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수의 실패한 영웅 : 중국 신화 속 곤(鲧)의 비극적 서사
중국 고대사의 여명기는 때로는 전설과 신화의 장막에 가려져 있지만, 그 속에서 인류의 삶과 문명의 기원을 엿볼 수 있다. 곤(鲧, 생몰년 미상)은 바로 그 전설의 한복판에 서 있는 인물로, 치수(治水) 사업의 실패와 비극적인 죽음으로 기억되는 존재이다. 그는 위대한 치수자이자 하(夏)나라를 건국한 우(禹)의 아버지로서, 아들의 영웅적 서사에 그림자처럼 드리워진 비운의 인물이기도 하다. 곤의 이야기는 단순히 물을 다스리지 못한 실패담이 아니라, 고대인들이 자연을 이해하고 극복하려 했던 지난한 노력, 그리고 통치자의 역할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다.
1. 곤의 배경과 대홍수 시대의 도래
곤은 삼황오제(三皇五帝) 시대에 태어난 인물로, 여러 고전 문헌에서 그의 배경에 대한 다양한 언급이 있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곤은 전욱(顓頊)의 손자 또는 5대 후손이라는 주장도 있다. 또한 《산해경(山海經)》에는 황제(黃帝)가 낳은 낙명(駱明)의 아들이며, 낙명이 백마(白馬)를 낳았고 백마가 바로 곤이라는 신화적인 계보도 전해진다.
그는 숭백(崇伯)으로 봉해져 숭백 곤(崇伯鲧)으로도 불렸다. ‘숭’은 곤이 다스리던 지역을 의미하며, 그의 활동 무대가 당시 홍수로 고통받던 광대한 영역이었음을 시사한다.
곤이 활약하던 시대는 거대한 물난리, 즉 대홍수(大洪水)가 전 중국 대륙을 휩쓸던 시기였다[楚辞·天问, 山海经·海内经]. 이 홍수는 하늘에서 재앙처럼 쏟아져 내렸으며, 농경지를 삼키고 마을을 파괴하며 백성들을 큰 고통에 빠뜨렸다. 순(舜)에게 선양하기 전 요(堯) 임금이 천하를 다스리던 때였다. 백성들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요 임금은 대홍수를 다스릴 인물을 찾았고, 곤이 이 중책을 맡게 된다.
2. 치수(治水)의 시도와 곤의 실패
곤은 홍수를 막기 위해 식양(息壤)이라는 신비한 흙을 훔쳐와 사용했다. 식양은 저절로 늘어나는 특성을 가진 흙으로, 곤은 이 흙을 사용하여 둑을 쌓아 물을 가두고 범람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그의 치수 방식은 물의 흐름을 거스르는 ‘막기(堙)’ 위주의 방법이었다.
곤은 9년 동안이나 이 치수 사업에 매달렸지만, 홍수는 결코 잡히지 않았고 오히려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고전 문헌들은 그의 치수 사업이 결국 실패로 돌아갔음을 일관되게 기록한다.
- 《상서ㆍ우서ㆍ순전(尚书ㆍ虞书ㆍ舜典)》 : “유공공어유주(流共工于幽洲), 방환두어숭산(放驩兜于崇山), 찬삼묘어삼위(窜三苗于三危), 극곤어우산(殛鲧于羽山), 사죄이천하함복(四罪而天下咸服).” 이는 곤이 네 가지 죄악(四罪) 중 하나로 유산에서 처형당했음을 보여준다.
- 《춘추좌전ㆍ소공7년(春秋左传ㆍ昭公ㆍ昭公七年)》 : “옛날 요 임금이 곤을 유산에서 극(誅)하니, 그 신이 물고기가 되어 우연에 들어가니, 이것이 바로 하교(夏郊)가 되어 삼대(三代)가 그를 제사 지냈다.”
- 《산해경ㆍ해내경(山海经ㆍ海内经)》 : “홍수가 하늘까지 넘쳐흘러 곤이 제(帝)의 식양을 훔쳐 홍수를 막으려 했으나, 제의 명을 기다리지 않았다. 제는 축융(祝融)에게 명하여 우교(羽郊)에서 곤을 죽였다. 곤이 다시 우(禹)를 낳으니, 제는 이에 우에게 명하여 흙을 고르게 하여 구주(九州)를 정하게 했다.”
이러한 기록들은 곤의 치수 실패가 요 또는 순 임금의 진노를 샀고, 결국 우산(羽山)에서 처형당했음을 공통적으로 언급한다. 곤은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는 자연의 힘 앞에서 좌절했으며, ‘소통’ 대신 ‘억제’를 선택한 그의 방법론이 실패의 원인이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일부 문헌에서는 그가 요 임금에게 반대하다 처형당했다는 기록도 있다.
3. 비극적인 죽음과 이후의 전승
곤의 죽음은 단순히 한 인물의 실패를 넘어, 여러 신화적인 전승으로 이어진다.
- 물고기 또는 황곰으로의 변신 : 《국어ㆍ주어하(国语ㆍ周语下)》와 《설원ㆍ변물(说苑ㆍ辩物)》에 따르면 곤이 유산에서 죽은 뒤 물고기로 변하여 우연(羽渊)에 들어갔다고 전해진다. 또한 《춘추좌전ㆍ환공3년(春秋左传ㆍ桓公三年)》에는 그 신이 황곰으로 변했다고 기록하기도 한다. 이는 곤의 영혼이 죽은 후에도 자연 속에서 다른 형태로 존재하게 되었다는 고대인들의 믿음을 보여준다.
- 우(禹)의 탄생 : 가장 주목할 만한 전승은 곤의 죽음 이후 그의 몸에서 우(禹)가 태어났다는 것이다. 《산해경》과 《천문(天问)》 등의 고서에 “곤복생우(鲧腹生禹, 곤의 배에서 우가 태어났다)”라는 기록이 명확하게 나온다. 이 전승은 실패한 아버지의 업적을 아들이 계승하고 완성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마치 죽음을 통해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고, 이전 세대의 시행착오를 통해 다음 세대가 성장한다는 순환적인 세계관을 반영한다.
- 삼대(夏ㆍ殷ㆍ周)의 제사 : 《춘추좌전》 등의 기록에 따르면 곤의 죽음 이후 그의 신이 물고기나 황곰으로 변했으며, 하(夏)ㆍ은(殷)ㆍ주(周)의 삼대(三代)가 그를 제사 지냈다고 한다. . 이는 곤이 비록 실패했으나, 치수라는 국가적 대업에 헌신한 인물로서 후대 왕조들에게도 존경받았음을 보여준다.
4. 곤에 대한 다양한 평가와 논란
곤에 대한 평가는 그의 치수 실패라는 핵심 사실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나뉜다.
- 통치자의 오만과 실패의 본보기 : 많은 문헌에서 곤은 황제의 명령을 거역하고, 자신의 고집대로 치수를 감행하다 실패하여 처벌받는 인물로 그려진다[韩非子ㆍ外储说右上]. 《좌전(左传)》에서는 그를 전욱의 불초한 아들(不才子)인 ‘도철(梼杌)’과 동일시하며, “가르쳐도 배움을 모르고, 말이 막히면 완고하며, 내버려두면 기고만장하고, 교만하고 사나운 덕으로 천륜을 어지럽혔다”고 묘사한다.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는 통치자의 오만함과 불통이 백성들에게 어떤 재앙을 가져올 수 있는지를 경계하는 교훈적 의미를 담고 있다.
- 희생양 혹은 선구자 : 다른 한편으로 곤은 대홍수라는 불가항력적인 재난 앞에서 백성들을 위해 홀로 분투하다 실패한 비극적인 영웅으로 보기도 한다. 그의 실패는 물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며, 물을 다스리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선구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 성벽 건설의 시초 : 일부 문헌에서는 곤이 성벽을 만든 시조라고 기록된다. 《여씨춘추ㆍ군수(吕氏春秋ㆍ君守)》는 “하 곤이 성을 지었다”고 말하며, 《예기ㆍ제법(礼记·祭法)》의 주석도 그가 “성곽을 만들었다”고 인용한다. 이는 곤이 치수와 더불어 백성들의 안전을 위한 거주지 건설에도 기여했음을 시사하며, 단순히 실패한 인물이 아닌 고대 사회 발전에 일정 부분 공헌한 측면도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 학자 고힐강(顾颉刚)과 동수업(童书业)은 곤과 우의 관계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했다. 《묵자(墨子)》에서는 곤을 “상제의 맏아들”로 묘사하며, “아버지를 죽여 아들을 상 준다”는 방식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산해경》과 《천문》 같은 신화적 기록들은 이미 곤과 우를 부자 관계로 설정하고 있다. 이는 곤과 우의 이야기가 단순히 역사적 사실뿐 아니라, 신화적, 철학적 의미를 복합적으로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5. 곤의 최후가 주는 교훈
곤의 이야기는 중국 고대 사회에서 자연 재해와 그 극복의 중요성, 그리고 통치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잘 보여준다. ‘막기’ 위주의 치수 방식이 실패로 돌아가고, 물의 흐름을 ‘소통시키고 이끄는’ 대우의 방식이 성공했다는 서사는 단순한 기술적 차이를 넘어선 철학적 함의를 담고 있다. 자연의 힘을 거스르기보다 그 흐름을 이해하고 순응하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곤의 비극적인 최후는 통치자가 하늘의 명을 거스르거나 백성들의 고통을 해결하지 못했을 때 겪을 수 있는 비극적인 말로를 상징한다. 동시에 그의 아들 우가 아버지의 실패를 통해 배우고 위대한 업적을 이루었다는 이야기는, 시행착오와 실패가 더 큰 성공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곤의 존재는 우의 위대함을 더욱 부각시키는 그림자이자, 후대 통치자들이 반드시 경계하고 본받아야 할 지혜의 원천이 된 셈이다.
결론 : 비운의 치수자와 그의 영원한 그림자
곤은 고대 중국 신화 속 대홍수 시대에 백성들의 고통을 덜어주려 했으나, 자신의 고집스러운 방식으로 인해 결국 실패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인물이다. 그의 치수 사업 실패는 요 임금과 순 임금의 진노를 샀고, 유산에서 처형당했다는 기록은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는 오만의 대가를 보여준다. 하지만 그의 죽음 이후 아들 우가 태어났다는 신화는 실패가 새로운 시작을 낳고, 아버지가 이루지 못한 꿈을 아들이 완성한다는 심오한 의미를 부여한다.
비록 부정적인 평가와 비극적인 결말을 가졌지만, 곤은 단순한 실패자를 넘어 고대인들이 자연에 맞서 싸우고 문명의 기틀을 마련하려 했던 헌신적인 노력을 상징한다. 그의 이야기는 ‘소통’과 ‘순응’이라는 지혜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교훈적인 서사로 남아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곤은 위대한 우의 영원한 그림자이자, 고대 중국 역사의 시작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비운의 영웅으로 기억될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