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0일 수요일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26왕조 : 후기왕국의 개막(기원전 664~525년경)

[고대 이집트] 이집트 제26왕조 : 후기왕국의 개막(기원전 664~525년경)

 

1. 사이스 왕조 개요 : 후기왕국의 개막

 
26왕조는 기원전 664~525년에 존속한 토착 이집트 최후의 왕조이며, 수도는 사이스(Sais)이다. 이 시기는 일반적으로 사이테 시대(Saite Period)’로 불린다. 25왕조의 후퇴와 앗시리아의 개입 이후, 프삼티크 1세가 상ㆍ하이집트를 사실상 재통합하며 후기왕국(Late Period)의 문을 연다.
 

2. 성립 배경 : 3중간기의 종결과 권력 재편

 
3중간기 말, 쿠시계 제25왕조가 북이집트를 상실하고, 앗시리아가 하이집트에 봉신 정권을 세우면서 권력 공백이 발생한다. 사이스의 지방 엘리트가 교역ㆍ수로망을 기반으로 재정·군사력을 축적했고, 프삼티크 1(Psamtik I)가 이를 결집해 중앙집권의 재건에 성공한다.
 
마네토 전승상 제26왕조의 전사(前史)로 암메리스(Ammeris), 스테피나테스(Stephinates=테프나크트 2세 추정), 네켑소스(Nechepsos=네카우바 추정), 네코(Necho I)가 언급되나, 현대 학계는 보통 프삼티크 1세로 왕조를 시작한다는 견해가 주류이다.

3. 제26왕조의 파라오

 

1) 프삼티크 1(Psamtik I / Psammetichus I, 기원전 664~610)

  • 즉위명 : 와히브레(Wahibre)
  • 호루스명 : 아이이브(Aaib)
  • 매장 : 사이스(Sais)
  • 배우자 : 메히텐우에스케트(Mehytenweskhet)
  • 비고 : 이집트를 재통합하고 상이집트의 누비아 지배를 종식함. 마네토 전승 재위 54.
 

2) 네코 2(Necho II, 기원전 610~595)

  • 즉위명 : 웨헴이브레(Wehemibre)
  • 호루스명: 시아이브(Siaib)
  • 매장 : 미상
  • 배우자 : 헤데브네이트이르비네트 1(Khedebneithirbinet I)
  • 비고 : 성경 여러 책에 언급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파라오로 알려짐.
 

3) 프삼티크 2(Psamtik II / Psammetichus II, 기원전 595~589)

  • 즉위명 : 네페리브레(Neferibre)
  • 호루스명 : 메네크히브(Menekhib)
  • 매장 : 미상
  • 배우자 : 타크휘이트(Takhuit)
  • 비고 : 루브르 소장 파삼티크 2세 입상로도 널리 알려짐.
 

4) 와히이브레 하아이브레/아프리스(Wahibre Haaibre/Apries, 기원전 589~570)

  • 즉위명 : 하아이브레(Haaibre)
  • 호루스명 : 미상
  • 매장 : 미상
  • 배우자 : 와히브(Wahib)
  • 비고 : 아마시스 2세에 의해 축출·망명. 바빌론 군대를 이끌고 귀환했으나 패배·사망 추정. 마네토 전승 재위 19.
 

5) 아마시스 2(Amasis II/Ahmose II, 기원전 570~526)

  • 즉위명 : 크네멥레(Khnem-ib-re)
  • 호루스명 : 세멘마아트(Semenmaat)
  • 매장 : 사이스(Sais)
  • 배우자 : 텐트케타(Tentkheta), 나크트후바스테라우(Nakhtubasterau)
  • 비고 : 헤로도토스 전승에 따르면, 캄비세스 2세가 복수하지 못하자 그의 미라를 능욕·화형했다는 기록이 전함.
 

6) 프삼티크 3(Psamtik III / Psammetichus III, 기원전 526~525)

  • 즉위명 : 앙크카엔레(Ankhkaenre)
  • 호루스명: 미상
  • 매장 : 미상
  • 배우자 : 미상
  • 비고 :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재위 약 6개월 후 캄비세스 2세의 침공으로 패배·포로가 되었고, 페르시아 구금 중 자결함.
 

4. 26왕조의 대내 관계

 

1) 재중앙집권과 지방관리 통제

 
사이스 중심의 국정 운영은 델타 수로망·항만을 지렛대로 삼아 세입 기반을 확충한다. 관개·곡물·통관 중심의 재정 관리가 정비되며, 오래 분절됐던 주현(노모스) 행정이 재통합된다. 테베의 종교 권위 흡수 조치(신의 애처 제도 장악)는 상이집트 통합의 제도적 마무리를 상징한다.
 
군제는 용병, 토착 보병, 전차·기동대의 혼성 운용을 특징으로 하며, 델타와 국경 거점에 주둔하는 체계를 유지한다.
 

2) 종교ㆍ예술ㆍ문화 : 사이테 르네상스

 
26왕조는 고전 이집트양식의 의도적 복원을 전개한다. 조각·부조 비례, 상형문자 서체, 신전 건축의 비율과 의례가 신왕국·중왕국 문법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를 흔히 사이테 르네상스라 부른다.
 
왕권 정당성은 테베의 아문 제의와 멤피스·사이스의 전통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구축되었다. 귀족 장례미술과 서체 양식의 보수화는 행정문서와 종교문헌의 표준화를 촉진했다.
 

5. 26왕조의 대외관계

 

1) 델타 상업로와 국제 네트워크

 
사이스는 지중해ㆍ델타 수로망의 결절점으로, 곡물ㆍ아마포ㆍ목재ㆍ수공품이 집산되었다. 외래 용병 고용과 상업 세수의 결합은 국고를 지탱했으나, 대외전비 부담과 국경 방어비가 상시적 지출로 남았다.
 

2) 25왕조와의 관계, 남방 정책

 
프삼티크 2세의 누비아 원정과 제25왕조 기념물 파괴는 북이집트 내 쿠시 왕권의 상징을 제거하려는 정치 행위였다. 칼랍샤 승전 비석 등은 이 손상ㆍ훼손을 전한다. 이 조치 이후 쿠시의 정치 중심은 나파타에서 더 남쪽 메로에로 장기 이전한다.
 

3) 앗시리아ㆍ바빌론ㆍ페르시아와의 삼중 변수

 
성립기에는 앗시리아와의 우호적 거리를 유지하며 봉신 관계를 탈피한다. 이후 레반트에서 바빌론ㆍ메디아ㆍ페르시아가 차례로 부상하며 지정학적 압력이 커진다. 이집트는 해상 교통과 외교 결연을 통해 완충을 시도하나,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의 공세 앞에 방어가 한계에 도달한다.
 
네코 2세 시기에는 레반트 개입과 도로·운하 프로젝트가 병행되어 국제교역의 허브화를 노린다. 그러나 대외 전장 소모와 내정 부담이 커지며, 후대 왕들 치세의 취약성이 누적된다.
 

4) 왕조의 종말과 역사적 의의

 
프삼티크 3세가 페르시아에 패하며 기원전 525년 왕조는 막을 내리고, 이집트는 제27왕조(1차 페르시아기)로 편입된다. 26왕조는 토착 왕조의 마지막 장으로서, 중앙 재건ㆍ문화 복원ㆍ국제 교류 확대라는 유산을 남겼다.
 
이후 이집트는 헬레니즘기, 로마·비잔티움 시기를 거치며 연속적 변동을 겪는다. 사이스 왕조의 관료ㆍ종교ㆍ예술 표준은 후기왕국 전체의 얼굴을 규정한 핵심 틀로 남았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