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터포드 B. 헤이즈(Rutherford B. Hayes, 1822~1893)
미국 제19대 대통령(1877~1881)
루터포드 B. 헤이즈는 미국 역사에서 논란 많지만 중요한 정치 지도자이다. 그는 1876년 대선에서 팽팽한 결과 끝에 제19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남북 전쟁 이후의 사회적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한 재건 정책의 종결자로서, 그의 정치적 결정은 오늘날까지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 |
루터포드 B. 헤이즈(Rutherford B. Hayes, 1822~1893) |
1. 출생과 초기 생애
헤이즈는 1822년 10월 4일 오하이오주 델라웨어에서 출생했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태어나기 직전에 사망했으며, 어머니 소피아와 삼촌 사디스 버차드의 도움으로 자랐다. 그는 케니언 칼리지와 하버드 로스쿨을 졸업하고 오하이오주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며 노예제 폐지 운동에 참여했다.
2. 남북 전쟁 시기 군 경력
남북 전쟁 발발 후, 헤이즈는 23rd 오하이오 보병연대 Major로 임관했다. 전장에서는 탁월한 용기와 리더십을 보였고, 특히 사우스 마운틴 전투에서 팔 골절상을 입었지만 살아남았다. 이후 그는 준장과 명예 중장으로 승진하여 Shenandoah Valley 전투 등에서 활약했고, 브리게이드와 디비전 지휘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 정치 활동과 주지사 경력
전쟁 이후 그는 하원에 진출했고, 1865년부터 1867년까지 오하이오주를 대표하는 연방 하원의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1868년부터 1872년, 1876년부터 1877년까지 두 차례 주지사로 재임하면서 교육 개혁, 노예 해방 이후 흑인의 투표권을 지지하는 헌법 개정 추진 등 사회적 개혁에 앞장섰다.
4. 대통령 선거와 취임
1876년 대선에서 헤이즈는 민주당의 사무엘 틸든에게 인기투표에서 밀렸지만, 플로리다ㆍ루이지애나ㆍ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선거 결과가 논란이 되었다. 결국 의회가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논란 표들을 모두 헤이즈에게 배정하면서 185대 184로 승리했다. 이어 1877년 3월 3일 개인적으로 대통령 선서를 했고, 이는 비공식 취임으로 기록되었다.
5. 재건 정책의 종결과 남부 복귀
헤이즈의 대통령 취임 초기 그는 남부 주에서의 연방군 철수를 지시했고, 이는 재건 정책의 사실상의 종결을 의미했다. 그는 남부 지도자들에게 흑인의 시민권과 투표권을 보장하라는 약속을 받아내려 했지만 곧 약속이 깨졌다. 이는 남북 전쟁 후의 흑인 권리 보장이 사실상 붕괴된 계기가 되었다.
6. 행정 개혁 및 경제 정책
그는 정치적 부패를 줄이기 위해 공무원 임용을 능력 중심으로 전환하려는 행정 개혁에 나섰고, 로스코 콩클링 등 낡은 정당 정치와 맞섰다. 또한 1878년 Bland-Allison법안을 거부했지만, 의회에서 상급 통화를 위한 은 주화의 재도입이 승인되면서 금본위제와 인플레이션 균형을 꾀했다.
7. 철도 파업과 사회 안정
1877년 미국 역사상 최악의 철도 파업 당시 헤이즈는 연방군을 파견해 폭동을 진압했고, 이는 당시 경제 침체를 막기 위한 결정이었지만 노동자들과 일부 대중의 비난도 받았다.
8. 여성과 소수자 권리
그는 여성 변호사가 미국 대법원에서 사건을 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Lockwood 법)에 서명했고, 이는 1879년에 통과되었다. 또한 흑인과 인디언, 가난한 백인 등 다양한 계층의 교육과 권리 보호를 주장하며, 연방 사회 정책의 방향을 설정했다.
9. 외교 정책과 중남미 중재
그는 아르헨티나와 파라과이 사이의 영토 분쟁을 중재했으며, 이로 인해 파라과이에서는 그를 기념해 지역 이름을 붙이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10. 퇴임 후 활동과 말년
그는 1회 임기만 수행하겠다고 약속했고, 1881년 정치를 떠나 오하이오 프리몬트의 자택 스피겔그로브로 돌아왔다. 이후 그는 교육 기금, 범죄 예방, 교도소 개혁, 흑인 교육 지원 등에 힘썼으며, 특히 W.E.B. 듀보이스에게 유학 기회를 제공한 슬레이터 교육 기금의 첫 이사장을 지냈다. 그는 1893년 1월 17일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11. 역사적 평가
헤이즈는 정직성과 절제된 개혁을 중시한 대통령으로 평가되며, 후대의 많은 정치인들에게 모범이 되었다. 그의 재임 중 일부 정책은 제한적이었지만, 공무원 개혁과 화폐 안정화 정책, 교육 및 인권에 대한 관심은 그의 유산으로 남아 있다. 그러나 재건 정책 종결과 남부 흑인 권리 후퇴, 철도 파업 진압 등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루터포드 B. 헤이즈는 재건 시대의 종결자, 공무원 개혁의 선구자, 교육과 인권에 헌신한 은퇴 후 사회운동가로 기억된다. 그는 논란 많지만 미국 정치 역사에서 중대한 전환기를 이끈 인물 중 하나로, 그의 삶과 정책은 이후 시대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지침으로 평가된다.
=-=-=-=-=-=-=-=-=-=-=-=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