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휘(李東輝) 1873-1935. 기독교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아호는 성재(誠齋)
【1873년】
- 1873년 12월 3일 함남 단천군 피도면 대성리에서 아전 이승교(李承橋)의 아들로 태어났다.
- 이동휘의 아버지 이승교(=이발)도 한일합방 이후 자신의 아들처럼 독립운동가였다. 훗날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이 된 박은식, 사이토 마코토에게 폭탄을 던진 강우규와 함께 독립운동 단체인 노인동맹단에서 활동하였고, 1919년 5월 노인동맹단 경성 만세운동 때 체포된 적도 있다.
- 본관은 하빈(河濱). 호는 성재(誠齋)이며 대자유(大自由)라는 이름도 썼다
【1881년】
- 8세 때부터 향리 대성제에서 한학을 수학하였다.
【1890년】
- 1890년 이동휘는 17세의 나이로 단천 네해진에 사는 18세의 강정혜와 결혼했다.
【1891년】
- 18세 때 단천군에서 통인(通引, 지방관장의 잔심부름군)으로 일했다. 그러나 관아의 탐관오리에 혐오를 느끼고 얼마 후 상경하였다.
- 이동휘의 평생 동지였던 계봉우의 회고에 따르면 당시 사건은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고 한다. [당시 단천군수는 왕족인 이계선이라고 한다]
“그는 청년시대에 단천인 통인으로서 군수의 옳지 못한 행위에 격분하여 화로로 군수를 쳤으니, 그때의 그 처지로서는 비록 협긔가 있는 남아라도 저마다 못 할 일인데, 그에게는 그런 협긔가 있엇다. 그러나 그에게 붙잡히기만 하면 죽고 남지 못할 일이엇다. 생각하면 도망하는 그 밖에는 다른 계책이 없엇던 것이다. 서울에 올라가서 단발하고 사관학교에 입학하게 된 원인이 거기에 있엇다. 그때의 형편에는 용감력이 있는 사람이라도 단발하는 그 일을 그리 쉽게 단행할 수 없는데 그에게는 그런 용감력이 있었다.”
【1895년】
- 이용익(李容翊)의 주선으로 한성무관학교(漢城武官學校)에 입학하였으며 이를 졸업 후 참위로 임관, 궁정진위 대장에 임명되어 고종을 경호했다.
【1902년】
- 개혁당을 조직하여 개화운동을 했다.
- 1902년 7월 강화진위대 대장으로 부임하였고 1907년 7월 한일협약에 의하여 한국군이 강제 해산될 당시까지 참령으로 강화진위대를 이끌었다.
【1903년】
- 이동휘는 미국인 선교사 D.A. 벙커와 박능일이 운영하던 사숙 잠무의숙(岑茂義熟)을 기반으로 1903년 11월 강화도 최초의 근대적 사립학교인 합일학교(合一學校)를 설립했다. 그 뒤 주민들을 상대로 기독교 포교 활동을 벌였고 그를 존경하던 강화 주민들 중 상당수가 기꺼이 기독교에 입교했다.
【1904년】
- 이동휘는 1904년 보창학교(普昌學校)를 설립한 뒤 이곳을 구국 인재 양성을 위한 모범 학교로 발전시키려 했다.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1905년에 서립]
- 그는 이종호와 함께 대표적인 교육가로 손꼽혔고 보창학교는 이종호가 설립한 보성학교(普成學校), 이준이 설립한 보광학교(普光學校)와 함께 “교육의 삼보(三寶)”라고 불렸다.
【1906년】
- 1906년 애국계몽운동에 투신하기 위해 군직(軍職)을 사임한 뒤, 강화도에 보창학교(普昌學校)를 설립하는 한편, 대한자강회 결성에도 관여하는 등 민족주의 교육과 애국계몽운동에 적극 노력하였다.
- 1906년 10월에는 이준ㆍ오상규ㆍ유진호ㆍ설태회 등 함경도 출신 청년들을 중심으로 한북흥학회(漢北興學會)를 조직하였다.
【1907년】
- 1907년 초부터 김광제, 서상돈, 이준, 이도재, 양기탁, 장지연, 박은식 등을 중심으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하여 양기탁, 안창호 등과 함께 국채보상연합회의소(國債報償聯合會義所)의 총무로 활동했다.
- 그는 또한 1906년 미국에서 귀국한 안창호 등과 함께 신민회 창립멤버로도 활약하였고 서북학회의 활동을 통하여 평양에 대성(大成)학교, 정주에 오산(五山)학교를 설립하는 등 눈부신 활동을 펼쳤다.
【1908년】
- 1908년 1월 3일, 한북흥학회를 서우(西友)학회와 합하여 서북학회로 재창립하여 발전시켰는데, 이 단체는 이동휘ㆍ이갑ㆍ안창호ㆍ유동설 등이 중심이 되어 회보간행, 순회강연을 통한 민중계몽, 애국사상 및 항일정신 고취에 앞장섰으며 서북오도를 상징하는 뜻으로 오성(五星)학교를 설립, 후진양성에서도 매진하였다.
- 1908년 8월 서북학회는 함경도 지역의 교육 진흥과 지회⋅지교 설립을 위하여 이동휘를 함경도 모금위원으로 파견하였다. 이후 1909년 5월까지에 이르는 10개월 동안 이동휘는 함경도 전 지역을 순행⋅연설하며 서북학회의 지회와 학교설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동휘는 지방 유지들을 자극하여 학교들을 설립하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노력으로 함경도 각지에 수많은 학교들이 설립되었다.
【1909년】
- 1909년 3월 군대 동지 연기익(延基翊)ㆍ김동수(金東秀) 등과 더불어 강화도 전등사(傳燈寺)에서 의병조직을 모의하다가 실패, 일헌에 체포되어 인천 앞바다 대무의도(大舞衣島, 혹은 백령도)에 그해 10월까지 유배되었다. 이때 강화도 선교사 벙커(D. A. Bunker, 房巨)의 도움으로 풀려났으며 그즈음 기독교인이 되었다.
- 이 해에 이동녕(李東寧)K안창호(安昌浩) 등과 신민회(新民會) 산하 무관학교와 독립군기지를 물색하기 위해 만주 일대를 답사하였다.
【1910년】
- 1910년 4월 7일, 신민회는 국내 최후의 간부회의를 개최하여 망명할 인사와 국내에 남을 인사를 결정하여 국내외에서 민족운동을 계속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하여 안창호와 이갑은 청도(靑島)를 거쳐 구미 지역으로, 이동녕은 연해주로, 이동휘는 북간도로, 이회영⋅이시영 형제와 최석하는 서간도로,조성환은 북경지역에서 각각 동포사회를 단합⋅조직하여 민족운동의 근거를 마련하기로 하였다. 이들의 해외운동에 필요한 자금은 이종호가 맡기로 하였다. 또한 한성은 전덕기, 평양은 안태국, 평북 일원은 이승훈, 황해도는 김구 등이 맡기로 했다.
- 하지만 이동휘는 바로 북간도로 가지 않고 국내에 남아 사태의 추이를 지켜봤다. 그러다 1910년 8월 3일, 성진에서 “배일론의 선두자이며 일한합방을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위험한 인물”이라고 판단한 일제 경찰에 의해 제포되어 한성으로 압송되어 총감부에 수감되었다.
- 8월 29일 한일병합이 정식 공포된 뒤 석방된 그는 기독교를 전파하는 전도사로서 각지를 순회했다. 한일병합 10여 일 후 평북 선천에서 개최된 예수교 장로교회 평북노회에 참여했는데, 당시 그를 만난 곽림대는 이동휘가 “2년 후에 우리가 독립 전쟁을 할 터이니 그동안 청년들을 연락하여 가지고 기다리라”고 하였다고 회고했다.
【1911년】
- 1911년 1월, 이동휘는 조수인 김철, 오상언 등을 대동하고 성진을 떠나 회령에서 5일간 전도 활동을 한 뒤 1월 26일에 회령을 출발해 간도에 도착했다. 그는 북간도 교회를 방문하여 조국애와 기독교 입교, 그리고 한인들 간의 일치단결을 역설했다. 특히 1911년 2월 12일에는 용정의 명동교회에서 대사경회를 열어 200여 명을 상대로 설교했다.
- 비밀결사 광복단(光復團)을 조직하여 항일 운동을 꾀한 뒤 국내로 복귀한 이동휘는 1911년 3월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성진에서 체포된 뒤 한성 경무총감부로 압송되었다. 그는 정식 기소되지는 않았으나 일종의 행정 처분으로 유배형에 처해졌다. 이후 인천부 대무의도(大舞衣島)에 1년간 원도안치(遠島安置) 처분을 당했다.
- 이러한 여러 가지 활동으로 일경에 지목된 그는 1911년 일헌이 날조한 「기독교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다가 기소는 면하고 풀려났으며 이후 일헌의 경계망을 피하여 간도 명동촌으로 망명하였다. 이곳에 정착한 그는 당시 이름 높은 애국지사요 기독교인들인 유동설ㆍ김하규ㆍ문치정ㆍ김약연ㆍ서상용ㆍ구춘선ㆍ유예균ㆍ정재면 등과 더불어 민족독립운동과 간도 이주민들의 농업진흥책 그리고 학교설립 등에 주력하였다.
【1912년】
- 1912년 3월 캐나다 선교사들의 후원으로 간도국민회가 조직됨과 때를 같이 하여 이동휘는 장로교 교역자 중심의 구국전도회를 조직, 연해주ㆍ중국ㆍ한국 등지에 산재한 동포를 대상으로 민족복음화 운동을 전개하였다.
- 1912년 8월 15일 함흥에서 개최된 제2회 조선 예수교 장로회 함경노회에서 그의 평양신학교 입학이 결정되었다. 하지만 그가 실제로 평양신학교에 입학했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1913년】
- 1913년 봄 성진을 떠나 망명길에 오른 이동휘는 혜산진에서의 부흥사경회를 틈타 농부로 변장하고 압록강 상류 건너편의 백두산 일대에 속한 장백현으로 탈출했다. 장백현에 도착한 뒤 이 지역을 순회하면서 이동녕, 김필순, 김병현 등 신민회 회원들을 비롯한 여러 인사들을 만나 연락기관과 통신원을 설치하고 이 지역의 동포들을 위한 농업, 상업 활동과 교육 활동에 대해 논의했다. 순회를 마친 뒤, 3개월 후엔 6월 10일 북간도 연길현의 국자가로 이동했다.
- 1913년 8월 중한연합전도회(中韓聯合傳道會)를 조직하고 중국인 김형두를 회장으로, 자신은 부회장을 맡았으며, 같은 수의 한인과 중국인들이 간부직을 나누어갖게 했다. 중한연합전도회는 북간도 각지 교회와 긴밀한 연락관계를 갖기로 결정하는 한편, 일본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인교회를 표면상 중국전도회에 속하게 하였다. 이와 동시에 간민회(墾民會)는 이동휘, 이동춘, 정재면, 박찬익 등 4명의 대표를 베이징으로 파견했다. 이들 네 명은 중화민국 건국을 축하했으며, 총통으로 선출된 위안스카이에게 한인들의 자치권을 허용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 1913년 9월 10일, 이동휘는 북간도를 떠나 혼춘으로 순행을 떠났다. 그는 혼춘의 각 지방을 1개월 동안 순행하면서 종교, 교육, 실업을 권면했으며, 독립군 지도자들과의 단합을 강구했다. 이렇듯 그는 망명 직후부터 장백현, 북간도를 비롯해 만주 전역을 순회했고, 그 목적은 종교, 교육, 실업을 장려하고 통신원과 연락기관 설치 등 각지 애국지사들과의 연락망을 확립하고, 항일 무장단체 간의 분쟁을 해소시키는 데 있었다.
- 1913년 러시아제국 연해주로 망명하여 거점을 옮긴 후,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新韓村)을 중심으로 조직된 권업회(勸業會)에 가담하여 이상설ㆍ이갑ㆍ신채호ㆍ정재관 등과 함께 ‘독립전쟁론’에 입각한 민족해방투쟁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 이동휘는 제2차 러일전쟁이 발발한다면 한국의 독립이 성사될 수도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이를 준비하기 위해 여러 민족운동가들과 함께 새로운 군사지휘부 건설을 추진했다. 이렇게 해서 조직된 비밀군사지휘부인 ‘대한광복군정부’가 1913년 10월 말에 창립되었다. 대한광복군정부에서는 이동휘를 비롯하여, 이상설⋅이동녕⋅이종호⋅정재관 등 노령에 있는 주요한 민족운동 지도자들의 대부분이 참여하였다. 대한광복군정부는 앞으로 있을 군사 행동에 대비하기 위해 각지에 군대를 비밀 편성했다.
【1914년】
-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함께 일제와 동맹한 러시아 제국이 재러시아 한국인들의 민족운동을 탄압하자, 이종호(李鍾浩) 등과 더불어 중국 왕청현(汪淸縣) 라자우거의 한인촌으로 거점을 옮겨 대전무관학교(大甸武官學校)를 설립하고 독립군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1915년】
- 일제의 사주를 받은 중국 관헌의 탄압으로 무관학교는 해체되고, 그 또한 일제 관헌에게 쫓기는 몸이 되어 왕청현 하마탕의 한인촌에 숨어 요양하였다.
- 일제의 감시를 피해서 다시 노령으로 망명하였다.
【1917년】
- 1917년 3월 북만주에 숨어지내던 이동휘는 러시아 혁명 소식을 접하자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을 찾아갔다. 그러나 러시아 헌병대 정탐자인 구덕성(具德成)의 밀고로 러시아 헌병대에 체포된 뒤 수감되었다. 혐의는 '독일 정탐', ‘동중철도(東中鐵道)파괴공작’의 주도 인물이라는 것이었다. 이에 연해주 한인사회에서 이동휘의 석방운동이 대대적으로 일어났다. 신한촌 한인군인회는 최고려와 박셰몬을 총대로 선출해 러시아 군인회 및 기타 관청을 방문하여 이동휘의 무죄를 주장했다. 그리고 각지의 동포들이 청원서와 전보를 제출하고, 총대를 선출하여 러시아 관청에 청원하고, 변호사를 선정하는 등 대대적인 이동휘 석방운동을 전개하였다.
【1918년】
- 1918년 초 이 지역을 장악한 볼셰비키 가운데 한국인 출신으로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하바롭스크시 책임비서, 원동소비에트 집행위원회 외교부장이었던 여성혁명가 김알렉산드라 페트로브나 스탄케비치의 도움으로 풀려나 하바롭스크로 이주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그는 한국민족운동에 사회주의를 접목시키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1918년 5월 11일(러시아 구력 율리우스력 4월 28일) 하바로프스크에서 한인사회당(韓人社會黨)을 조직하고 연해주에서 한인적위군(韓人赤衛軍)을 편성하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 노령에서 다시 1918년 6월 박진순ㆍ박애 등과 함께 한인사회당을 조직하여 볼셰비키와 손을 잡고 반일독립운동의 발판으로 삼았다.
【1919년】
- 3·1 운동 직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문창범 등과 함께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으며, 대한임시정부(大韓臨時政府) 군무총장(軍務總長)으로 취임하여 동녕현(東寧縣)에 독립군을 지휘할 임시군집부(臨時軍執部)를 설치하고, 일본과 독립전쟁을 전개할 독립군 양성에 강한 추진력을 보였다.
- 1919년 3월 국내에서 3ㆍ1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이동휘 등은 블라디보스토크로 집결하였고 그해 4월 25일에는 같은 곳에서 한인사회당 대표대회가 개최되었고 이 대회에서 3인 사절단(朴鎭淳ㆍ朴愛ㆍ李榮漢)을 선정하여 곧 모스크바에 파견하였는데 이들 사절단은 한인사회당을 코민테른에 가입시키는 데 성공함으로써 막대한 선전자금을 지급받았다. 그러나 이 자금은 운반 도중(1919.9.10.) 일크스크에서 전로한인공산당에게 강탈당하고 말았다.
- 같은 해 8월 김립(金立)의 사위인 오영선(吳永善)을 데리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총리에 취임하기 위해 상해(上海)에 도착하였다.
【1920년】
- 그는 자파 세력의 확대강화를 위하여 1920년 봄 고려공산당을 재조직, 임정의 사절로 한형권을 모스크바 당국에 파견하여 레닌정부로부터 2백만 루불의 자금을 지원받았는데 이 자금을 임정에는 일체 비밀로 하고 이동휘 단독권 아래서 쓰여졌기 때문에 물의를 일으켰다.
【1921년】
- 1921년 1월 말 이동휘는 상해 임시정부의 개혁여부를 둘러싸고 대통령 이승만과 이동녕ㆍ이시영ㆍ신규식 등 기호 출신 총장들, 그리고 안창호 등과 대립하여 상해 임시정부를 탈퇴했다. 이후 이동휘는 고려공산당(상하이파) 창당에 나서게 된다.
- 그는 1921년 국무총리직에서 퇴임하였으며 레닌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공작금은 여러 가지 좋지 못한 파문을 남기고 말았다. 그래서 그해 6월 이동휘는 박진순ㆍ이극노를 대동하여 상해를 떠나 많은 고초 끝에 유럽을 경유, 11월 초에 모스크바에 도착하였으며 코민테른의 종용으로 11월 임시연합간부의 일원이 되었다.
- 1921년 레닌이 보낸 독립자금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자금 전달책인 김립이 김구에게 살해되자 국무총리 직을 사임하고 임시정부를 떠나 시베리아에서 여생을 보내게 된다
【1922년】
- 이후 1922년 1월 모스크바에서 개막된 극동인민대표 대회의 대표 및 고려국 위원 등으로 활약하는 한편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부(新韓府) 당도서관장에도 있었다.
【1923년】
- 1923년 4월에는 노령 블라디보스토크를 중심으로 한국인 독립군단을 편성, 그 사령관으로 활약하였다.
【1925년】
- 1925년 4월 이르쿠츠크계열의 화요파가 단독으로 조선공산당을 조직하고 대표단을 파견하여 코민테른의 승인을 신청하자, 코민테른은 이동휘에게 승인 여부를 물었다. 이때 이동휘는 국내에 있던 김철수의 조언을 받아들여 승인 의사를 밝혔다. 이리하여 1926년 초 2차 조선공산당이 재건되었고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가 연합하게 되었으나, 여전히 두 정파간의 대립은 심각했다. 1926년 가을 새로운 파벌로 등장한 ML파의 3차 조선공산당에 대항하여 1926년 말 서울·상해파 연합의 조선공산당(춘경원당)이 성립되자, 이동휘는 서울‧상해파의 대표로서 6차 코민테른대회에 파견되기도 했다.
- 1925년경에 그는 블라디보스토크 스챤(蘇城) 근방의 한 촌에서 여생을 보냈다.
【1932년】
- 1932년 10월 12일 하바롭스크에서 열린 원동변강모플열성자대회에서 훈장을 수여받았다
【1935년】
- 1935년 1월 말 별세하였는데, 그의 사인에 대한 일설에는 1934년 12월 하바로브스크에서 개최된 시국강연회에 참석하고 돌아온 날 밤 기숙사에서 공산당의 흉탄에 맞아 연해주에서 가료 중 사망했다고 한다.
- 1935년 1월 31일 오후 7시 62세 일기로 병사했다. 이동휘는 죽기직전 “나는 조선의 혁명이 성공하는 것을 보지 못하고 죽는다. 동무들은 반드시 고려소비에트공화국을 성립하시오.”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 비록 공산주의운동의 선구적 활동을 하였으나, 이동휘의 근본적인 사상에는 무엇보다 반일민족독립이 최우선에 놓여 있었다. 이동휘 자신도 “공산주의가 무엇인지 아무것도 모르는 인물이었다.”라고 스스로 고백한 바 있다.
- 이동휘는 오직 반일민족독립운동의 숙원을 이루기 위한 한 방편으로서 소련 정부와 제휴한 민족주의적 혁명운동자라고 할 수 있다.
유족으로는 1남 2녀가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