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일 월요일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3왕조(Third Dynasty of Egypt) : 기원전 약 2686~2613년경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3왕조(Third Dynasty of Egypt) : 기원전 약 2686~2613년경

 

1. 이집트 제3왕조 : 고왕국 시대를 연 위대한 전환점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제3왕조는 고왕국 시대의 찬란한 서막을 연 첫 왕조이다. 기원전 약 2686년부터 2613년경까지 이어지는 이 시기는 단순한 연대기적 전환점이 아니라, 이집트 문명이 건축, 예술, 행정 시스템에서 혁명적인 도약을 이루며 피라미드 시대로 나아가는 결정적인 시기이다. 고왕국 시대는 제3왕조를 시작으로 제4왕조, 5왕조, 6왕조까지 이어지며 고대 이집트 문명의 황금기로 기억된다. 이 시기 이집트 통치의 중심지는 영원한 수도 멤피스(Memphis)였다.
 

2. 고왕국의 시작 : 혼돈을 넘어선 조세르의 등장

 
2왕조 말기는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시기였으며,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 시기에 내전까지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러한 격동의 시기를 거쳐 조세르(Djoser)가 이집트의 통치자로 부상하며 제3왕조의 시작을 알렸다. 조세르의 즉위는 이집트가 불안정을 극복하고 강력한 중앙집권적 체제를 재정비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단순한 파라오를 넘어, 후대 이집트인들에게 강력한 통치자와 문명의 선구자로 기억되는 인물이다. 그의 통치는 단순한 왕위 계승을 넘어, 이집트 문명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위대한 전환점이었다.
 
3왕조의 파라오들은 강력한 통치력을 바탕으로 안정된 왕조 체제를 구축하였다. 이는 특히 대규모 공공사업을 통해 증명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세계 최초의 대규모 석조 건축물인 조세르의 계단 피라미드이다. 이러한 건축 활동은 당시 이집트가 가진 경제력, 조직력, 그리고 건축 기술의 발전을 상징한다. 멤피스는 지리적으로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경계에 위치하여 통합된 국가를 효과적으로 통치하고 자원을 관리하는 데 최적의 장소였다. 따라서 멤피스가 고왕국의 영원한 수도가 된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3. 3왕조의 통치자들 : 계승과 혼란의 기록

 

1) 목록의 차이

 
3왕조의 파라오들은 약 75년 동안 이집트를 통치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의 왕들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고대 이집트학의 오랜 난제 중 하나이다. 남아있는 다양한 왕 목록들은 서로 다른 이름과 순서를 제시하며 연구자들에게 혼란을 준다.
 
  • 토리노 왕 목록(Turin King List) : 3왕조에 네브카(Nebka), 조세르(Djoser), 조세르티(Djoserti), 후드제파 1(Hudjefa I), 후니(Huni)의 다섯 왕을 기록하고 있다.
  • 아비도스 왕 목록(Abydos King List) : 조세르 이후에 테티(Teti), 세제스(Sedjes), 네페르카레(Neferkare) 등의 왕들을 포함하여 총 다섯 명의 왕을 기록한다.
  • 사카라 석판(Saqqara Tablet) : 조세르(Djoser), 조세르테티(Djoserteti), 네브카레(Nebkare), 후니(Huni)의 네 명만을 기록하고 있다.
  • 마네토(Manetho) : 마네토는 제3왕조에 아홉 명의 왕을 기록하였는데, 예를 들어 네케로페스(Necherophes)를 첫 파라오로 두었다. 그러나 그의 기록에 등장하는 왕들 중 상당수는 실제 존재하지 않았거나, 하나의 왕이 여러 이름으로 중복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왕 목록들의 차이는 후대 기록의 부정확성과 왕의 다양한 이름(호루스 이름, 네브티 이름, 출생명 등)으로 인한 혼란에서 비롯된다.
 

2) 조세르(Djoser) : 3왕조의 확실한 개창자

 
현대의 많은 이집트학자들은 조세르(Djoser)가 제3왕조의 첫 번째 왕이었다고 믿는다. 최근 아비도스(Abydos)에서의 고고학적 발견은 이러한 견해를 강력히 뒷받침한다. 2왕조의 마지막 왕인 카세켐위(Khasekhemwy)의 무덤 입구에서 조세르의 이름이 적힌 인장(seals)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 발견은 조세르가 카세켐위의 직접적인 후계자이자, 그의 무덤을 완공한 인물로서 제3왕조의 창시자라는 견해를 널리 받아들이게 만들었다. 이는 과거의 기록, 예를 들어 윌킨슨(Toby Wilkinson, 1999)이 주장한 네브카/사나크트(Nebka/Sanakht)’가 제3왕조를 창건했다는 설과는 상충된다. 또한, 파피루스 웨스트카르(Papyrus Westcar)에서 쿠푸(Khufu)의 전임자들이 언급된 순서를 보면, 네브카는 조세르와 후니(Huni) 사이에 위치해야 하며, 조세르 이전은 아니라는 점도 조세르 선왕설을 지지한다.
 
조세르의 중요성은 토리노 왕 목록(Turin King List)에서 그의 이름이 붉은 잉크로 쓰여 있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이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조세르를 특별히 중요한 역사적 인물로 인식했음을 나타낸다. 조세르는 이 왕조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왕으로, 그는 재상 임호테프(Imhotep)에게 현존하는 최초의 피라미드인 계단식 피라미드(Step Pyramid)’ 건설을 맡긴 인물이다. 임호테프는 조세르의 재상으로서 건축뿐만 아니라 의학, 지혜의 신으로 추앙받기도 하였다. 조세르, 사나크트, 그리고 세켐케트(Sekhemkhet)는 카세켐위와 그의 배우자 니마아타프(Nimaathap) 사이에서 태어난 형제들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는 이들 통치자들이 시간상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살았다는 점에서 그 가능성을 높여준다.
 
사카라에 있는 조세르의 계단식 피라미드
사카라에 있는 조세르의 계단식 피라미드
 

3) 네브카(Nebka)와 사나크트(Sanakht) : 동일 인물 논쟁

 
네브카가 사나크트와 동일 인물인지 여부는 이집트학계의 오랜 논쟁거리이다. 많은 이집트학자들이 이 두 인물이 동일인이라는 이론을 지지하지만, 이 주장은 1903년 존 가스타앙(John Garstang, 1876-1956)이 발견한 토기 인장 하나에만 근거하고 있어 논란의 여지가 크다. 그 인장은 손상되어 있지만, 사나크트의 세레크(serekh)와 함께, ‘(ka)’라는 글자가 담긴 카르투슈(cartouche)가 있으며, ‘네브(Neb)’ 글자가 들어갈 만한 공간이 있다.
 
네브카의 통치 기간은 마네토와 토리노 목록 모두에서 18년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이들 사료는 각각 네브카 사망 이후 2,300, 1,400년 후에 기록된 것이라 그 정확성은 의심된다. 반면, 조세르와는 달리, 사나크트와 네브카는 20년에 가까운 통치를 했다는 주장에 비해 유물이 거의 발견되지 않아 그 주장의 신뢰성이 낮아진다. 토리노 왕 목록은 후니의 직전 왕이 6년간 재위했다고만 기록하는데, 토비 윌킨슨(Toby Wilkinson)은 이 기록이 사나크트의 통치 기간과 일치한다고 보고 그를 네브카와 동일 인물로 보았다. 그러나 이 6년은 카바(Khaba)나 카헤드제트(Qahedjet)의 재위 기간일 수도 있다. (윌킨슨은 네브카를 제3왕조의 끝에서 두 번째 왕, 즉 후니 바로 전 왕으로 배치했지만, 이 견해는 이집트학계에서 확정적이거나 광범위한 지지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
 

4) 세켐케트(Sekhemkhet) : 미완의 피라미드 주인

 
조세르의 후계자로 여겨지는 세켐케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의 통치 기간은 토리노 목록에 따르면 6, 팔레르모 석비(Palermo Stone)에 따르면 7년 정도였다고 한다. 그는 사카라에 자신만의 계단 피라미드를 건설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매장된 피라미드(Buried Pyramid)’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피라미드는 미완성 상태로 남아있어 그의 짧은 통치 기간을 암시한다. 마네토는 토세르타시스(Tosertasis)’라는 왕이 19년간 통치했다고 주장하지만, 세켐케트의 무덤이 미완성인 점을 고려하면 세켐케트를 토세르타시스와 동일시하는 이론은 거의 지지받지 못하고 있다.
 

5) 카바(Khaba) : 층층 피라미드의 주인공?

 
카바는 자위엣 엘 아리얀(Zawyet el'Aryan)에 위치한 층층 피라미드(Layer Pyramid)를 지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 피라미드는 계획보다 훨씬 작게 남아 있으며, 이는 자연 침식 때문인지, 아니면 애초에 미완성으로 남았기 때문인지는 불분명하다. 어쨌든, 카바의 통치 기간은 확실치 않다. 몇몇 이집트학자들은 카바가 후니(Huni)와 동일 인물일 수 있다고도 보지만, 그가 람세스 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후드제파 2(Hudjefa II) 또는 세제스(Sedjes)와 동일 인물이라는 설도 있다. 이 경우, 그의 재위 기간은 6년 정도였을 수 있다.
 

6) 후니(Huni) : 3왕조의 마지막 왕

 
후니는 일반적으로 제3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여겨진다. 그는 제4왕조의 시작을 연 스네프루(Sneferu)의 아버지일 가능성이 크다. 임호텝(Imhotep)이 후니 재위 시기까지 생존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그의 긴 생애가 제3왕조 내내 건축과 행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짐작게 한다. 후니의 통치는 고왕국의 안정기를 열기 위한 마지막 정비 단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4. 연대 문제 : 엇갈리는 시간의 조각들

 
3왕조의 시작과 끝을 정확히 연대 측정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학자들마다 연대 추정이 100년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도 흔한데, 이는 당시의 명확한 연대 기록의 부재와 현대 연대 측정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 (Shaw)의 연대 : 기원전 2686~ 2613
  • 베인즈(Baines)와 말렉(Malek)의 연대 : 기원전 2650~ 2575
  • 돗슨(Dodson)과 힐튼(Hilton)의 연대 : 기원전 2584~ 2520
 
이처럼 큰 연대 차이는 제3왕조가 이집트 역사의 초창기에 속하여 절대 연대를 확정할 수 있는 유물이나 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인접 왕조의 기록, 천문 현상, 유기물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연대를 추정하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5. 왕조의 기원 : 남부 이집트와 수단의 논쟁

 
3왕조의 기원에 대한 학설은 흥미로운 논쟁을 담고 있다. 몇몇 학자들은 제3왕조의 기원이 북부 이집트(하 이집트)가 아니라 남부(상 이집트) 또는 심지어 남쪽의 수단(Sudan) 지역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 수단 기원설 : 이집트학자 플린더스 페트리(Flinders Petrie, 1853-1942)는 도상학적 증거, 즉 당시 유물에 묘사된 이미지나 상징들을 분석하여 제3왕조가 수단 지역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주장하였다. 그는 당시 이집트에서 발견된 예술품의 스타일이나 인물 묘사 방식이 수단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유사한 점이 있다고 보았다.
  • 남부 이집트 기원설 : 이에 대해 학자 케이타(Keita)는 제3왕조가 수단뿐만 아니라 남부 이집트, 즉 상이집트에서 기원했을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반박하였다. 이집트 문명의 뿌리가 상이집트에 깊이 박혀 있었으며, 남부 지역에서 발전한 문화적, 정치적 역량이 제3왕조의 기반이 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학설들은 제3왕조가 단순한 왕위 계승을 넘어, 이집트 내부의 다양한 지역적 영향력이 결합되어 탄생한 복합적인 문화적 현상이었음을 시사한다. 이 논쟁은 고대 이집트 국가의 형성 과정과 초기 파라오들의 출신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6. 3왕조의 유산 : 고왕국 시대의 기틀

 
3왕조는 고대 이집트 문명의 진정한 도약대 역할을 수행하였다. 혼란스러운 제2왕조의 끝에서 조세르가 등장하여 안정을 되찾고, 강력한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확립하였다. 이 시기에 이루어진 대규모 석조 건축 기술의 발전은 이후 거대한 피라미드 건설 시대를 열었으며, 행정 및 경제 시스템의 정비는 고왕국 시대의 지속적인 번영을 가능하게 하였다. 비록 기록의 부족으로 여전히 많은 부분이 수수께끼로 남아 있지만, 3왕조는 고대 이집트가 단순한 문명 단계를 넘어 세계사의 중요한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견고한 토대를 마련한 시대임이 분명하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