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2일 화요일

막시미누스 트락스(Maximinus Thrax, AD.c.173~238) : 로마 제국 제25대 황제(AD.235~238)

막시미누스 트락스(Maximinus Thrax, AD.c.173~238) : 로마 제국 제25대 황제(AD.235~238)

 

로마 황제 막시미누스 트락스, 3세기 위기의 문을 연 병영 군주

 
막시미누스 트락스(Maximinus Thrax, 173~238)2353월에 군단의 추대로 즉위하여 2386월경 암살로 생을 마감한 로마 황제이다. 트라키아계 출신이라는 별칭이 말해주듯 속주 출신의 군인이 중앙 권력을 장악한 사례이며, 그의 집권은 통설상 ‘3세기 위기의 본격적 개막으로 이해된다. 그는 라인 전선에서 장성으로 성장해 세베루스 알렉산데르(Severus Alexander, 208~235) 치하의 고위 지휘관에 올랐고, 알렉산데르가 235년에 살해되자 야전군의 추대로 황좌에 올랐다.

막시미누스 트락스(Maximinus Thrax, AD.c.173~238) : 로마 제국 제25대 황제(AD.235~238)
 

출신과 부상, 국경 군단이 키운 장군

 
막시미누스는 트라키아계 혈통으로 전해지며, 로마 시민권 엘리트가 아닌 군 경력만으로 최고 권좌에 오른 상징적 인물이다. 라인 방면 야전군에서 체계적으로 승진하며 최고위 지휘관에 이르렀고, 현장 지휘를 통해 군단의 신뢰를 축적하였다. 그의 즉위 경로는 원로원 중심 합의가 아니라 병력의 충성에 기댄 새로운 권력 상승 채널을 보여준다.
 

즉위와 ‘3세기 위기의 개막

 
세베루스 알렉산데르가 235년에 살해되자, 라인 전선의 군단은 현장에서 막시미누스를 황제로 선포하였다. 이 순간부터 원로원ㆍ수도ㆍ군단 사이의 권력 축이 급격히 병영 중심으로 이동하였고, 내전과 반란이 반복되는 ‘3세기 위기국면이 시작되었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그의 즉위는 합법성의 근거가 시민·원로원의 추인에서 군단의 사실상 무력 지지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
 

통치 기조, 군비 증액과 과세 강화

 
막시미누스는 군대의 충성 확보를 위해 병사 급여를 대폭 상향하고(“두 배 인상으로 전한다), 연속적인 원정과 전투를 전개하였다. 그 대가로 조세가 가중되었고, 징세 과정에서 폭력적 수단과 불법적 압수가 발생하면서 지배층과 일반 시민의 반감을 샀다. 그의 통치는 군사 우선의 재정 구조와 사회적 긴장을 동시에 심화시켰다는 점에서 장기 불안의 씨앗을 키웠다.
 

종교 정책 논쟁, 235년 박해 전승의 해석

 
초기 교회사 기록인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Eusebius of Caesarea, 260/265~339)는 막시미누스가 전임 체제와 가까운 교회 지도자들을 적대하며 교회 수장을 처형하도록 명했다는 전승을 전한다. 로마의 히폴리투스(Hippolytus of Rome, 170~235)와 교황 폰티아누스(Pope Pontian, ?~235)의 유배도 이 맥락에서 설명되곤 한다. 다만 최근 연구는 그러한 박해가 황제의 직접 명령에 따른 제국적 조치라기보다 일부 속주에서 지역적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을 높게 본다.
 

외모 전승과 사료 비판

 
고대 사료는 막시미누스의 비상한 체격과 위압적 용모를 강조한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4세기)‘8피트전승은 과장으로 간주되며, 현대 학계는 헤로디아노스(Herodian, 170~240)의 보다 절제된 진술에 무게를 둔다. 고대 조각은 이마ㆍ코ㆍ턱이 도드라진 인상을 보여주는데, 이를 근거로 말단비대증을 추정하는 견해도 있으나 확증적 근거는 없다. ‘거구의 야만적 군인이라는 상투적 도상에 대한 경계가 필요하다.
 

238여섯 황제의 해’, 반란과 로마 원정

 
238년에 속주 아프리카에서 반란이 일어나 고르디아누스 일가가 황제로 추대되자, 막시미누스는 이탈리아로 진군하였다. 그러나 아퀼레이아가 항복을 거부하며 성문을 닫았고, 예기치 못한 공성전에서 병참과 사기가 급속히 악화하였다. 결국 그의 진영에서 제2 파르티카 군단(II Parthica) 병사들이 그와 아들, 핵심 참모를 살해하였다. 그는 즉위 후 한 번도 로마 도성에 입성하지 못한 황제로 남았다.
 

사후 정국, 공동 황제와 고르디아누스 3세로의 이행

 
막시미누스가 제거되자 푸피에누스(Pupienus, ?~238)와 발비누스(Balbinus, ?~238)가 공동 황제로 추대되었다. 그러나 두 사람은 서로를 불신했고, 곧 근위대의 난입으로 살해되었다. 살아남은 황제는 고르디아누스 3(Gordian III, 225~244) 하나뿐이 되었다. 이 일련의 사건은 중앙 권력의 취약성과 병영 정치의 과잉을 압축하여 보여준다.
 

통치 평가, 군사화된 제정의 전환점

 
막시미누스의 통치는 로마 국가가 군단의 충성이라는 단일 축에 과도하게 의존할 때 발생하는 정치적 취약을 드러낸다. 군비 확대와 강압적 재정은 단기 충성은 얻을 수 있으나, 속주ㆍ도시ㆍ원로원과의 연합을 해체하고 폭발적 반작용을 낳는다. 그가 3세기 위기의 기점으로 지목되는 이유는, 제국의 합법성과 재정·군사 구조가 군영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되는 전환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핵심 연표

 
  • 173년경 : 트라키아계 가문 출생.
  • 2353: 세베루스 알렉산데르가 살해된 뒤 야전군의 추대로 즉위.
  • 235~237: 라인ㆍ다뉴브 변방에서 전선 유지와 원정 전개.
  • 2384~6월경 : 이탈리아 원정 중 아퀼레이아 포위, 병참ㆍ사기 악화.
  • 2385~6월경 : 2 파르티카 군단 병사에게 암살되다.
  • 238: 푸피에누스ㆍ발비누스 공동 즉위, 곧 피살 후 고르디아누스 3세가 유일 황제가 되다.
 

사료와 읽기, 무엇을 믿고 무엇을 걸러야 하는가

 
막시미누스에 관한 1차 서사는 카시우스 디오의 단편, 헤로디아노스의 서술,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의 전기 등으로 전하는데, 신빙성과 편향이 제각각이다. 과장되거나 선정적인 대목은 교차 검증이 필요하며, 조각ㆍ주화ㆍ비문 등의 물질 자료와 함께 읽어야 정확도가 높아진다. 그의 이미지를 거구의 폭군으로 고정하는 대신, 병영 권력의 구조적 맥락에서 평가하는 시각이 요구된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요비아누스(Jovian, AD. 331~364) : 로마 제국 제47대 황제(AD.363~364)

요비아누스 (Jovian, AD. 331~364) : 로마 제국 제47대 황제(AD.363~364)   플라비우스 요비아누스 (Flavius Jovianus) Ancient Greek : Ἰ οβιανός , Iobianós 부친 : 바로니아누스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