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일 월요일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2왕조(기원전 약 2890~2686년)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2왕조(기원전 약 2890~2686)

 

1. 이집트 제2왕조 : 불확실성 속에서 다져진 고대 이집트의 기틀

 
고대 이집트 초기왕조 시대(Archaic Period)는 하나의 통일된 국가가 탄생하고 발전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그중에서도 제2왕조는 기원전 약 2890년부터 2686년까지 약 200년간 이어지며 이집트 역사의 초석을 다졌다. 이 시기는 제1왕조의 뒤를 이어 고대 이집트 문명이 더욱 공고해지는 과도기적인 특성을 지니지만, 동시에 이집트 역사상 가장 불분명한(기록이 희박한) 시기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초기 이집트 왕조의 통치 중심지는 티니스(Thinis)에 위치해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초기 세 왕의 매장지가 사카라(Saqqara)에서 발견된 것은 실제 권력의 중심이 점차 멤피스(Memphis)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2왕조는 마지막 왕인 카세켐위(Khasekhemwy)의 재통합 노력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현재 남아 있는 고고학적 증거의 부족함은 이 시대를 연구하는 데 큰 어려움을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왕조와 뒤이은 제3왕조의 기록을 비교해 보면, 2왕조 기간 동안 중요한 제도적 및 경제적 발전이 분명히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수수께끼의 서막 : 초기 통치자들

 
2왕조의 시작을 알리는 파라오들에 대해서는 학계의 사료들 간에 비교적 일치된 견해를 보인다. 이는 특히 이들 세 왕의 장례 제사에 봉사했던 헤텝디에프(Hetepdief)의 조각상에 새겨진 명문(비문)에 의해 뒷받침된다.
 
  • 호테프세켐위(Hotepsekhemwy) : 2왕조의 첫 파라오로, 25년에서 29년간 통치하였다. 그의 무덤은 사카라의 갤러리 무덤 A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이름은 두 힘이 평화롭게 있다는 의미를 가지는데, 이는 당시 이집트 내부에 존재했을지도 모르는 갈등을 봉합하고 안정을 추구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네브라(Nebra) 또는 카카우(Kakau) : 호테프세켐위의 뒤를 이은 파라오로, 10년에서 14년간 통치하였다. 그 역시 사카라의 갤러리 무덤 A에 묻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이름 네브라라의 군주를 의미하며, 이는 라(Ra) 신앙이 이 시기에 이미 왕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 니네트제르(Nynetjer) : 40년간 장기 통치한 파라오이다. 사카라의 갤러리 무덤 B에 묻혔을 것으로 보인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이집트가 비교적 안정되었고, 팔레르모 석비(Palermo Stone)에도 그의 통치 일부가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종교 축제나 세금 징수 활동 등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그의 통치 말기부터 제2왕조의 역사는 급격히 불분명해진다.
 

3. 안개 속의 시대 : 불확실한 중기 통치자들

 
니네트제르의 통치 이후, 2왕조의 역사는 말 그대로 안개 속에 갇히게 된다. 현존하는 사료들이 제시하는 통치자들의 이름이 서로 상이하거나, 단편적이기 때문이다. 이는 당시 이집트의 행정 체계가 너무 복잡해져서 국가가 두 명의 후계자에 의해 분할 통치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가설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아래에 나열된 왕들은 서로 다른 인물일 수도 있고, 같은 인물의 다른 이름이거나, 심지어는 전설상의 인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고대 이집트학의 오랜 난제 중 하나이며, 아마도 영원히 해결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 웨네그(Weneg) 또는 와제네스(Wadjenes) : 토리노, 사카라, 아비도스 왕명 목록에 제4왕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17년간 통치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하이집트에서만 확인될 뿐 호루스 이름이 불분명하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라네브(Raneb), 세켐이브(Sekhemib)와 동일 인물이거나 별개의 인물이라고 추정한다. 마네토의 문헌에서는 ‘Tlas’로 기록되어 있다.
  • 세네즈(Senedj) : 동일한 왕명 목록에 제5왕으로 기록된 그는 약 41년간 통치하였다고 한다. 역시 호루스 이름이 불분명하여 호루스 사(Horus Sa) 또는 페리브센(Peribsen)과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움 엘 카아브(Umm el-Qa'ab)의 무덤 P에 그의 흔적이 있을 수도 있다. 마네토는 그를 ‘Sethenes’로 기록하였다.
  • 네페르카라 1(Neferkara I) : 2왕조 이후 훨씬 후대에 기록된 문헌에서만 등장하는 왕이다. 사카라, 토리노 목록에는 제6왕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아비도스 목록에는 없다. 하이집트만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17년간 재위했다고 한다. 마네토의 기록에는 ‘Khaires’로 등장한다.
  • 네페르카소카르(Neferkasokar) : 네페르카라 1세와 마찬가지로 후기 문헌에만 등장한다. 사카라, 토리노 목록에 제7왕으로 기록되어 있고, 아비도스에는 없다. 25년간 통치했으며 하이집트만을 통치했을 가능성도 있다. 마네토는 그를 ‘Nephercheres’로 기록하였다.
  • 후드제파 1(Hudjefa I) : 그의 이름 자체가 삭제됨또는 누락됨이라는 뜻으로, 실제 이름이 잃어버렸음을 의미한다. 사카라 목록에 제8왕으로 기록되어 있고, 아비도스에는 없다. 48년간 통치하였다고 전해지며, 페리브센과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마네토의 기록에는 ‘Sesochris’로 등장한다.
  • 세트-페리브센(Seth-Peribsen) : 가장 특이한 왕 중 한 명이다. 전통적인 호루스 신 대신 세트 신의 이름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시대 명문에서는 확인되지만 후대 왕명 목록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상이집트에서만 통치한 것으로 보이며, 움 엘 카아브의 무덤 P가 그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이집트 내부의 종교적 또는 정치적 갈등을 시사하는 중요한 단서로 여겨진다.
  • 세켐이브-페렌마아트(Sekhemib-Perenmaat) : 동시대 명문에서 확인되지만 후대 왕명 목록에는 없다. 페리브센과 동일 인물이거나 그의 직계 후계자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움 엘 카아브의 무덤 P에서도 그의 흔적이 발견될 수도 있다.
  • 누브네페르(Nubnefer) : 출생명으로 추정되며, 왕명 목록에 등재되지 않았다. 일부 학자들은 그가 라네브의 출생명일 가능성을 제기하거나, 니네트제르 이후 잠깐 통치한 별개의 왕일 수도 있다고 본다.
 
이처럼 제2왕조 중기의 왕권 계승과 통치 체제는 매우 복잡하고 모호하게 남아 있다. 이는 왕권의 불안정성이나 특정 지역 왕들의 독립적인 통치를 시사할 수도 있으며, 어쩌면 단순히 기록의 유실이나 후대 기록자들의 혼란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다.
 

4. 왕조의 재정비 : 마지막 통치자 카세켐위

 
혼란스러운 시기를 거쳐 제2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에 이르러 사료들 간의 의견이 다시 일치하게 된다.
 
  • 카세켐위(Khasekhemwy) : 2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이자, 가장 잘 알려진 인물이다. 17년에서 18년간(마네토에 따르면 30) 통치하였다. 그는 니마아타프(Nimaathap)라는 왕비와 함께했다. 그의 무덤은 움 엘 카아브의 무덤 V에 위치한다. 카세켐위는 두 힘이 일어나다(The Two Powers Arise)”라는 의미를 지니는데, 이는 그의 통치 기간 중 상이집트와 하이집트가 재통합되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많은 이집트학자들은 그의 치세에 이집트의 분열이 종식되고, 단일 왕국으로의 권력 재집중이 이루어졌다고 본다. 그의 건축물과 유물들은 이 시기에 이루어진 상당한 국가 재정비와 안정화를 증명한다. 이로써 제2왕조는 불안정한 과도기를 극복하고 강력한 제3왕조 시대로의 이행을 가능하게 한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5. 왕명 목록의 비교


파라오아비도스 왕 목록
Abydos King List
사카라 석판
Saqqara Tablet
토리노 왕 목록
Turin King List
마네토
Manetho
호테프세켐위
Hotepsekhemwy
BedjauBaunetjerBaunetjerBoethos
네브라
Nebra
KakauKakauKakauKaiekhos
니네트제르
Nynetjer
BanetjerBanetjeruBanetjerBinothris
웨네그
Weneg
WadjnasWadjlas[...]sTlas
세네즈
Senedj
SendiSenedjSened[...]Sethenes
네페르카라 1세
Neferkara I
NeferkareNeferkaKhaires
네페르카소카르
Neferkasokar
NeferkasokarNeferkasokarNephercheres
후드제파
Hudjefa
HudjefaSesochris
카세켐위
Khasekhemwy
DjadjayBebtiBebtiKheneres
 
 
[참고]
  • Horus name(호루스 이름) : 왕이 신성한 통치자로서 받는 상징적인 이름.
  • Nebty name(네브티 이름) : 왕의 또 다른 칭호로, 두 여신(Upper/Lower Egypt)을 상징.
  • Manetho's Aegyptica : 고대 이집트 역사가 마네토가 기록한 이집트 왕조 연대기.

제2왕조의 왕명록(사카라/아비도스/토리노)
제2왕조의 왕명록(사카라/아비도스/토리노)
 

6. 중심지의 변화와 기록의 제약

 
마네토는 제1왕조 때와 마찬가지로 제2왕조의 수도가 여전히 티니스에 있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러나 초기에 언급된 호테프세켐위, 네브라, 니네트제르 세 왕의 매장지가 사카라에서 발견된 사실은 실제 권력의 중심지가 티니스에서 멤피스(Memphis) 근처의 사카라로 서서히 이동하고 있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이는 이후 고왕국 시대 멤피스가 이집트의 핵심 수도가 되는 전조라 할 수 있다.
 
2왕조 시대에 대한 기록의 부족함은 이 시기를 암흑기로 불리게 하는 주요 원인이다. 특히 팔레르모 석비(Palermo Stone)에 기록된 연대기는 네브라의 통치 말기와 니네트제르의 통치 일부 시기까지만 남아 있어, 그 이후의 사건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러한 기록의 단절은 후대 학자들이 제2왕조의 정확한 통치 순서, 각 왕의 업적, 그리고 사회 전반의 변화상을 파악하는 데 큰 장애물로 작용한다.
 

7. 불확실성 속의 제도적ㆍ경제적 발전

 
비록 기록은 희박하지만, 1왕조가 쌓아 올린 토대와 제3왕조의 눈부신 발전(특히 피라미드 건축)을 고려할 때, 2왕조는 결코 정체된 시기가 아니었다. 당시의 고고학적 증거는 제한적일지라도, 2왕조 동안 이집트 국가 시스템 내부에서는 분명히 중요한 제도적 및 경제적 발전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아마도 행정 시스템의 효율화, 자원 관리의 개선, 그리고 나일강 유역의 농업 생산성 증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나타났을 것이다. 이러한 보이지 않는 발전이 있었기에, 카세켐위의 통합 노력이 성공할 수 있었고, 조세 제도와 관료 체계가 더욱 정교해졌을 것이며, 이는 제3왕조의 거대한 국책 사업들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8. 고대 이집트 문명으로의 이정표

 
이집트 제2왕조는 불확실성과 기록의 공백으로 인해 역사학자들에게 많은 수수께끼를 남겼지만, 이 시기는 통일 이집트 왕국이 굳건히 자리매김하고 다음 단계로 도약하기 위한 필수적인 이정표였다. 수수께끼에 싸인 통치자들의 계보와 권력 다툼 속에서도, 국가 행정과 경제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발전했으며, 최종적으로 카세켐위의 재통합을 통해 이집트는 고왕국 시대의 찬란한 문명으로 나아갈 준비를 마쳤다. 2왕조의 미스터리 속에 숨겨진 발전은 이후 고대 이집트 문명의 지속적인 번영을 위한 중요한 디딤돌이 되었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