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5일 금요일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13왕조 : 흔들리는 왕권의 시대(기원전 약 1803~1649년경)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13왕조 : 흔들리는 왕권의 시대(기원전 약 1803~1649년경)

 
고대 이집트 제13왕조(Dynasty XIII, 기원전 약 1803~ 기원전 약 1649)는 약 154년간 지속된 시기이다. 이 왕조는 종종 중왕국(Middle Kingdom)의 마지막 부분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많은 학자들은 이를 제14왕조, 15왕조 등과 함께 제2중간기(Second Intermediate Period)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강력했던 제12왕조의 영광이 저물고, 왕권이 약화되며 이집트가 다시 분열과 혼란을 겪기 시작한 시기인 것이다. 13왕조의 역사는 중앙집권 체제의 붕괴, 외부 세력의 부상, 그리고 끝없는 정치적 불안정의 기록이다.
 

1. 중왕국 말기의 그림자: 왕조의 시작

 
13왕조는 고대 이집트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제12왕조의 바로 뒤를 잇는다. 12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소베크네페루(Sobekneferu, 재위 기원전 약 1807-1803)는 강력한 남성 후계자를 남기지 못했고, 그 이후 왕위는 혼란에 휩싸이게 된다.
 
김 리홀트(Kim Ryholt)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제13왕조가 제12왕조와 어느 정도 연속성을 가졌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13왕조의 첫 파라오 중 한 명으로 간주되는 세켐레 쿠타위 소베코테프(Sekhemre Khutawy Sobekhotep, 재위 기원전 약 1800년대 초)는 아멘엠핫이라는 인물의 아들로 언급되기도 한다. 하지만 아멘엠핫 4(Amenemhat IV, 재위 기원전 약 1815-1807)의 뒤를 소베크네페루가 이었음을 고려할 때, 13왕조가 제12왕조와 직접적인 혈연 관계를 통해 이어진 것은 아닐 가능성이 크다. 오히려 제13왕조의 시작은 제12왕조의 권위가 서서히 무너지면서 새로운 권력 구도가 형성된 전환점이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초기 제13왕조는 수도인 이티타위(Itjtawy)에서 통치하며 나일강 삼각주에서 제2나일폭포(second cataract)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했다. 하지만 이는 점차 약화되는 왕권의 시작일 뿐이었다.
 

2. 약화되는 왕권과 짧은 통치의 연속

 
13왕조는 매우 많은 수의 파라오들이 짧은 기간 동안 통치한 것이 특징이다. 역사학자 마네토(Manetho)16명의 왕이 통치했다고 주장했지만, 투린 왕 목록(Turin Canon)과 당대 비문들을 종합하면 더 많은 수의 파라오가 있었고, 대부분 재위 기간이 몇 년에 불과했다. 이는 중앙 정부의 권위가 크게 약화되고, 왕위 계승이 불안정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이다.
 
이 혼란 속에서도 몇몇 강력한 파라오들이 잠시나마 왕조의 힘을 재결집하려는 노력을 했다. 소베코테프 3(Sobekhotep III, 재위 기원전 약 1770년대), 네페르호테프 1(Neferhotep I, 재위 기원전 약 1760년대), 그리고 소베코테프 4(Sobekhotep IV, 재위 기원전 약 1760년대)는 제13왕조의 권력이 정점에 달했던 시기에 속한다. 특히 소베코테프 4세는 가장 강력한 왕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들의 짧은 전성기는 전반적인 왕조의 쇠퇴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마지막으로 이티타위를 점유하며 상당한 통치 기간을 기록한 왕은 메르네페레 아이(Merneferre Ay, 재위 기원전 약 1700년대 초반)이다. 그의 시대 이후 제13왕조의 권위는 더욱 급격하게 붕괴하기 시작한다.
 

3. 영토의 상실과 이중 통치의 시대

 
13왕조의 권력이 약화되면서 이집트의 영토는 점차 분열되기 시작한다.
 
  • 14왕조의 부상 : 리홀트의 주장에 따르면, 13왕조와 제12왕조 사이의 분열은 소베크네페루의 통치 기간 동안 동부 삼각주 지역에 독립적인 제14왕조(Fourteenth Dynasty)가 출현했음을 반영한다. 이는 제13왕조가 이집트 전역에 대한 통제력을 잃어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초기 징후인 것이다.
  • 남부 영토 상실 : 13왕조는 남쪽 국경 지역에 위치한 요새들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기 시작했다. 이 요새들은 누비아(Nubia) 지역에서 새롭게 떠오르던 쿠시 왕국(Kingdom of Kush)에 의해 재점령되었다. 이로 인해 이집트는 귀중한 금광이 위치한 누비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잃게 된 것이다.
  • 힉소스의 위협 : 13왕조가 점차 쇠퇴하면서 이집트 외부의 위협, 특히 시나이 반도에서 넘어온 셈족 계열의 민족인 힉소스(Hyksos)의 위협이 커지고 있었다. 힉소스는 이후 제15왕조(Fifteenth Dynasty)를 세우며 이집트의 대부분을 장악하게 된다.
 
13왕조는 주로 멤피스(Memphis)에서 상이집트와 중이집트를 제2나일폭포까지 통치하려 노력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제력은 점차 상실되었다.
 

4. 힉소스와의 관계: 통설과 새로운 해석

 
전통적인 이집트 역사가 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힉소스의 제15왕조는 폭력적인 침략을 통해 제13왕조와 제14왕조를 대체하며 이집트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그러나 최근 고고학적 발견들은 이러한 통설에 의문을 제기한다.
 
  • 에드푸 유적의 발견 : 에드푸(Edfu) 지역에서 진행된 고고학 발굴을 통해 흥미로운 증거들이 발견되었다. 이곳의 한 행정 건물 유적에서는 제13왕조의 강력한 파라오인 소베코테프 4세의 봉인(seal) 9개와 힉소스 제15왕조의 통치자인 키안(Khyan, 생몰년 미상)의 봉인 41개가 함께 발견된 것이다.
  • 동시대 통치의 가능성 : 이 발견은 소베코테프 4세와 키안이 동시대 인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힉소스가 제13왕조를 '폭력적으로 대체'한 것이 아니라, 13왕조가 쇠퇴하고 있을 때 힉소스 왕조가 델타 지역에 이미 존재했으며,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멤피스를 점령하며 제13왕조를 종식시켰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 학술적 논쟁 : 물론 이러한 해석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 로버트 포터(Robert Porter)와 같은 이집트학자들은 키안이 소베코테프 4세보다 약 100년 후에 통치했으며, 봉인은 파라오 사후에도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으므로, 두 인물이 동시대였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어떤 해석이든, 13왕조의 마지막 시기가 점진적인 권위 붕괴와 함께 여러 왕조들이 동시에 존재하던 혼란의 시대였음은 분명하다.
 

5. 13왕조의 통치자들

 

1) 13왕조의 파라오 목록


#이름재위 연대 (BC)비고
1세켐레 쿠타위 소베크호텝 1세
Sekhemre Khutawy Sobekhotep I
1803–1800제13왕조의 창건자로 보임. 일부 연구는 Wegaf를 창건자로 봄
2손베프
Sonbef
1800–1796아메넴핫 4세의 아들, 소베크호텝 1세의 형제일 가능성 있음
3네리카레
Nerikare
1796정보 부족
4세켐카레 아메넴핫 5세
Sekhemkare Amenemhat V
1796–1793이름만 전해짐
5아메니 케마우
Ameny Qemau
1795–1792자신의 이름을 딴 피라미드 존재
6호테피브레 케마우 시하르네제리테프
Hotepibre Qemau Siharnedjheritef
1792–1790투린 왕 목록의 Sehotepibre와 동일 인물 가능성
7이우프니
Iufni
1790–1788투린 왕 목록에만 기록
8세안크히브레 아메니-인테프-아메넴핫 6세
Seankhibre Ameny-Intef-Amenemhat VI
1788–1785이름 길고 복잡, 확실한 정보 적음
9세멘카레 네브누니
Semenkare Nebnuni
1785–1783 또는 1739연대 불확실
10세헤테피브레 세우세크타위
Sehetepibre Sewesekhtawy
1783–1781정보 부족
11세와즈카레 1세
Sewadjkare I
1781투린 왕 목록에만 존재
12네젬이브레
Nedjemibre
7개월 (1780 또는 1736)짧은 재위, 투린 왕 목록 출처
13카안크레 소베크호텝 2세
Khaankhre Sobekhotep II
1780–1777비교적 짧은 재위
14렌세네브 아메넴핫
Renseneb Amenemhat
1777거의 알려진 것 없음
15아위브레 호르
Awybre Hor
1777–1775다슈르(Dahshur)에 매장, 아메넴핫 3세 피라미드 인근
16세켐레쿠타위 카바우
Sekhemrekhutawy Khabaw
1775–1772호르의 아들로 추정
17제드케페레우
Djedkheperew
1772–1770카바우의 형제로 추정
18세브카이
Sebkay
연대 불확실세브'와 '카이'라는 두 인물로 나뉠 수도 있음
19세제파카레 카이-아메넴핫 7세
Sedjefakare Kay-Amenemhat VII
1769–1766 (3~7년)아마도 '세브카이'의 다른 이름
20쿠타위레 웨가프
Khutawyre Wegaf
약 1767일부에서는 왕조 창시자로 간주
21우세르카레 켄드제르
Userkare Khendjer
약 1765 (4년 3개월 이상)남 사카라 피라미드 매장, 이름은 '니마아트레'로도 알려짐
22스멘크카레 이미레메샤우
Smenkhkare Imyremeshaw
1759 또는 1711 시작, 10년 미만아야(Aya)와 결혼 가능성
23세헤테프카레 인테프
Sehetepkare Intef
10년 미만아야(Aya)와 관련 가능성
24세트 메리브레
Seth Meribre
~1749 종료연대 불분명, 이름은 세트 신과 관련
25세켐레세와즈타위 소베크호텝 3세
Sekhemresewadjtawy Sobekhotep III
1755–1751왕비: 세네브헤나스, 네니
26카세켐레 네페르호텝 1세
Khasekhemre Neferhotep I
1751–1740아비도스 매장 추정(S9), 왕비: 세네브센
27멘와즈레 시하토르
Menwadjre Sihathor
1739 (짧은 공동통치)네페르호텝 1세의 형제
28카네페르레 소베크호텝 4세
Khaneferre Sobekhotep IV
1740–1730아비도스 매장 추정(S10), 왕비: 트잔(Tjan)
29메르호테프레 소베크호텝 5세
Merhotepre Sobekhotep V
약 1730왕비: 누브카에스(?)
30카호테프레 소베크호텝 6세
Khahotepre Sobekhotep VI
약 1725정보 부족
31와히브레 이비아우
Wahibre Ibiau
1725–1714 또는 1712–1701기록은 있으나 상세 정보 적음
32메르네페르레 아이
Merneferre Ay
1701–1677 또는 1714–1691 (23년 8개월 18일)가장 장기 재위. 멤피스 근처에 피라미드 지었을 가능성
 

2) 13왕조 후반기 파라오 목록


#한글 이름영문 이름비고
1메르호테프레 이니Merhotepre IniIni I로도 알려짐
2상켄레 세와즈투Sankhenre Sewadjtu정보 적음
3메르세켐레 이네드Mersekhemre Ined네페르호텝 2세(Neferhotep II)와 동일 인물 가능성
4세와즈카레 호리 2세Sewadjkare Hori (Hori II)Hori II로도 불림
5메르카우레 소베크호텝 7세Merkawre Sobekhotep VII확실한 정보 적음
6(8명의 이름 미상 왕들)Eight kings (names lost)이름 전부 유실됨
7메르케페레Merkheperre정보 매우 부족
8메르카레Merkare투린 왕 목록(Turin Canon)에만 등장
9(이름 미상 1명)One lost king이름 유실
10세와자레 멘투호텝 5세Sewadjare Mentuhotep V‘멘투호텝’ 이름 유지하는 후기 파라오
11[...]모스레[...]mosre앞부분 유실, 이름 일부만 전함
12이비 [...]마아트레Ibi [...]maatre이름 일부 유실
13호르 [...] [...]웨벤레Hor [...] [...]webenre‘호르’와 ‘웨벤레’ 일부만 전함
14세[...]카레Se[...]kare이름 앞부분 유실
15세헤켄레 상크프타히Seheqenre Sankhptahi프타 신에게 제사 올리는 비문에서 알려짐
16[...]레[...]re이름 대부분 유실
17세[...]엔레Se[...]enre투린 목록에 있는 '세와헨레(Sewahenre)'일 가능성
 

3) 후기 제13왕조 또는 제14왕조 초기 파라오 목록


#한글 이름영문 이름비고
1메르셉세스레 이니 2세Mershepsesre Ini II폰 베케라트(von Beckerath)에 따르면, 세와자레 멘투호텝 5세의 뒤를 이음
2메르세켐레 네페르호텝 2세Mersekhemre Neferhotep II메르세켐레 이네드(Mersekhemre Ined)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
3세와헨레 세네브미우Sewahenre Senebmiuvon Beckerath에 따르면 Se[...]kare의 후계자
4세카넨레 …레Sekhanenre ...re이름 일부 유실됨 (끝에 "...re"만 남음)
5소베크호텝 9세Sobekhotep IX후기 소베크호텝 계열 중 하나
 
 

6. 왕조의 종말과 제2중간기의 도래

 
13왕조의 권력은 150여 년간 점진적으로 약화되었고, 결국 기원전 약 1650년경 힉소스 제15왕조가 멤피스를 점령하면서 제13왕조는 종말을 고하게 된다. 이 시기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제2중간기(Second Intermediate Period)의 시작점으로 간주된다. 이 시기 이집트는 델타 지역을 장악한 힉소스(15왕조), 델타 서부를 통치한 제14왕조, 그리고 테베를 중심으로 남부 이집트를 지배한 제16왕조와 제17왕조 등 여러 독립적인 세력들로 분열되었다.
 
13왕조는 중왕국 시대를 마감하고, 이집트 역사상 가장 분열되고 불안정했던 시기 중 하나인 제2중간기로 넘어가는 다리 역할을 했다. 이 왕조의 통치자들은 제12왕조가 구축했던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유지하는 데 실패했지만, 그들이 남긴 기록과 유물들은 이집트가 격변의 시기를 어떻게 겪어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