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소테르(Pope Soter, AD.?~c.174) : 제12대 교황(AD.c.167~174)
- Pope Soter [Greek : Σωτήρ / Latin : Soterius]
- 출생 : 미상 / Fundi, Italy, Roman Empire
- 사망 : 174년경 / Rome, Italy, Roman Empire
- 재위 : 167년경 ~ 174년
![]() |
폰디(Fondi) 출신인 교황 소테르(Pope Soter)의 현대 조각 흉상으로, 시대착오적인 교황관(papal tiara)을 쓰고 있다 |
1. 초기 교회의 한가운데 : 교황 소테르의 등장
고대 로마 제국 2세기 중후반, 초기 기독교는 박해와 함께 내외적인 성장통을 겪고 있었다. 사도들의 직접적인 가르침을 이어받은 2세대, 3세대 신자들이 공동체를 이끌었고, 로마 교회는 사도 베드로와 바울의 순교지이자 제국의 수도라는 상징성 덕분에 점차 서방 교회의 중심으로서 그 위상을 확립해나가고 있었다.
이러한 격동적인 시기에 교황 소테르(Pope Soter, 재위 기원전 166년경 – 174년/175년)가 제12대 로마 주교로서 로마 교회를 이끌었다. 그의 이름 '소테르(Soter)'는 그리스어로 '구원자' 또는 '해방자(σωτήρ)'를 뜻한다고 알려졌다. 그는 오늘날 이탈리아 캄파니아주 폰디(Fondi) 출신이었다. 소테르 교황의 재위 기간은 로마 제국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Marcus Aurelius)와 루키우스 베루스(Lucius Verus) 황제의 공동 통치기와 맞물려 있었다. 그는 혼란스러웠던 시대 속에서 로마 교회의 교리와 질서를 정비하고, 기독교 공동체에 안정을 불어넣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교회 의례의 정립 : 혼인과 부활절의 중요성
교황 소테르의 재위 기간 동안, 로마 교회는 내부적으로 중요한 의례적, 교리적 정비를 시작했다. 이는 기독교가 단순한 신앙 공동체를 넘어 체계적인 조직으로 발전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이었다.
- 혼인성사의 중요성 강조 : 소테르 교황은 성직자가 주재하는 혼인만이 성사적으로 유효한 혼인으로 인정된다는 규정을 강조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당시 로마 사회에 만연했던 다양한 형태의 혼인 관계 속에서 기독교적 혼인의 신성함과 교회법적 정통성을 확립하려는 노력으로 해석된다. 교회가 혼인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신자들의 삶에 깊이 개입하고 기독교적 가치관을 공동체 전반에 뿌리내리려는 의도가 담겨 있었다. 이는 오늘날 가톨릭교회에서 혼인성사를 중시하는 전통의 중요한 초석이 되었다.
- 예수 부활 대축일의 공식화 : 또한 그는 예수 부활 대축일(Easter)을 로마 교회의 연례행사에 정식으로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부활절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념하는 가장 중요한 축일이다. 당시 부활절을 지키는 날짜와 방식에 대해서는 지역 교회마다 다양한 관습이 존재했고, 이로 인해 '부활절 논쟁'과 같은 교리적, 의례적 갈등이 벌어지기도 했다. 소테르가 부활 대축일을 로마 교회의 연례 행사로 공식화했다는 것은, 로마 교회가 이 중요한 축일을 교회의 공식적인 예전 주기 속에 확고히 편입시키고, 이를 통해 로마 교회의 liturgical identity(예전적 정체성)를 강화하려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로마 교회가 신학적, 의례적으로 중심적인 역할을 해나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이러한 결정들은 교회의 초기 조직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교황 소테르는 개별 신자들의 신앙 생활에 교회가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교회의 연간 예전 주기를 공식적으로 정비함으로써 로마 교회의 질서와 통일성을 강화하려 노력했던 것이다.
3. 코린토의 디오니시오 : 칭송받는 자선과 애덕
소테르 교황의 통치기를 가장 잘 보여주는 기록 중 하나는 코린토의 디오니시오(Dionysius of Corinth)의 증언이다. 코린토는 그리스의 중요한 도시이자 사도 바울이 선교 활동을 펼쳤던 유서 깊은 교회 공동체였다. 디오니시오는 그곳의 주교로서 당대 교회의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는 로마 교황 소테르가 "가난하고 쫓기는 신세가 된 그리스도교도들에 대한 자선과 애덕을 실천했다"며 아낌없는 칭송을 보냈다고 한다. 이러한 칭송은 당시 로마 교회가 단순한 종교적 집단을 넘어, 사회적 약자들을 돌보고 어려움에 처한 형제자매들을 돕는 중요한 구호 활동을 펼쳤음을 보여준다. 초기 기독교는 물질적인 자원을 모아 어려움에 처한 교회의 구성원들을 돕는 '사랑의 식탁'을 실천했고, 이는 이교도 사회에서도 기독교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디오니시오의 이러한 칭송은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첫째, 로마 교회가 당시 기독교 세계에서 가장 부유하고 조직화된 교회 중 하나로서, 다른 지역 교회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하고 어려움에 처한 공동체에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음을 보여준다. 둘째, 이는 로마 교회가 단순한 지역 교회가 아니라, 다른 지역 교회들로부터 인정받고 존경받는 중심적인 위치에 있었음을 증명한다. 디오니시오의 편지는 초기 로마 교회의 국제적 영향력과 교황 소테르의 훌륭한 리더십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4. 성인 시성과 순교자 논란 : 역사적 재평가의 흐름
교황 소테르는 사후 성인(聖人)으로 시성되었으며, 그의 축일은 4월 22일로 지정되어 있다. 흥미롭게도 그의 축일은 성 카이오(Pope Caius, 재위 283–296) 교황과 같은 날짜로 기록되어 있다. 이는 두 성인이 어떤 특정 연관성을 가지고 동시에 기념되었음을 시사한다.
오랫동안 초기 교황들은 대부분 순교자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박해 속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교회의 수장이었던 이들이 신앙을 지키다 목숨을 바쳤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추정과 순교 정신을 기리는 교회의 오랜 전통 때문이었다. 《로마 순교록(Martyrologium Romanum)》 또한 이러한 추정을 받아들여 많은 초기 교황들에 대해 '순교했거나 순교했던 것으로 전해진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소테르에 대해서는 《로마 순교록》에 순교에 관하여 어떠한 언급도 없었다는 점이 특이하다. 그리고 1969년, 가톨릭교회의 전례력이 개정될 때, 소테르와 카이오 두 교황이 순교자라는 어떠한 증거도 없다는 판단 아래, 순교자라는 칭호는 최종적으로 사라졌다. 이는 현대 역사학과 비판적 성서 연구의 발전과 함께, 과거의 기록들을 더욱 면밀하게 검토하고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성인들의 행적을 재평가하려는 교회의 노력을 보여준다. 이제 소테르 교황은 순교자가 아닌 '고해자 성인(confessor saint)'으로서, 즉 신앙을 증거하며 순교는 하지 않았지만 굳건한 신앙을 지켰던 인물로서 기념되고 있다.
5. 초기 로마 교회의 발전과 교황 소테르의 유산
교황 소테르의 재위 기간은 로마 교회가 2세기 중후반의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조직적, 교리적으로 발전해나가는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그의 시대는 베드로로부터 이어지는 로마 주교의 권위가 점차 강화되고, 다른 지역 교회들과의 관계에서 로마 교회가 '수위권(primacy)'을 행사하기 시작하는 시점과 맞물린다.
소테르는 명확한 혼인 규정 마련과 부활절의 공식화를 통해 교회의 내부 질서를 견고히 하고, 신자들의 신앙생활에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했다. 코린토의 디오니시오의 증언처럼, 로마 교회의 자선 활동은 재정적 지원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연대감을 통해 초기 기독교 공동체 전체의 통합과 성장에 기여했다. 이는 로마 교회가 가진 단순한 '힘'이 아닌, '사랑'과 '돌봄'이라는 기독교적 가치를 통해 그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비록 그의 이름이 알렉산드로스나 함무라비처럼 화려한 정복자로서 역사에 기록되지는 않았지만, 소테르 교황은 초기 로마 교회의 토대를 닦고, 훗날 거대한 가톨릭교회의 모습을 만들어나가는 데 조용하지만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시대는 서방 교회가 교리적 정통성과 조직적 안정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는 순간이었고, 이는 고대 로마에서 세계적인 종교 공동체로 발전하는 기독교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기억될 것이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