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24일 일요일

[고대 근동] 아시리아 역대 왕 목록 [1] : 초창기 아시리아 통치자들

[고대 근동] 아시리아 역대 왕 목록 [1] : 초창기 아시리아 통치자들

 

1. 천막에 살던 왕들(kings who lived in tents)

 
1. 투디야(Tudiya)
2. 아다무(Adamu)
3. 양기(Yangi)
4. 수흘라무(Suhlamu)
5. 하르하루(Harharu)
6. 만다루(Mandaru)
7. 임수(Imsu)
8. 하르수(Harsu)
9. 디다누(Didanu)
10. 하누(Hanu)
11. 주아부(Zuabu)
12. 누아부(Nuabu)
13. 아바주(Abazu)
14. 벨루(Belu)
15. 아자라흐(Azarah)
16. 우쉬피아(Ushpia)
17. 아피아샬(Apiashal) : 우쉬피아의 아들
 
왕 목록에서 가장 초기의 인물들은 천막에 살던 왕들(kings who lived in tents)로 묘사되는데, 이들이 실존했다 하더라도 정착 도시 아수르를 다스렸던 인물들이 아니라, 그 주변을 떠돌던 유목 부족의 족장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수메르 왕 목록(Sumerian King List)과 마찬가지로, 이들 중 일부는 실제로는 서로 동시대의 경쟁자였던 인물들이 후대에 선후 관계로 배열된 것일 수도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이름들이 아시리아와는 무관한 아모리(Amorite) 계통의 지리적ㆍ부족적 명칭들이 혼합된 것에 불과하다고 본다.
 

2. 조상 왕들(kings who were ancestors)

 
17. 아피아샬(Apiashal) : 우쉬피아의 아들, ‘천막 왕목록에도 포함
18. 할레(Hale) : 아피아샬의 아들
19. 사마니(Samani) : 할레의 아들
20. 하야니(Hayani) : 사마니의 아들
21. 일루-메르(Ilu-Mer) : 하야니의 아들
22. 약메시(Yakmesi) : 일루-메르의 아들
23. 약메니(Yakmeni) : 약메시의 아들
24. 야즈쿠르-(Yazkur-el) : 약메니의 아들
25. 일라-캅카부(Ila-kabkabu) : 야즈쿠르-엘의 아들
26. 아미누(Aminu) : 일라-캅카부의 아들
 
목록 중 조상 왕들(kings who were ancestors)’로 불리는 일부 인물들은 아수르에서는 전혀 존재가 입증되지 않았으며, 샴시-아닷 1(Shamshi-Adad I, 재위 약 기원전 18081776)의 조상일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그의 아버지가 일루-캅카부(Ilu-kabkabu)였다는 기록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이들 인물은 아수르의 왕이 아니라, 테르카(Terqa, 샴시-아닷 가문의 고향)의 통치자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조상 인물들을 왕 목록에 끼워 넣은 목적은, 샴시-아닷의 아수르 왕위 계승을 정당화하기 위해 그의 비()아시리아 출신 배경을 감추거나, 혹은 그 조상들을 아시리아의 계보에 끼워 넣는 정치적 의도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3. 벽돌에 이름이 새겨진 왕들(Kings named on bricks)

 
  • 술릴리(Sulili) : 아미누(Aminu)의 아들
  • 키키아(Kikkia) : 방어벽 건설자
  • 아키야(Akiya) : 기록 적음
  • 푸주르-아슈르 1(Puzur-Ashur I) 재위: 기원전 1970~1960
  • 샬림-아헤 (Shallim-ahhe) 재위: 기원전 1960~1945
  • 일루-슈마 (Ilushuma) 재위: 기원전 1945~1906
 
아시리아에서 발견된 고대 벽돌에는 총 여섯 명의 왕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 중 세 명은 고대 아시리아 왕국(Old Assyrian Empire) 시기에 해당하는 왕들로, 푸주르-아슈르 1(Puzur-Ashur I)부터 일루-슈마(Ilushuma) 사이의 통치자들이다. 벽돌에 남겨진 이들의 이름은, 문헌 이외의 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실존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자료로 평가된다.
 

4. 확인된 초기 통치자들(Attested early rulers)

 
푸주르-아슈르 1(Puzur-Ashur I) 이전 시기에, 외세의 지배 아래 아수르(Assur)를 다스렸던 소수의 초기 지역 통치자들이 당시의 기록을 통해 알려져 있다.
 
  • 이티티(Ititi) - 아카드 시기(Akkadian), 아카드 왕 리무시(Rimush, 재위 약 기원전 2279~2270)의 봉신으로 추정됨. 이닌라바(Ininlaba)의 아들이라 기록되었으며, 이닌라바도 다른 지배자일 가능성 있음.
  • 아주주(Azuzu) - 아카드 시기, 아카드 왕 마니슈투슈(Manishtushu, 재위 약 기원전 2270~2255)의 봉신. 이름이 창촉(spear point)에 새겨진 상태로 발견됨.
  • 일라바안둘(Ilabaandul) - 아카드 시기, 우르(Ur)에서 발견된 아카드 시대의 지방 총독 명단에 따라, 아수르 총독으로 확인됨.
  • 자리쿰(Zariqum) - 우르 3왕조(Ur III), 우르 3왕조 왕 아마르-(Amar-Sin, 재위 약 기원전 2046~2037)의 봉신. 이름이 석회암 판에 새겨진 채로 발견됨.
  • 실룰루(Silulu) - 이름이 인장(seal)에 새겨진 채 발견됨. 아시리아 왕명록에 나오는 술릴리(Sulili)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도 있으나, 아버지가 다키키(Dakiki)로 기록되어 있음(왕명록에는 아미누의 아들로 나옴).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