동시대
3사붐
Sabum
[MC] c.1845~1831 BC
[SC] c.1781~1767 BC (14 years)
수무라엘(Sumulael)의 아들. 나람신(Naramsuen)과 동시대
4아필-신
Apil-Sin
[MC] c.1831~1813 BC
[SC] c.1767~1749 BC (17 years)
사붐(Sabum)의 아들. 에리슘 2세(Erishum II)와 동시대
5신-무발리트
Sin-muballit
[MC] c.1813~1792 BC
[SC] c.1748~1729 BC (19 years)
아필-신(Apil-Sin)의 아들. 다미크-일리슈(Damiq-ilishu)와 동시대
6함무라비
Hammurabi
[MC] c.1792~1750 BC
[SC] c.1728~1686 BC (43 years)
신-무발리트(Sin-muballit)의 아들. 처음으로 중요한 통치자
짐리-림(Zimri-Lim), 시웨-팔라르-쿠팍(Siwe-Palar-Khuppak), 샴시-아다드 1세(Shamshi-Adad I)와 동시대
기원전 1810년경에 태어나 기원전 1750년경에 죽었다
7삼수일루나
Samsuiluna
[MC] c.1750~1712 BC
[SC] c.1686~1648 BC (38 years)
함무라비(Hammurabi)의 아들
간다시(Gandash), 일룸-마-일리(Ilum-ma-ili), 이쉬메-다간 1세(Ishme-Dagan I)와 동시대
기원전 1712년경 사망
8아비에슈
Abieshu
[MC] c.1712~1684 BC
[SC] c.1648~1620 BC (28 years)
삼수일루나(Samsuiluna)의 아들
아굼 1세(Agum I), 이티-일리-니비(Itti-ili-nibi), 아다시(Adasi)와 동시대
9암미디타나
Ammiditana
[MC] c.1684~1647 BC
[SC] c.1620~1583 BC (37 years)
아비에슈(Abieshu)의 아들
아비-라타쉬(Abi-Rattash), 이스키발(Ishkibal), 샤르마-아다드 1세(Sharma-Adad I)와 도잇대
10암미사두카
Ammisaduqa
[MC] c1647~1626 BC
[SC] c.1582~1562 BC (21 years)
암미디타나(Ammiditana)의 아들
슈슈시(Shushushi), 바자야( Bazaya)와 동시대
‘아미사두카의 금성 태블릿’이라는 고대 천문 기록에서 확인된다
11삼수디타나
Samsuditana
[MC] c.1626~1595 BC
[SC] c.1562~1531 BC (31 years)
암미사두카(Ammisaduqa)의 아들
카슈틸리아쉬 2세(Kashtiliash II), 굴키샤르(Gulkishar), 룰라야(Lullaya)와 동시대
주로 히타이트인들의 바빌론 약탈 사건 때문에 알려져 있다
 
고바빌로니아 제국은 비록 외세의 침략으로 막을 내렸지만, 함무라비 왕을 중심으로 이룩한 메소포타미아의 통일과 안정은 이후 바빌로니아 문화와 정치의 중요한 유산으로 남았다. 바빌론은 고대 근동의 중심지로서 그 위상을 확고히 했고, 이는 후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함무라비의 통치 방식과 도시 경영 철학은 이후 왕조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