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1878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Samuel Mowry, 1850-1939)와 메리 밀러(Mary A. Miller, 1854-1946) 사이의 63녀 중 셋째로 출생했다.
 

1902

  • 벨빌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02년 우스터대학(College of Wooster)에 입학하였다.
 

1906

  • 1906년 우스터대학(College of Wooster)을 졸업했다.
  • 대학생 때 자원봉사대에 가입하여 선교사가 되기로 결심하였고, 졸업반 때 로이드 토마스(Lois Thomas, 1885.9.22.-1975.6.26.)와 약혼했다.
  • 1906년 가을 웨스턴신학교(Western Seminary)에 입학했다. 신학교 졸업반 때 약혼자와 함께 중국선교사로 가도록 임명받았으나, 한국에서 활동하다 안식년으로 귀국한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 베어드(William Baird)의 권고로 한국으로 선교지를 변경했다.
 

1909

  • 신학교를 졸업하고 19095월 미국 북장로회 우스터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 같은 해 9월 결혼하고, 부인과 함께 102일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로 내한하여, 평양선교부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 먼저 한국어를 익한 다음 미국 북장로회 선교회와 미국 미감리회 선교회가 연합으로 운영하던 숭실대학(Union Christian College)에서 일반 생물학ㆍ유전학ㆍ세포학ㆍ지질학ㆍ일반 농학 등을 가르쳤다. 이와 함께 장로회에서 설립한 평양 숭인학교ㆍ숭덕학교 등의 교잠도 겸하였다.
  • 부인도 숭의여학교ㆍ평양여자고등성경학교 교사로 활동하였다.
 

1913

  • 장대현교회에 출석하면서 한국 최초의 성가대를 조직하였고, 1913년 숭실대학에 합창단과 음악대를 조직하여 서양음악을 보급하였다.
 

1917

  • 1917년 안식년으로 귀국하여 우스터대학교에서 생물학석사 학위를 받고 돌아왔다.
  • 그후 숭실에서 약 25년간 생물학과 과학 과목을 교수하였다.
 

1918

  • 1918년 평양 장대현교회에서 기부받은 400원과 자신이 마련한 600원을 합하여 1천 원 상당의 풍금을 구입하여 기증하였다.
 

1919

  • 191931일 평양 숭덕하교 교정에서 열린 독립선언식과 만세시위를 동료 선교사 마펫(Samuel A. Moffett)과 함께 현장에 나가 목격하고, 경찰에 쫓기는 시위 참가 학생들을 집에서 기거하게 했다.
  • 당시 숭덕학교 교장과 숭실대학 교수, 숭실중학교 교사를 겸하고 있어 독립만세시위의 배후로 의심을 받고 있다가 44일 가택 수색을 당하고 마펫과 함께 구속되었다.
  • 마펫은 다음날 풀려났지만, 숭실중학교 제자인 길진경(吉鎭京)과 이인선(李仁善), 숭실대학교 재학생 이보식(李輔植)과 김태술(金泰述) 등을 집에 숨겨준 혐의로 기소되어 419일 평양지방법원에서 징역 6월을 선고받고 그날 보석으로 풀려났다.
  • 그러나 그는 평소와 같이 학생들을 손님으로 대우했을 뿐이며, ‘범인 은닉의도는 없어 무죄라고 주장하며 항소하여 517일 평양복심법원에서 징역 4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 다시 상고하여 818일 고등법원에서 전 판결을 파기하고 경성복심법원에 이송한다는 판결을 받았고, 1029일 경성복심법원에서 벌금 100원을 선고받았다.
  • 이를 다시 상고하였으나 124일 고등법원에서 상고 기각 판결을 받아 형이 확정되었다.
 

1935

  • 19351114일 개최한 평남 중등학교장 회의에서 평남지사가 평양신사에 참배하고 나서 회의를 하자고 제안하자, 숭실학교 교장 매큔(George S. McCune, 尹山溫)과 숭의여학교 교장 대리 정익성(鄭益成), 순안 의명학교 교장 리(H. M. Lee, 李希滿)가 그런 일은 전례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기독교의 교리상 그 지시에 따를 수 없다고 거부하여 문제가 되었다.
 

1936

  • 매큔은 118일자로 신사참배를 자신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시킬 수 없으며,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사직도 할 수 없다는 내용의 답변서를 도지사에게 제출하였다.
  • 매큔은 그날로 숭실학교장직과 120일 숭실전문학교장직 인가를 취소당하고, 스눅(Velma L. Snook)122일 숭의여학교장 대리직 인가를 취소당했다.
  • 각 학교의 후임 교장으로는 숭실전문학교 교장에 모우리, 부교장에 이훈구(李勳求), 숭실학교는 교장에 정두현(鄭斗鉉), 숭의여학교는 교장 사무취급으로 김승섭(金承涉)이 총독부의 인가를 받아 그해 3월에 취임하였다.
  • 신사참배 거부 문제로 소속 학교 교장들이 파면당한 북장로회 선교부는 학교 이사회를 통하여 후임 교장들을 임명하기는 하였지만, 소속 학교 폐교 여부의 최종적인 결정은 그해 정기 선교사연회로 미루고 있었다.
  • 마침내 1936625일부터 72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정기 북장로회 선교사 연회에서 71교육철수권고안을 표결에 부쳐 6916의 압도적 다수의 지지로 결의하였다. 이 권고안의 주요 내용은 설립시에 가졌던 충분한 목적과 이상을 보존하며 우리 선교 학교들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인정하면서, 우리는 선교회가 세속 교육으로부터 철수하려는 정책을 인준해 줄 것을 권고한다. 선교회는 시기와 방법에 관한 모든 구체적인 것은 실행위원회의 권한에 맡길 것을 권고한다는 것이었다. 다만 실행위원회가 이를 결정할 때는 각 지역 선교지부와 서로 협의하고, 의견이 다를 때는 전체선교회 연례회나 임시회에서 투표로 결정하며 선교본부의 승인이 요구되는 사항은 규정에 따라 선교본부에 보고하기로 하였다.
  • 이 권고안은 미국 선교본부에 보고되어 같은 해 921일 선교본부 총회에서 이를 승인하였다. 이러한 결정이 알려지자 선교사들 사이에서도 이 방침대로 학교를 폐교하자는 측과 존속시키자는 측으로 나뉘어 대립하고, 유서 깊은 학교의 폐교를 안타까워하던 지역 유지들도 자금을 모아 학교를 인수하여 계속 경영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학교를 폐교하면 당장 피해를 보게 되는 학생들과 교사들도 학교를 폐교하려는 선교부의 방침에 반발하고 점차 학교를 인계ㆍ유지하려는 측에 가담하였다. 선교사들 사이에서는 신사참배에 응하느냐 거부하느냐는 문제가 학교를 존속시키느냐 폐교시키느냐는 문제로 변질되어 의견이 대립되었고,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학교를 어떤 방식으로 인수하느냐로 의견이 갈렸다.
 

1937

  • 19379월 선교본부 회의에서는 1936년의 철수방침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하였고, 북장로회 선교부는 홀드크로프트를 비롯한 선교부 실행위원들의 의견에 따라 학교를 폐교하고 재산을 인계하지 않는 방침을 취했다. 그러나 그러한 방침은 학교 경영을 계속하기를 원하는 선교사들과 한국인들의 반발, 일제 당국의 방해로 그대로 관철할 수가 없었다.
  • 우여곡절 끝에 결국 평양의 숭실전문ㆍ숭실학교ㆍ숭의여학교 세 학교만 19371029일과 111일에 각각 페교원을 제출하였다. 그러나 총독부는 이들 학교들의 폐교 이유가 애매하고 재학생 처리책이 막연하며 기타 서식이 불비하다는 이유로 1119일 폐교원을 학교 설립자에게 반려하였다. 일제가 폐교원을 반려한 것은 폐교를 할 경우 조선총독의 인가를 받도록 한 개정된 사립학교규칙을 적용한 것이기도 하였지만, 사회적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 페교의 책임을 선교사 측에 전가하고, 폐교를 하더라도 부지ㆍ건물의 기부와 임대 등의 실리를 챙기기 위한 것이었다. 결국 선교부 측도 폐교를 허락하면 건물 임대에 대해서 협상할 수 있다는 의향을 보이면서, 다시 1223숭의 폐교신청서를 평양부 학무계에 제출하여, 128일에는 도 학무과에 접수되었다.
 

1938

  • 그 후 이 문제에 대해 도 학무당국과 협상을 진행하여 19381213숭의 설립자 측 선교사들이 선교부 실행위원회를 거쳐 이러한 사실을 선교본부에 보고하여 허락을 받으면 교사(校舍)를 빌려줄 수 있다는 뜻을 보임으로써 타협이 이루어졌다.
  • 선교부 실행위원들은 학교의 직원ㆍ생도 처분에 관한 것을 도 당국이 책임지고 처리해 주며, 폐교 신청을 속히 처리해 준다면 교사를 빌려줄 수 있다는 안을 결의하여 127일 도 당국에 알리자 도 당국에서도 교사(校舍)만 차용(借用)하게 되면 직원ㆍ생도의 처리 문제와 폐교신청은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함으로써 합의가 이루어졌다. 실행위원회는 이 사실을 선교부에 전보로 알리고 회신을 요청하였다. 그러자 선교본부에서도 222일 실행위원장 로스에게 교사(校舍)의 임대문제는 위원장에게 일임하니 인가해도 좋다는 뜻의 회답을 보내왔다.
  • 이로써 3승의 폐교는 확정되었고, 숭실중학은 193833, 숭실전문은 34, 숭의여학교는 311일 마지막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 19383월 말일로 폐교하려는 숭실전문을 비롯한 숭실중학교, 숭의여학교의 폐교 신청에 대한 정식 인가 지령은 1938319일 학교 설립자 대표 모우리와 라이너에게 교부되었다.
 

1940

  • 모우리는 숭실학교가 폐교된 후에도 평양에 계속 머물며 선교활동을 하다가 194011월 서울주재 미국영사관의 권고를 받아들여 귀국하였다.
 

1949

  • 해방 후 다시 내한하여 활동하다가 19491월 은퇴하고 귀국하였다.
 

1950

  • 대한민국 정부는 19503월 건국훈장독립장을 수여했다.
 

1968

  • 19683월 숭실대학교 창립 70주년 기념식에도 초대되어 방한했다.
 

1971

  • 19711017일 미국 오하이오주 컬럼버스에서 별세하여 맨스필드(Mansfield) 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
  • 존 볼링과 엘라는 모두 한국에서 선교사로 사역하였다. 레이놀즈 부부, 큰 딸 캐리, 막내딸 엘라는 모두 마운틴뷰 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

모우리(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牟義理),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모우리 (Eli Miller Mowry, 1878-1971) 한국명 모의리 ( 牟義理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ㆍ목사 .   【 1878 년 】 미국 오하이오주 벨빌 (Bellville) 근교에서 사무엘 모우리 (Samuel Mowry, 1850-193...