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9일 화요일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23왕조 : 제3중간기 분권 체제의 시대(기원전 837~718년경)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23왕조 : 3중간기 분권 체제의 시대(기원전 837~718년경)

 

1. 3중간기의 구조와 분권화 배경

 
23왕조는 고대 이집트 제3중간기(통상 기원전 1069년경664년경)의 한 축에서 나온 정치 세력이다. 이 시기는 신왕국 말기 이후 중앙 권위가 약화되고, 델타(하이집트)와 상이집트(테베권)를 중심으로 지역 권력들이 병행 통치하던 분권 체제의 시대이다.
 
22왕조를 연 메슈웨시(리비아계) 군사 엘리트의 정착과 족장-장교집단의 지방화가 행정·군사 권력을 분산시켰다. 사제단(특히 테베의 아문 사제단)과 지방 귀족, 용병 지휘관이 각각 재정·군사·종교 권위를 분점하며 여러 왕호를 가진 지도자들이 동시에 존재하는 다핵 체제가 형성되었다.
 

2. 리비아계 메슈웨시의 기원과 엘리트화

 
메슈웨시(Meshwesh)는 나일 서부 사막과 리비아 동부에서 활동하던 베르베르계 집단으로, 신왕국 말기부터 용병ㆍ이민 형태로 델타에 정착하였다. 이들은 이집트식 이름·왕호·관직 체계를 수용해 빠르게 이집트화되었고, 혼인과 봉직을 통해 토착 엘리트와 결합했다.
 
22왕조(소위 타니스ㆍ부바스티스 계열)의 성립으로 메슈웨시 장교-귀족층은 왕권의 핵심이 되었고, 지방 거점마다 일족 네트워크가 관직을 세습했다. 23왕조는 이 메슈웨시 출신 집단의 분파또는 지역 왕통들이 98세기 델타와 상이집트에서 동시에 왕권을 표방한 현상을 반영한다.
 

3. 마네토 전승과 타니스의 네 왕

 
기원전 3세기 마네토 전승은 제23왕조를 타니스의 네 왕으로 제시한다. 아프리카누스 전승은 페투바테스, 오소르호, 프삼무스, 제트를 합계 89년으로 기록하고, 유세비오스 전승은 제트를 생략해 합계 44년으로 단축한다. 이 차이는 자료의 단절과 병행 재위(동시에 다른 지역에서 왕권 표방) 문제를 시사한다.
 
이 전승은 타니스 중심의 23왕조 핵이 실재했음을 뒷받침하지만, 병행 왕통(테베, 헤라클레오폴리스, 헤르모폴리스, 레온토폴리스)의 폭과 상호 관계는 전승만으로 포착되지 않는다.
 

4. ‘키친 모델비판과 포스트-키친 정립

 
과거 K. A. 키친은 타니스 주류(22왕조)에서 벗어난 여러 비주류 군주를 하나의 23왕조로 묶어 단일 계보처럼 제시했다. 하지만 이후 연구는 지역 병행 통치의 복합성을 과소화했다는 이유로 이 모델을 수정했다.
 
최근 합의는 타니스에서 쇼셍크 5(Shoshenq V) 이후 성립하고, 사이스 제24왕조의 바켄라네프와 쿠시 제25왕조의 샤바타카(기원전 712년 전후) 개입 시점 전후까지 이어진 한 라인을 제23왕조의 핵으로 보되, 테베·중이집트 등 다른 지역의 동시 왕통은 병행 라인으로 구분해 병기하는 방식이다. 프레데리크 파이라조(Frédéric Payraudeau)의 정식이 대표적이다.
 

5. 타니스 코어와 주변 라인의 지리ㆍ정치 조건

 
  • 타니스 코어 : 동델타의 해상 교역·운하망·곡창을 기반으로 권력을 행사했다. 앗시리아와의 외교 접점(조공·사절 왕래) 기록이 일부 군주(: 오소르콘 4) 존재를 보강한다.
  • 테베 라인 : 아문 신전 경제와 성직 권위를 토대로 상이집트에서 독자 왕호를 사용했다. 오소르콘 3, 타켈로트 3, 루다문, 이니 등의 계열과, 페두바스트 1·쇼셍크 6세의 경쟁 라인이 병립했다.
  • 헤라클레오폴리스ㆍ헤르모폴리스ㆍ레온토폴리스 : 중이집트 수송로·관개 거점, 델타 내륙 교통망을 장악한 지방 군주가 봉헌 비문·인장·조각으로 존재를 드러낸다. 네페르카레 펩트자우아위바스트(헤라클레오폴리스), 제후티엠하트·님롯 1(헤르모폴리스), 이우푸트 2(레온토폴리스) 등이 대표적이다.
 

6. 외세 압력과 재편 : 사이스(24)·쿠시(25)의 개입

 
서델타 사이스의 바켄라네프(Bakenranef)는 상업·해양 네트워크로 델타 서부를 장악하며 동델타의 타니스 코어를 압박했다.
 
남쪽에서는 쿠시의 샤바타카(Shabataka) 등 제25왕조가 테베의 종교 권위를 흡수하고 북상 통합을 추진했다. 양압력은 타니스 코어의 단절·재개를 야기했고, 일부 군주의 통치는 단명 또는 지역 제한적이었다.
 

7. 왕호의 반복과 동일 인물 논쟁

 
23왕조대에 우세르마아트레, 네페르카레, 멘케페르레등 즉위명이 중복 출현한다. 동일 왕호의 다른 인물인지, 한 인물이 지역별로 다른 명호를 병용했는지 구분이 핵심 쟁점이다.
 
최신 재구성은 왕호ㆍ출생명ㆍ봉헌지ㆍ장제 시설·인접 군주의 연표 겹침을 교차 대조해 중복을 최소화한다. 다만 비문 결손과 후대 복각으로 인해 가설 구간이 남고, 신출토 자료에 따라 수정 가능성이 높다.
 

8. 사회ㆍ행정의 성격 : ‘왕국-연맹모델

 
중앙 왕권은 명목상 유지되었으나, 실제로는 지역 신전경제·용병 지휘·관개 관리권을 쥔 엘리트 연합이 각자 왕호를 채택해 주권을 행사했다. 공동 봉헌문서(두 군주의 이름이 함께 새겨짐), 이중 행정(지역 관직의 병행), 병행 연호가 이 체제를 증언한다.
 
이러한 분권은 위기 시 탄력성을 주었지만, 외교·군사적 일관성이 약화되어 앗시리아·쿠시·사이스의 개입에 취약했다.
 

9. 23왕조의 통치자들

 

하르시예세 A(Harsiese A)

  • 즉위명 : 헤드지케페르레 세트페남운(Hedjkheperre Setpenamun)
  • 호루스명 : 미상
  • 재위 : 기원전 880860
  • 배우자 : 이세트웨레트 1(Isetweret I)
  • 비고 : 테베의 독립 왕이다. 타켈로트 1세와 오소르콘 2세 치세와 동시기이다.
 

타켈로트 2(Takelot II)

  • 즉위명 : 헤드지케페르레 세트펜레(Hedjkheperre Setpenre)
  • 호루스명 : 카나크트카엠와세트(Kanakhtkhaemwaset)
  • 재위 : 기원전 840815
  • 배우자 : 카로마마 D(Karomama D), 타셉(Tashep), 타베케테나스켓 A(Tabeketenasket A)
  • 비고 : 하 이집트의 쇼셍크 3세와 동시기이다.
 

페두바스트 1(Pedubast I)

  • 즉위명 : 우세르마아트레 세트페남운(Usermaatre Setpenamun)
  • 호루스명 : 미상
  • 재위 : 기원전 829804
  • 배우자 : 미상
  • 비고 : 타켈로트 2/왕세자 오소르콘 B와 장기 내전을 벌였다.
 

이우푸트 1(Iuput I)

  • 즉위명 : 미상
  • 호루스명 : 미상
  • 재위 : 기원전 829804
  • 배우자 : 미상
  • 비고 : 공동통치자(co-regent)이다.
 

쇼셍크 6(Shoshenq VI)

  • 즉위명 : 우세르마아트레 메리암운(Usermaatre Meryamun)
  • 호루스명 : 미상
  • 재위 : 기원전 804798
  • 배우자 : 미상
  • 비고 : 페두바스트 1세를 이은 테베 통치자이다. 상이집트를 6년간 다스렸다.
 

오소르콘 3(Osorkon III)

  • 즉위명 : 우세르마아트레 세트페남운(Usermaatre Setpenamun)
  • 호루스명 : 카나크트카엠와세트(Kanakhtkhaemwaset)
  • 재위 : 기원전 798769
  • 배우자 : 텐트사이 A(Tentsai A), 카로앗제트(Karoatjet)
  • 비고 : 페두바스트 1·쇼셍크 6세와의 내전에서 승리하고 테베를 포함한 상이집트를 28년 통치했다.
 

타켈로트 3(Takelot III)

  • 즉위명 : 우세르마아트레 세트페남운(Usermaatre Setepenamun)
  • 호루스명 : 와즈타위(Wadjtawy)
  • 재위 : 기원전 774759
  • 배우자 : 카카트(Kakat), 이르티우바스트(Irtiubast)
  • 비고 : 오소르콘 3세의 장자이자 소() 공동통치자이면서 후계자이다.
 

루다문(Rudamun)

  • 즉위명 : 우세르마아트레 세트페남운(Usermaatre Setepenamun)
  • 호루스명 : 네브마아케루(Nebmaakheru)
  • 재위 : 기원전 759755
  • 배우자 : 타디[...] (부분만 전함)
  • 비고 : 타켈로트 3세의 동생이자 후계자이다. 입증 자료가 적은 왕이다.
 

쇼셍크 7(Shoshenq VII)

  • 즉위명 : 헤드지케페르레 세트펜레(Hedjkheperre Setepenre)
  • 호루스명 : 미상
  • 재위 : 기원전 755732
  • 배우자 : 미상
  • 비고 : 입증 자료가 빈약한 왕이다.
 

이니(Ini)

  • 즉위명 : 멘케페르레(Menkheperre)
  • 호루스명 : 미상
  • 재위 : 기원전 720715
  • 배우자 : 미상
  • 비고 : 재위 기간 동안 테베만 지배했다. 25왕조에 맞서 찬탈자로 간주되기도 한다.
 

10. 역사적 의의와 연구 동향

 
23왕조는 단일 왕조라기보다 타니스 코어 + 지역 병행 라인의 다층 네트워크로 이해되는 것이 현재 표준에 가깝다. 마네토 전승은 코어의 존재를, 현대 비문·근동 문헌은 병행 라인의 폭과 외세 개입을 보정한다.
 
향후에는 델타 습지·테베 신전군의 미발굴 구역, 나일 지류 주변의 소형 봉헌물 출토가 연대표 빈칸을 메울 가능성이 높다. 방사성탄소·석재 산지 분석·피그먼트 과학 분석 등 과학고고학이 명호 중복과 동일 인물 여부 판정에 기여할 전망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