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비아누스(Jovian, AD. 331~364) : 로마 제국 제47대 황제(AD.363~364)
- 플라비우스 요비아누스(Flavius Jovianus)
- Ancient Greek : Ἰοβιανός, Iobianós
- 부친 : 바로니아누스(Varronianus)
- 배우자 : 차리토(Charito)
- 자식 : 바로니아누스(Varronianus), 무명의 아들
- 출생 : 기원후 331년 / 모이시아, 싱기두눔(Singidunum, 베오그라드)
- 사망 : 기원후 364년 2월 17일 / 아나톨리아, 다다스타나(Dadastana)
- 재위 : 기원후 363년 6월 27일 ~ 364년 2월 17일
![]() |
요비아누스(Jovian, AD. 331~364) : 로마 제국 제47대 황제(AD.363~364) |
혼란 속 갑작스러운 등극, 그리고 짧지만 중요한 시대의 전환점
로마 제국의 역사는 격동의 연속이었다. 특히 4세기 중반은 콘스탄티누스 왕조의 쇠퇴와 함께 제국 전체가 대내외적인 위기에 직면했던 시기이다. 철학자이자 군인 황제였던 율리아누스(Julian)가 페르시아 원정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로마 제국은 다시금 불안정한 공백 상태에 빠졌다. 이 혼란 속에서 예상치 못하게 황제의 자리에 오르게 된 인물이 바로 요비아누스(Jovian)이다. 그의 재위 기간은 불과 7개월에 불과했지만, 율리아누스의 이교 부흥 정책을 뒤집고 기독교를 복원했으며, 무엇보다 서로마와 동로마 제국이 공식적으로 분할되기 전 전체 제국을 통치한 마지막 황제라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요비아누스의 갑작스러운 등극부터 페르시아와의 굴욕적인 평화 조약, 그리고 그의 짧은 통치와 의문스러운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본다.
1. 요비아누스, 빛을 보지 못한 로마 엘리트 군인의 삶
요비아누스(Flavius Jovianus)는 331년경 세르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Belgrade) 지역에 위치했던 싱기두눔(Singidunum)이라는 로마 도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제국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요비아누스의 아버지인 바르로니아누스(Varronianus)는 콘스탄티우스 2세(Constantius II, 재위 337~361) 휘하 황실 경호대(comes domesticorum)의 사령관을 역임했다. comes domesticorum은 황제 직속의 최측근 군사 지휘관으로, 황제의 안위를 책임지는 중요한 위치였다.
아버지의 뒤를 이어 요비아누스 또한 황실 경호대에 합류하며 군인의 길을 걸었다. 그는 361년 콘스탄티우스 2세의 유해를 콘스탄티노플의 사도 성당으로 호송하는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이러한 경력은 그가 오랜 기간 황실 근위대에서 근무하며 군사적 경험을 쌓았음을 보여준다. 요비아누스는 카리토(Charito)라는 여성과 결혼하여 바르로니아누스를 포함한 두 아들을 두었다. 그의 배경은 비록 정통 황족은 아니었지만, 콘스탄티누스 왕조 휘하에서 충실히 복무하며 고위직에 오른 유능한 군인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이름이 역사에 본격적으로 기록된 것은 그의 전임자인 율리아누스 황제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였다.
2. 율리아누스의 죽음과 황제 요비아누스의 갑작스러운 등극
363년, 율리아누스 황제는 로마 제국의 오랜 숙적이었던 사산 페르시아(Sasanian Empire)에 대한 대규모 원정을 감행했다. 원정 초기에는 로마군이 일부 승리를 거두었으나, 페르시아 내륙 깊숙이 진격하면서 보급선이 길어지고 페르시아군의 게릴라 전술에 시달리며 상황은 악화되었다. 363년 6월, 로마군은 퇴각 작전 중 페르시아군의 기습을 받았고, 이 전투에서 율리아누스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치명적인 부상을 입고 전사하고 말았다.
율리아누스의 죽음은 로마군에게 엄청난 충격과 절망을 안겨주었다. 제국의 황제가 적진 한복판에서 사망하는 전례 없는 상황에 놓인 로마군은 사기와 보급이 모두 최악인 상태에서 리더십 공백까지 겪게 되었다. 티그리스 강(Tigris River) 건너편에는 적군이 도사리고 있었고, 강을 건너 도망칠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절박한 상황에서 로마군은 새로운 황제를 선출해야 했다. 당시 사령관급 인물들은 선뜻 황제의 자리를 맡으려 하지 않았다. 군 내부의 혼란 속에서 여러 이름들이 오갔고, 결국 율리아누스 황실 경호대의 장교였던 요비아누스가 병사들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다. 그의 즉위는 황제에 대한 오랜 투표 전통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고 알려진다. 당시 그는 32세였다.
3. 페르시아와의 굴욕적인 평화 조약
황제로 등극한 요비아누스는 로마군이 처한 절망적인 상황을 직시해야 했다. 보급은 끊기고 병사들의 사기는 바닥이었으며, 설상가상으로 페르시아군이 퇴각하는 로마군을 끈질기게 추격했다. 요비아누스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굴욕적인 평화 조약이라도 맺어야 했다.
사산 제국의 샤푸르 2세(Shapur II, 재위 309~379)는 이러한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그는 요비아누스에게 로마 제국의 중요한 동부 영토인 아르메니아(Armenia) 일부와 메디아(Media) 그리고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의 중요한 요새 도시 니시비스(Nisibis) 등 5개 속주를 할양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로마 제국이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최악의 영토 상실이었다. 더욱이 요비아누스는 페르시아군이 이 영토들을 점령할 때까지 로마군의 철수를 허용하는 굴욕적인 조건을 수락해야 했다. 이 조약은 30년간의 평화를 보장했지만, 로마인들에게는 깊은 수치심을 안겨주었다. 이 사건은 훗날 역사에서 요비아누스를 비판하는 주요 근거가 되기도 했다.
4. 짧은 통치와 종교적 전환
굴욕적인 조약 체결 후, 요비아누스는 남은 로마군을 이끌고 콘스탄티노플로 귀환하기 위한 긴 여정을 시작했다. 그의 재위 기간은 7개월이라는 극히 짧은 시간이었지만, 이 시기 동안 그는 제국의 종교 정책에 있어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율리아누스는 로마의 고대 이교 신앙을 부흥시키려 했고, 기독교를 억압했다. 하지만 요비아누스는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고, 그의 종교적 배경은 명확한 기독교인이었다.
귀환 도중 에데사(Edessa)에 도착했을 때, 요비아누스는 기독교 주교들의 요청을 받았다. 이들은 율리아누스 황제 시대에 억압받던 기독교 교리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고, 요비아누스는 기독교 성직자들을 복권시키고 그들의 특권을 되찾아주었다. 그는 또한 기독교가 제국 내에서 다시 지배적인 종교가 될 수 있도록 율리아누스의 반(反)기독교 법률을 대부분 철회했다. 비록 그는 다양한 종교에 대한 관용을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기독교가 다시 확고한 지위를 되찾는 길을 열어주었다. 이는 로마 제국의 종교가 이교에서 기독교로 완전히 전환되는 결정적인 순간이었다.
요비아누스는 또한 이전 황제 콘스탄티우스 2세의 지지자들을 자신의 지지자로 전환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콘스탄티우스 2세의 유해를 콘스탄티노플의 성 사도 교회에 안치했으며, 이것이 율리아누스가 콘스탄티우스 2세의 유해를 원래 가족묘에 묻으려 했던 것과 대비되는 행동으로 콘스탄티누스 왕조의 유산을 존중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5. 의문스러운 죽음과 역사적 의미
요비아누스는 콘스탄티노플에 도달하지 못하고 364년 2월 17일, 소아시아의 다다스타나(Dadastana)에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여러 설을 낳으며 오늘날까지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향상(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아황산 암모늄 혼합물)에 질식사했다는 설, 음식 중독이나 과음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발열로 사망했다는 설 등이 제기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그의 죽음은 예상치 못한 갑작스러운 것이었다. 그는 사망 당시 불과 33세였다.
요비아누스의 통치는 로마 역사에서 매우 짧고도 어두운 한 페이지로 기록될 수 있지만, 동시에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 그는 페르시아와의 굴욕적인 조약으로 인해 상당한 영토를 잃었지만, 최악의 상황에서 제국군을 구출하고 더 큰 재앙을 막았다. 또한 율리아누스에 의해 위협받았던 기독교의 지위를 다시 확고히 하며, 로마 제국의 종교적 정체성을 기독교로 굳히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요비아누스가 서로마와 동로마 제국으로 완전히 분할되기 전, 전체 로마 제국을 통치한 마지막 황제라는 사실이다. 그의 사후 발렌티니아누스 1세(Valentinian I, 재위 364~375)가 서로마를, 그의 동생 발렌스(Valens, 재위 364~378)가 동로마를 통치하면서 로마 제국은 사실상 두 개의 독립적인 행정 구역으로 나뉘게 된다. 요비아누스의 짧은 통치는 제국이 맞이할 더 큰 분열과 변화의 전조였다. 그의 갑작스러운 등극과 죽음은 4세기 로마 제국의 취약한 권력 구조와 예측 불가능한 미래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