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18왕조 : 고대 이집트의 황금기
고대 이집트 역사상 가장 강력하고 번성했던 시대를 꼽으라면 단연 신왕국 시대, 그중에서도 제18왕조가 있다. 기원전 1550/1549년부터 기원전 1292년까지 이어진 이 왕조는 고대 이집트가 권력의 정점을 찍었던 시기이다. 투트모세라는 이름을 가진 네 명의 파라오들 때문에 ‘투트모스 왕조(Thutmoside Dynasty)’라고도 불린다. 투탕카멘(Tutankhamun), 핫셉수트(Hatshepsut), 아케나톤(Akhenaten) 등 이집트의 가장 유명한 파라오들이 바로 이 시기에 등장하였다. 특히 핫셉수트(Hatshepsut, c.1479 BC–1458 BC)는 자국 토착 왕조에서 가장 오랫동안 통치한 여성 파라오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단자 파라오”라 불린 아케나톤(Akhenaten, c.1353–1336 BC)과 그의 왕비 네페르티티(Nefertiti)도 이 왕조 출신이다.
1. 이집트 제18왕조의 역사
1) 초기 제18왕조의 시작
제18왕조는 이집트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며 강력한 국가로 발돋움한 시기이다. 아멘호텝 1세(Amenhotep I)나 투트모세 1세(Thutmose I) 같은 초기 파라오들이 이 왕조의 기반을 다졌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 이집트는 정치적 안정과 군사적 강화를 통해 제국의 면모를 갖춰나가기 시작하였다.
![]() |
투트모세 3세 치하에서 이집트 제18왕조 제국이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했을 때 |
2) 아케나톤, 아마르나 시대, 그리고 투탕카멘
아케나톤(Akhenaten)은 이 왕조의 역사에서 매우 독특한 인물로 남아있다. 원래 이름은 아멘호텝 4세(Amenhotep IV)였지만, 통치 5년째에 ‘아톤(Aten)을 위한 유익한 존재’라는 뜻의 아케나톤으로 개명하고 수도를 아마르나(Amarna)로 옮겼다. 이 아마르나 시기는 아톤(태양 원반)을 유일신으로 숭배하는 급진적인 종교 개혁을 시도했던 기간으로 유명하다. 학계에서는 이것이 진정한 일신론이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전통적인 신들을 억압하고 아톤 숭배를 강화했던 것은 분명하다.
이후 이집트인들은 아마르나 시기를 “불행한 일탈”로 여겼다. 아케나톤 사후, 스멘카레(Smenkhkare)와 네페르네페루아톤(Neferneferuaten)이라는 단명한 파라오들이 잠시 통치하였다. 기원전 1334년, 아케나톤의 아들 투탕카톤(Tutankhaten)이 왕위에 올랐고, 그는 곧 이집트의 다신교 숭배를 복원하며 이름을 투탕카멘(Tutankhamun)으로 바꾸었다. 그의 어린 딸들은 제18왕조의 유전적으로 연결된 마지막 세대를 상징한다.
3) 모세의 출애굽 관련 학설
일부 학자들은 성서에 기록된 모세의 출애굽이 기원전 1450년경, 즉 제18왕조 시대에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이 학설에 따르면 아멘호텝 2세(Amenhotep II, c.1450–1425 BC)가 출애굽 당시의 파라오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성경의 기록과 이집트 역사 연대를 연결하려는 시도 중 하나이다. 그러나 출애굽의 역사성과 정확한 연대에 대해서는 학계 내에서 여전히 다양한 논쟁과 견해가 존재하며, 람세스 2세(Ramesses II) 시기 등 다른 시점을 주장하는 ‘후기설’ 또한 존재한다. 또한, 많은 학자들은 성서 속 출애굽 이야기가 성경적 서술과는 다르게 전개되었거나, 역사적 사건보다는 신학적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
4) 아이(Ay)와 호렘헤브(Horemheb)
제18왕조의 마지막 두 파라오인 아이(Ay)와 호렘헤브(Horemheb)는 왕실 관료 출신으로 권력을 잡았다. 아이는 투탕카멘의 이모부이자 유야(Yuya)와 티유(Tjuyu)의 후손으로서 아케나톤의 외삼촌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그는 투탕카멘의 미망인인 안케세나멘(Ankhesenamun)과 결혼하여 권력을 얻으려 하였지만, 그녀는 곧 사망하였고 아이는 네페르티티의 유모였던 테이(Tey)와 결혼하였다. 아이의 통치는 짧았고, 그의 뒤를 이어 호렘헤브(Horemheb)가 파라오가 되었다.
호렘헤브는 투탕카멘과 아이 재위 시절에 군 장교로 복무했던 평민 출신이다. 그는 아마르나 시대와 관련된 모든 인물에 대해 ‘기억 말살 정책(damnatio memoriae)’을 시행하였다. 호렘헤브는 자녀가 없었기에 그의 대신 파라메수(Paramessu)를 후계자로 지명하였고, 파라메수는 기원전 1292년 람세스 1세(Ramesses I)로 왕위에 오르며 제19왕조를 열었다.
4) 누비아와의 관계
제18왕조는 투트모세 1세(Thutmose I) 치세에 하부 누비아(Lower Nubia)를 모두 정복하였다. 투트모세 3세(Thutmose III) 시대에 이르러 이집트는 나일강 제4급류 지점까지 누비아를 직접 지배하였고, 이집트의 영향력은 그 너머까지 미쳤다. 이집트인들은 이 지역을 쿠시(Kush)라고 불렀고, 쿠시의 총독이 통치하였다. 제18왕조는 누비아에서 금, 동물 가죽, 상아, 흑단, 소, 그리고 특별히 질 좋은 말을 얻었다. 이집트인들은 누비아 전역에 걸쳐 신전을 건설하였는데, 그중 가장 크고 중요한 신전 중 하나가 나파타(Napata) 도시의 제벨 바르칼(Jebel Barkal)에 있는 아문 신전(Temple of Amun)이다. 이 신전은 후에 이집트와 누비아 파라오들에 의해 확장되었다.
2. 연대 측정
제18왕조의 연대는 대체로 기원전 1550/1549년부터 기원전 1292년까지로 분류되어 있다. 이는 고대 이집트의 신왕국 시대를 여는 첫 왕조로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시기이다.
3. 제18왕조의 파라오들
제18왕조의 파라오들은 약 250년 동안 통치했다(기원전 약 1550년 ~ 1298년). 많은 파라오들이 테베에 있는 왕들의 계곡(KV라고 표기됨)에 묻혔다. 신왕국 시대에는 여러 외교 결혼 사례가 알려져 있다. 외국 왕의 딸들은 종종 설형문자 문서에만 언급되며, 다른 자료에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결혼은 국가 간의 우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파라오들의 통치 아래 이집트는 군사적, 문화적으로 최전성기를 누렸고, 이는 고대 이집트 문명의 정수를 보여주는 시대로 평가받고 있다.
4. 이집트 제18왕조의 무덤과 매장 관습
1) 왕가의 무덤
제18왕조 시기에는 파라오들의 매장 방식에 큰 변화가 있었다. 이전 왕조들이 피라미드를 사용했던 것과 달리, 제18왕조는 ‘왕가의 계곡(Valley of the Kings)’이라 불리는 테베 서안의 외딴 계곡에 무덤을 조성하기 시작했다. 이는 도굴꾼들로부터 왕실 무덤을 보호하기 위한 시도였다.
왕가의 계곡에 있는 무덤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암벽을 파서 만든 지하 무덤 구조
- 복잡한 통로와 방들로 구성
- 화려한 벽화와 부조로 장식
- 사후 세계를 위한 안내서인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내용이 벽에 새겨짐
2) 미이라 제작 기술
제18왕조 시기에는 미이라 제작 기술이 절정에 달했다:
- 내장을 제거하고 특수 용기(카노픽 항아리)에 보관
- 뇌는 코를 통해 제거
- 시체는 나트론(소금 혼합물)으로 70일간 건조
- 방부제와 향료로 처리한 후 아마포로 꼼꼼히 감싸기
- 부적과 주문이 적힌 두루마리를 미이라와 함께 배치
3) 장례 의식
장례 의식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했다:
- ‘입 열기(Opening of the Mouth)’ 의식을 통해 사자의 영혼이 다시 몸을 사용할 수 있게 함
- 죽은 자의 심장을 마아트(진실과 정의의 여신)의 깃털과 저울질하는 심판 의식 묘사
- 오시리스(사후 세계의 신)에게 바치는 다양한 제물
- 사자를 위한 음식, 가구, 의복, 장신구 등의 부장품 배치
4) 귀족과 일반인의 무덤
파라오뿐만 아니라 귀족들도 화려한 무덤을 가졌다:
- 귀족들은 ‘귀족의 무덤(Tombs of the Nobles)’이라 불리는 지역에 무덤을 만듦
- 벽화에는 일상생활, 농업, 축제 등의 장면이 묘사됨
- 일반인들은 더 단순한 무덤에 묻혔으나, 여전히 사후세계를 위한 준비를 중요시함
5) 아마르나 시대의 특이점
아케나톤의 아마르나 시대에는 매장 관습에도 변화가 있었다:
- 전통적인 오시리스 신앙 대신 아톤 중심의 장례 의식
- 왕실 무덤의 예술 양식이 더 자연스럽고 사실적으로 변화
- 아마르나에 별도의 왕실 무덤 조성
이 시기의 무덤과 매장 관습은 이집트인들의 사후세계에 대한 강한 믿음과 영생을 추구하는 종교적 세계관을 잘 보여주는 증거이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