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0일 수요일

아케메네스 제국(Achaemenid Empire) 개요 : 제1차 페르시아 제국(기원전 550~330년)

아케메네스 제국(Achaemenid Empire) 개요 : 1차 페르시아 제국(기원전 550~330)


개요
 
아케메네스 제국(Achaemenid Empire, Achaemenian Empire)은 페르시아 제국(Persian Empire) 또는 제1차 페르시아 제국(First Persian Empire)로도 불린다. 고페르시아어 𐎧𐏁𐏂(Xšāça, ‘제국또는 왕국’)라 하며, 아케메네스 왕조의 키루스 대왕이 기원전 550년에 건국했다. 오늘날 이란 지역을 기반으로 했고, 당시 기준 세계 최대의 제국으로 총 550만 제곱킬로미터(210만 제곱마일)에 달했다. 서쪽으로 발칸과 이집트, 서아시아 대부분, 북동쪽으로 중앙아시아의 대다수, 남동쪽으로 남아시아 인더스 계곡까지 걸쳤다.
 
아케메네스 제국이 가장 넓은 영토를 가졌던 시기, 다리우스 대왕(재위: 기원전 522–486년)의 통치 아래에서
아케메네스 제국이 가장 넓은 영토를 가졌던 시기다리우스 대왕(재위기원전 522486)의 통치 아래에서
 
기원전 7세기 무렵, 이란 고원의 남서부 페르시스 지역에 페르시아인들이 자리 잡았다. 이 지역에서 떠오른 키루스는 메디아 제국과 리디아, 신바빌로니아를 잇달아 격파하여 아케메네스 왕조 아래 새로운 제국 체제를 확립했다.
 
근현대 연구에서 아케메네스 제국은 중앙집권적 관료 행정 모델의 성공적 시행, 다문화 정책, 도로망과 조직적 우편 체계 같은 복합 인프라 건설, 영내 공식 언어 사용, 대규모 전문 상비군을 포함한 문관 제도의 발전으로 높이 평가된다. 이 성취는 후대 여러 제국들이 유사한 통치 양식을 도입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기원전 330년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은 키루스를 숭모했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끄는 마케도니아군에게 붕괴했다. 알렉산드로스의 사망은 헬레니즘 시대의 시작을 알리며, 몰락한 아케메네스 영토 대부분은 약 한 세기 동안 프톨레마이오스 왕국과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후 이란 고원 엘리트들이 파르티아 제국 아래 권력을 회복했고, 결국 페르시아인들은 다시 사산 제국(AD. 224~651)을 세웠다.
 
어원
 
아케메네스 제국의 이름은 건국자 키루스 대왕의 선조 아케메네스(Achaemenes)에서 유래한다. ‘아케메네스 왕가의라는 뜻의 Achaemenid는 고페르시아어 𐏃𐎧𐎠𐎶𐎴𐎡𐏁(Haxāmaniš)에서 왔으며, ‘벗의 마음을 지닌이라는 의미의 바후브리히 합성어로 해석된다. 아케메네스 자신은 기원전 7세기 소() 군주로 남서 이란 안샨을 다스렸고 아시리아의 봉신이었다.
 
기원전 850년경, 훗날 제국을 연 유목 집단은 스스로를 파르사(Parsa), 그 변화하는 거주지를 파르수아(Parsua)라 불렀으며, 주로 페르시스 일대에 국한되었다. ‘페르시아라는 명칭은 이 원어(고페르시아어 𐎱𐎠𐎼𐎿, Pārsa: 페르시스 출신 민족의 나라)를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발음한 형태다. 𐎧𐏁𐏂(Xšāça, ‘왕국’)라는 페르시아어 표현은 이 다민족 국가가 형성한 제국을 가리키는 용례로 사용되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