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31일 일요일

[고대 근동] 파르티아 제국(BC. 247 ~ AD. 224)의 군주 목록

[고대 근동] 파르티아 제국(BC. 247 ~ AD. 224)의 군주 목록

 

1. 파르티아 왕들의 연대기 정립의 어려움

 
파르티아 군주들의 대략적인 순서는 로마 역사가들의 기록과 전통적인 문헌 자료를 통해 어느 정도 알려져 있지만, 세부적인 부분에는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현대 학자들은 문헌 외에도 파르티아 주화(코인)에 새겨진 날짜, 왕의 이름, 얼굴 양식 등을 통해 연대기를 구성하려 했으나, 초기의 많은 주화에는 왕의 이름이 없거나 날짜가 표시되지 않거나, 모든 왕이 '아르사케스(Arsaces)'라는 칭호를 사용했기 때문에 개별 식별이 어려웠다. 아마도 '아르사케스'는 로마의 '카이사르(Caesar)'처럼 이름이 아닌 공식 칭호로 작용한 것 같다.
 

2. 주요 연구자들

 
  • [Sellwood] 데이비드 셀우드(David Sellwood) : 파르티아 제국의 주화(동전) 연구의 권위자
  • [Assar] 골람레자 F. 아사르(Gholamreza F. Assar) : 고대 이란 및 파르티아의 연대기에 정통한 학자
  • [Daryaee] 투라즈 다르야이(Touraj Daryaee) : 사산 왕조와 그 이전 이란사의 대표 학자 중 한 명
  • [Dąbrowa] 에드바르트 옘브로바(Edward Dąbrowa) : 파르티아 제국의 정치사, 외교사 전문 역사학자
 

3. 파르티아 역대 군주

 
King
Regnal dates
비고
Sellwood
(1971–80)
Assar
(2011)
Daryaee
(2012)
Dąbrowa
(2012)
아르사케스 1세
Arsaces I
247–211 BC247–217 BC아르사카스 왕조의 창시자. 셀레우코스 제국의 사트라프인 안드라고라스에서 파르티아 지역을 정복.
아르사케스 2세
Arsaces II
211–191 BC211–185 BC211–191 BC217–191 BC아르사카스 I세의 아들.
프리아파티우스
Priapatius
191–176 BC185–170 BC191–176 BC아르사카스 1세의 형제의 손자이다. 프리아파티우스(Priapatius)는 아르사카스 2세의 더 직계 후손들보다 왕위를 계승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아르사카스 2세가 자녀가 없었거나, 자녀가 있었다 해도 미성년이었거나, 혹은 프리아파티우스가 유능하다고 여겨져 아르사카스 2세에 의해 후계자로 지명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미상170–168 BC아르사카스 2세의 손자이다. 아사르(Assar)의 연대표에 따르면, 프리아파티우스는 자신의 아들들보다 이 인물을 후계자로 지명했을 것으로 보인다.
프라아테스 1세
Phraates I
176–171 BC168–164 BC176–171 BC프리아파티우스의 맏아들이다. 그는 잠시 통치하다가 사망하였고, 그의 형제인 미트리다테스 1세가 뒤를 이었다. 프라아테스 1세는 아들들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는 자신의 아들들보다 형제인 미트리다테스를 후계자로 지명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미트리다테스가 아들들보다 더 유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수 있다.
미트리다테스 1세
Mithridates I
171–132 BC164–132 BC171–138 BC171–132 BC프리아파티우스의 아들이다. 미트리다테스 1세는 페르시아와 메소포타미아, 그리고 그 너머 지역까지 정복함으로써 지방 세력에 불과하던 파르티아 왕국을 진정한 제국으로 탈바꿈시켰다. 그는 바빌로니아의 설형문자 기록에서 "왕 중의 왕"이라는 칭호를 받은 인물이다.
프라아테스 2세
Phraates II
132–127 BC138–127 BC132–126 BC미트리다테스 1세의 아들이며, 아버지가 사망했을 당시 나이가 어려서 처음에는 어머니 린누(Rinnu)의 섭정 하에 통치했다.
아르타바누스 1세
Artabanus I
127–124 BC127–126 BC127–124 BC126–123/122 BC프리아파티우스(Priapatius)의 아들이다.
아르타바누스 2세
Artabanus(II)
126–122 BC
아르타바누스 1세(Artabanus I)의 아들이다. 로마 역사가 유스티누스(Justin)의 저작에 근거해, 전통적으로 학자들은 미트리다테스 2세(Mithridates II)가 아버지 아르타바누스 1세의 뒤를 곧바로 이은 것으로 본다. 그러나 아사르(Assar)와 일부 다른 학자들은 주화와 설형문자 자료를 근거로, 왕위 계승 과정이 더 복잡했으며, 아르타바누스 2세(Artabanus II)가 동명의 아버지와 혼동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미상I—122–121 BC아르타바누스 2세(Artabanus II)의 아들이다. 아사르(Assar)는 전통적으로 미트리다테스 2세(Mithridates II)에게 귀속된 일련의 주화를 근거로 이 인물을 제안하였다. 아사르에 따르면, 이 주화들은 젊고 수염이 없는 통치자를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수염이 풍성하고 나이가 많은 모습으로 묘사된 아르타바누스 1세, 아르타바누스 2세, 그리고 미트리다테스 2세의 주화들과는 달라 이들 사이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는 왕을 시사한다.
미트리다테스 2세
Mithridates II
124–91 BC121–91 BC123–88 BC122–91 BC
아르타바누스 1세(Artabanus I) 또는 프리아파티우스(Priapatius)의 아들이다.
공식적으로 ‘왕 중의 왕(King of Kings)’이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확실히 확인된 첫 번째 파르티아 통치자이다.
고타르제스 1세
Gotarzes I [Rival king?]
95–90 BC91–87 BC95–90 BC92–? BC많은 동전의 출처가 불확실하여 그의 치세 기간과 가계가 논쟁 중이다. Assar는 설형문자 기록을 바탕으로 그가 미트리다테스 2세(Mithridates II)의 아들이며 바빌로니아에서 아버지의 뒤를 이었다고 보고 있다. 반면 Daryaee는 그를 프리아파티우스(Priapatius)의 손자로 보고 있다. Assar에 따르면, 고타르제스(Gotarzes)의 통치는 제국 내 다른 지역에서 시나트루케스 1세(Sinatruces I)와 경쟁을 벌였다고 한다.
미트리다테스 3세
Mithridates III
87–80 BC미트리다테스 2세의 아들(Assar에 따르면)
오로데스 1세
Orodes I
90–80 BC80–75 BC90–80 BC계보가 불확실함: Assar는 오로데스 1세가 고타르제스 1세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Sellwood는 오로데스 1세가 미트리다테스 2세의 아들이라고 믿는데, 이는 오로데스 1세가 자신의 주화에서 미트리다테스와 같은 왕관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Daryaee 또한 오로데스가 고타르제스의 형제라고 지지한다.
—미상—80 BC
Sellwood에 따르면, 희미하게 알려진 가능성 있는 통치자로, 동전으로만 알려져 있다
—미상—80–70 BC78/77–62/61 BCSellwood와 Assar에 따르면, 희미하게 알려진 가능성 있는 통치자로, 동전으로만 알려져 있다.
시나트루케스 1세
Sinatruces I
[Rival king?]
75 BC93/92–70/69 BC77–70 BC88/87–71/70 BC프리아파티우스의 아들이거나(셀우드와 다르아이에) 미트리다테스 1세의 아들(아사르 등)에 해당한다.[5] 셀우드는 그가 기원전 70년대에 잠시 통치했다고 보지만, 아사르와 담브로바는 그가 기원전 90년대부터 70년대까지 간헐적으로 경쟁 왕으로 통치했으며, 아마도 70년대에 완전한 단독 통치권을 얻었을 것으로 본다. 그는 바빌로니아 설형문자 기록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프라아테스 3세
Phraates III
70–57 BC70/69–58/57 BC70–57 BC71/70–58/57 BC시나트루케스 1세의 아들이다. 아버지와는 달리 바빌로니아 비문에 기록되어 있다.
미트리다테스 4세
Mithridates IV
57–54 BC58/57–55 BC57–54 BC58/57–54/53 BC프라테스 3세의 아들로, 오로데스 2세와 함께 아버지를 살해했다.
오로데스 2세
Orodes II
57–38 BC58/57–38 BC프라테스 3세의 아들로, 형 미트리다테스 4세가 아버지를 폐위시키는 것을 도왔으며, 이후 형을 폐위시키고 살해하여 혼자서 권력을 장악했다.
파코루스 1세
Pacorus I
[Junior co-ruler?]
39 BC오로데스 2세의 장남이다. 셀우드에 의해 통치자로 여겨진다. 그의 왕권이 어느 정도였는지—아버지와 함께 공동 통치자였는지, 단독 통치자였는지, 아니면 경쟁 왕이나 반란군 지도자였는지, 혹은 실제로 통치했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프라아테스 4세
Phraates IV
38–2 BC38/37–2 BC38 BC – AD 238–3/2 BC오로데스 2세의 아들이며, 파코루스 1세 사후 아버지에 의해 후계자로 선택되었다. 자신의 지위가 불안하다고 느낀 프라아테스 4세는 오로데스 2세의 다른 자녀들을 학살하였다.
티리다테스 2세
Tiridates II
[Rival king]
29–27 BC27 BC31 BC아르사키드 왕조의 일원이지만 혈통이 불확실하다. 프라아테스 4세에 맞서 일부 파르티아 귀족들의 지지를 받은 경쟁 왕이다. 잠시 동안 제국의 통제권을 확보하여 프라아테스 4세를 추방했으나, 짧은 치세 후 프라아테스에게 패배하고 자신도 추방당했다.
프라아테스 5세
Phraates V
2 BC – AD 42 BC – AD 4/5AD 2–43/2 BC – AD 2프라아테스 4세의 아들이며, 어머니 무사와 함께 공동 통치했다.
무사
Musa
2 BC – AD 42 BC – AD 4/5AD 2–43/2 BC – AD 2원래 로마의 노예였으며, 프라아테스 4세의 아내이자 프라아테스 5세의 어머니였다. 아들 프라아테스 5세와 함께 파르티아 제국의 최초이자 유일한 여성 공동 통치자로서 통치했다.
오로데스 3세
Orodes III
AD 6AD 6–8AD 6AD 4–6아르사시드 왕조의 일원이지만 혈통은 불확실하다. 프라아테스 5세가 폐위된 후 파르티아 귀족들에 의해 즉위한 것으로 믿어지며, 매우 짧은 통치 기간 후에 암살당했을 가능성이 있다. 다랴이에(Daryaee)는 오로데스가 프라아테스 4세의 아들로 보았다.
보노네스 1세
Vonones I
AD 8–12AD 6–11/12프라아테스 4세의 아들이다.
아르타바누스 2세
Artabanus II
AD 10–38AD 11/12–39혈통이 불확실하며, 아마도 프라아테스 4세의 딸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기원후 10년에 보노네스 1세에 맞서 반군 왕으로 선언되었으며, 기원후 12년에 보노네스를 물리치고 제국의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티리다테스 3세
Tiridates III
[Rival king]
AD 35–36AD 35–36프라아테스 4세의 손자. 파르티아 귀족들에 의해 기스폰에서 아르타바누스 2세에 대한 반군 왕으로 세워졌으나, 짧은 통치 기간 후 아르타바누스에게 패배하였다.
바르다네스 1세
Vardanes I
AD 40–47AD 38–46AD 40–47AD 39–45아르타바누스 2세의 아들. 아버지 사후 왕위 계승을 두고 형제인 고타르제스 2세와 싸웠다. 처음에는 성공하여 바르다네스는 제국을 다스리고 고타르제스는 히르카니아 지역을 다스리는 합의를 이루었다. 이후 암살된 것으로 추정되며, 그 후 고타르제스가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고타르제스 2세
Gotarzes II
AD 40–51AD 44–51AD 40–51아르타바누스 2세의 아들. 아버지 사후 왕위 계승을 두고 형 바르다네스 1세와 싸웠다. 바르다네스 1세가 사망한 후 단독 통치자가 되었다.
메헤르다테스
Meherdates
[Rival king]
AD 49–50AD 49–51보노네스 1세의 아들. 고타르제스 2세와 경쟁한 라이벌 왕이었다.
보노네스 2세
Vonones II
AD 51AD 51출신 계보가 불확실하며, 아마도 프라아테스 4세의 딸 아들이자 아르타바누스 2세의 형제일 가능성이 있다. 짧은 기간 통치했으며, 아마도 제국에 대한 통제력이 약했을 가능성이 있다.
볼로가세스 1세
Vologases I
AD 50–79AD 50–54; 58–77AD 51–78AD 51–78/79출신 계보가 불확실하며, 아마도 보노네스 2세의 아들이거나 고타르제스 2세의 형제(즉, 아르타바누스 2세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만약 볼로가세스 1세가 고타르제스 2세의 형제라면, 보노네스 2세는 볼로가세스 1세의 직접적인 전임자가 아니라 경쟁 왕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바르다네스 2세
Vardanes II
[Rival king]
AD 55–58AD 54–58AD 54/55바르다네스 1세의 아들. 셀레우키아에서 볼로가세스 1세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며, 아마도 몇 년 동안 볼로가세스에 맞서 그곳을 다스렸다.
파코루스 2세
Pacorus II
AD 75–110AD 78–120AD 78–105AD 78–110볼로가세스 1세의 아들. 파코루스 2세가 아직 어린아이였을 때 아버지에 의해 공동 통치자로 선언되었다. 아버지가 사망한 후 단독 통치자로 즉위했다.
볼로가세스 2세
Vologases II
[Rival king]
AD 77–80AD 76/77–79볼로가세스 1세의 아들. 파코루스 2세에 맞서 경쟁 왕으로 등장했다. 볼로가세스 2세의 존재는 주로 동전 증거에 기반하지만, 이 동전들이 실제로는 볼로가세스 1세에게 귀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의 실존 여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아르타바누스 3세
Artabanus III
[Rival king]
AD 80–82AD 79/80–85AD 80–90볼로가세스 1세의 아들이거나 형제. 파코루스 2세에 대항하는 경쟁 왕으로, 바빌로니아 외 지역에서는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는 그가 파코루스 2세의 형제가 아니라 삼촌일 경우, 파코루스 2세가 미성년일 때 정당한 왕으로 통치했을 가능성도 있다.
볼로가스 3세
Vologases III
AD 105–147AD 111–146AD 105–147AD 110–147파코루스 2세의 아들
오스로에스 1세
Osroes I
[Rival king]
AD 109–129AD 108/109–127/128AD 109–129파코루스 2세의 아들. 볼로가세스 3세에 맞서 경쟁했던 왕으로, 수십 년 동안 파르티아 제국 서부 핵심 지역을 지배했다. 서기 116년 트라야누스 황제의 파르티아 정복 후 잠시 폐위되었으나, 다시 왕위를 되찾았다.
파르타마스파테스
Parthamaspates
[Roman puppet king]
AD 116오스로에스 1세의 아들. 로마인들에 의해 꼭두각시 왕으로 선포되었으나, 로마군이 떠난 직후 아버지에 의해 패배하고 축출되었다.
시나트루케스 2세
Sinatruces II
[Rival king]
AD 116
미트리다테스 5세(재위 129–140)의 아들. 아버지와 함께 파르타마스파테스에 대항하는 경쟁 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비잔틴 역사학자 존 말랄라스(John Malalas)에만 언급되며, 동전에 대한 출처가 불확실해 신아트루케스 2세(Sinatruces II)의 존재 자체가 확실하지 않다.
—미상—
[Rival king]
AD 140아르사케스 왕조의 일원이지만 혈통이 불확실하다. 볼로가세스 3세에 맞서 경쟁한 왕이었으나, 그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미트리다테스 5세
Mithridates V
[Rival king]
AD 129–140AD 128–147AD 129–140혈통이 불확실하다. 볼로가세스 3세에 맞서 경쟁한 왕이었으나, 그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AD 116/117년에 아들 시나트루케스 2세와 함께 파르타마스파테스에 대항하여 왕위를 주장했을 가능성이 있다.
볼로가세스 4세
Vologases IV
AD 147–191AD 147–191/192미트리다테스 5세의 아들. 볼로가세스 3세와 미트리다테스 5세가 죽은 후 왕이 되었다.
오스로에스 2세
Osroes II
[Rival king]
AD 190AD 190–208아르사키드 왕조의 일원이지만 혈통이 불확실하다. 볼로가세스 4세에 맞선 경쟁 왕이었으며, 반란 기간에 따라서는 볼로가세스 5세에 대해서도 경쟁 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인물은 파르티아 지역을 지배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볼로가세스 4세와 5세는 메소포타미아를 통치했을 수 있다.
볼로가세스 5세
Vologases V
AD 191–208AD 191–207/208AD 191–208AD 191/192–208볼로가세스 4세의 아들이다.
볼로가세스 6세
Vologases VI
AD 208–228AD 207/208–221/222AD 208–228AD 208–221/222볼로가세스 5세의 아들이다. 형인 아르다바누스 4세와 제국의 지배권을 두고 싸웠으며, 서기 약 216년까지 제국 대부분의 통제권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 볼로가세스 6세는 서기 228년까지 제국 일부를 다스렸을 가능성이 있는데, 그 해의 그의 이름이 새겨진 동전들이 발견되었다.
아르타바누스 4세
Artabanus IV
AD 216–224AD 212–224AD 216–224AD?–224볼로가세스 5세의 아들이다. 형인 볼로가세스 6세와 왕위를 놓고 싸웠으며, 서기 약 216년에 제국의 통제권을 장악했다. 아르다바누스 4세는 파르티아 제국의 마지막 왕으로, 서기 224년에 사산 왕조를 세운 아르다시르 1세에게 패배하였다.
티리다테스 4세
Tiridates IV
[Rival king?]
AD 216–224?아르사키드 왕조의 일부이지만 계보가 불확실하다. 티리다테스 4세의 존재는 명확하지 않다. 셀우드는 아르다바누스 4세의 동전 뒷면에 있는 두 번째 줄의 명문에서 티리다테스라는 이름이 포함된 것으로 보고 이 왕의 존재를 추정했으나, 이 해석은 의심스럽고 논쟁의 여지가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