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1일 월요일

워렌 G. 하딩(Warren G. Harding, 1865~1923) : 미국 제29대 대통령(1921~1923)

워렌 G. 하딩(Warren G. Harding, 1865~1923)
미국 제29대 대통령(1921~1923)

 
워렌 G. 하딩은 제1차 세계대전 직후 미국 제29대 대통령(19211923)으로, “Return to Normalcy(고요로의 회복)”을 내세워 전쟁 이후의 혼란을 마무리하고 경제 안정과 보수적 국가 운영을 약속하며 대선에서 압도적 승리를 거뒀다. 그러나 짧은 재임 기간 동안 일어난 대표적 스캔들, 내각 인사 문제, 외교적 한계는 그의 유산을 흐리게 만들었다.

워렌 G. 하딩(Warren G. Harding, 1865~1923)

워렌 G. 하딩(Warren G. Harding, 1865~1923)

 

1. 초기 생애와 정치 입문

 
하딩은 1865년 오하이오주 블루밍그로브(Corsica)에서 태어나 지역 신문 Marion Star를 인수해 편집장 겸 발행인으로 활동하며 정치적 기반을 다졌다. 이후 오하이오 주 상원 의원, 부주지사, 그리고 미국 상원의원에 선출되어 정치권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2. 대통령 당선과 고요로의 회복

 
1920년 하딩은 공화당 후보로 출마해 “Return to Normalcy”라는 슬로건을 앞세워, 전시 통제와 진보주의적 개혁의 피로에 지친 국민들의 공감을 얻어 대선에서 매우 높은 득표율(탄탄한 6:2 이상)로 승리했다.
 

3. 국내 정책과 경제 회복

 

1) 예산 시스템과 세금 정책

하딩은 1921년 예산회계법(Budget and Accounting Act)을 통과시켜 최초의 통합 예산 시스템을 마련하고, 재무장관 멜론 주도로 Revenue Act of 1921을 통해 고소득층 중심의 세금 인하를 단행했다. 그 결과 연방 지출은 1920년대 초반 64억 달러에서 23년에는 31억 달러 수준으로 줄었다.

2) 관세 보호와 농업 정책

1921년 긴급 농산물 관세법과 1922FordneyMcCumber Tariff를 통해 농업과 산업 보호 조치를 시행했다. 또한 CapperVolstead Act(농민협동조합 면제 법)를 통해 농업 협동조합 보호 정책도 실현되었다.

3) 인프라 확충 및 기술 진흥

하딩은 연방 고속도로법(Federal Highway Act of 1921)에 서명하여 주별 도로 건설에 자금을 매칭했고, 상무장관 허버트 후버와 함께 라디오 방송 규제, 항공 사업 활성화, 그리고 Veterans Bureau 설립 등을 통해 경제와 기술 기반을 강화했다.

4) 시민 자유와 인권 회복

하딩은 재임 중 Espionage/Sedition Act로 구금된 548명의 재판을 감형 또는 사면해 31명만 남게 했다. 그는 남부에서 인종 평등 연설을 했으며 민주주의는 평등이 없다면 거짓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4. 외교 정책과 국제 무대

 

1) 워싱턴 해군 회담

하딩은 1921년 워싱턴 해군 회담을 개최해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등 주요국과 함께 해군 병력 제한에 합의했다. 이는 세계 최초의 군축 조약이었다.

2) 국제관계와 선의 외교

하딩은 콜롬비아와 망명자 문제 해소를 위해 ThomsonUrrutia 조약을 체결했고, 쿠바ㆍ멕시코에서 군사 철수를 지시하는 등 라틴아메리카 개입을 줄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모색했다.
 

5. 스캔들과 몰락

 
하딩 행정부는 오하이오 갱으로 불린 친구와 측근들의 비리로 얼룩졌다. 특히 내무장관 알버트 팔은 Teapot Dome 유전 리스 권한을 뇌물과 맞바꾸었고, 법무장관 하리 도허티도 여러 부패 혐의에 휘말렸다. 하딩 자신은 직접 범죄에 연루되지는 않았지만, 무기력한 리더십이 이들을 방치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6. 갑작스러운 죽음과 유산

 
하딩은 1923“Voyage of Understanding”라는 서부 순방 중 알래스카 방문 도중 신체 이상을 느낀 뒤, 탄생 58세 생일을 한 달 앞두고 캘리포니아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 직후 스캔들 보도가 잇따르면서 대통령 평판은 급격히 악화되었다.
 

7. 평가와 역사적 의미

 
오늘날 하딩은 미국 역사상 최악의 대통령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는 주로 행정부의 부패와 지도력 부재 때문이지만, 최근 학자들은 경제 안정, 예산제도 확립, 기초 인프라 기여, 그리고 인권 회복 노력에도 일정한 가치를 인정한다. 특히 허버트 후버 임명은 미국 상무부와 기술 진흥의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 (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발렌티니아누스 2세(Valentinian II, AD.371~392) : 로마 제국 제49대 황제(AD.375~392) 서방

발렌티니아누스 2 세 (Valentinian II, AD.371~392) : 로마 제국 제 49 대 황제 (AD.375~392) 서방   발렌티니아우스 2 세 (Valentinian II, Valentinianus) 황제 칭호 : 임페라토르 카에사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